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기장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기장 구포 백릿길을 가다

    출처 :부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부산 >기장군

    기장 구포 백릿길을 가다
    부산 기장군의 구포 백릿길을 소개하는 영상이다. 구포(九浦: 가을포, 공수포, 무지포, 이을포, 기포, 동백포, 독이포, 월내포, 화사을포) 100리에 세워진 등대를 배경으로 주변 해안의 역사, 해녀들의 물질 현장 등을 영상에 담았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부산 >기장군

    싱싱한 봄멸치 구경 오세요! 기장멸치축제
    부산 기장의 기장멸치축제는 1997년부터 매년 4~5월에 개최되는 멸치축제이다. 봄철 대표적 먹거리인 멸치를 통해 지역 경제활성화를 꾀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기장의 봄 멸치는 10~15cm 정도의 대멸치로, 이전까지는 젓갈로 소비되었는데 기장멸치축제를 통해 멸치회, 멸치구이, 멸치찌개 등의 음식이 알려졌고 우리 식문화를 풍성하게 했다. 이 축제에서 하는 멸치털이는 노동을 흥미진진한 놀이로 만든 문화콘텐츠 기획의 성공사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기장군

    옥녀가 베틀을 놓고 비단을 짠 부산 기장군
    옛날 옥황상제의 딸 옥녀가 인간 세상을 내려다보던 중, 명당자리를 발견해 땅으로 내려왔다. 그곳은 물레와 베틀처럼 생겼던 까닭에, 옥녀는 자리를 잡고 앉아 물레를 돌려 실을 잣고 그것으로 베를 짰다. 훗날 사람들은 이 땅을 옥녀가 베틀을 차려놓고 비단실을 짜던 곳이라 하여 ‘기장’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아기장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하늘로 올라 간 아기장수가 붙여준 이름, 춘천 전치곡리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조양2리 밭치리 또는 전치곡리(田雉谷里)에 얽힌 지명이다. 지금은 춘천시에서 무릉도원이라는 골프장을 건설하면서 마을주민 거의가 이전하고 몇 가구만 살면서 마을을 유지하고 있다. 마을로 들어가면 지금도 커다란 나무를 당나무로 정하고 오색천과 한지와 단지를 보관하고 매년 제사를 올리고 있다. 골프장이 되기 전에는 600년 이상 홍천과 춘천을 오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거리제와 장승제와 서낭제를 지내던 유명한 마을이다. 이곳에는 마을 이름이 생긴 유래와 마을신이 좌정한 유래가 같이 전승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기장떡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밥과 떡을 만드는 기장
    기장은 조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냉해에 강하고 산지에 잘 자라 강원도 경상북도에서 많이 재배한 작물로 찰기장과 메기장으로 나뉜다. 알갱이는 조보다는 조금 더 굵어 주식으로 이용하기에도 적합하지 않고 수확량도 적은 편이다. 그래서 주식에 적합하지 않아 현재는 재배량이 줄었으며 찰기장으로 떡을 해 먹고 밥에도 섞어 먹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기장 가볼만한곳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부산 >기장군

    비신과 머리가 한 몸으로 주조된 현감 이기수 거사비
    현감 이기수 거사비는 기장읍성 부근에 세워져 있다. 이기수가 1813년(순조 13) 8월부터 1815년(순조 15) 9월까지 기장 현감으로 재임한 것에 대한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1816년(순조 16)에 건립되었다. 비신과 머리 사이에 결합부 없이 한 몸으로 주조되었으며 비 머리에는 일월(日月)을 상징하는 원 문양과 중앙에 두꺼비를 상징하는 문양을 추상적으로 표현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덕군

    4대째 내려오는 전통 옹기장, 영덕옹기장
    30년 전, 경북 영덕 일대에는 30여 기의 옹기굴이 있었다. 1959년 사라호 태풍 때 대개가 없어지고, 1985년 이후에는 기계화되면서 7~8곳 정도 남았던 옹기굴이 모두 폐점했다. 지금은 지품면 오천리에 한 곳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 그곳이 바로 백광훈 장인의 영덕옹기장 오천 제2토기공장이다.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된 백광훈 장인(70)이 300년 넘는 옹기 만들기 역사의 명맥을 오늘날까지 4대째 이어 오고 있다. 그는 전기 가마, 석유 가마 등 기계식 가마도 사용하고 있지만 1년에 한 번은 장작가마에서 옹기를 굽는다. 12통의 가마 앞을 보름간 꼬박 지켜 한 번에 3,000개 정도의 옹기가 나온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아기장수 설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 지방문화툰 (2건)
자세히보기
  • 2화 천마와 아기장수

    출처 :인천광역시문화원연합회

    웹툰 인천 >서구

    2화 천마와 아기장수
    인천에서 전래하는 '아기장수 전설'을 그린 웹툰이다. 아기 장수는 비범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신분적 제약 때문에 비극을 맞이한다. 비슷한 전설이 시대와 지역을 달리하며 반복적으로 출현하는데, 이는 새로운 영웅을 기대하는 억압받는 민중의 희망을 반영한다.
  • 1화 천마와 아기장수

    출처 :인천광역시문화원연합회

    웹툰 인천 >서구

    1화 천마와 아기장수
    인천에서 전래하는 '아기장수 전설'을 그린 웹툰이다. 아기 장수는 비범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신분적 제약 때문에 비극을 맞이한다. 비슷한 전설이 시대와 지역을 달리하며 반복적으로 출현하는데, 이는 새로운 영웅을 기대하는 억압받는 민중의 희망을 반영한다.
  • 테마스토리 경남 >거창군

    아기장수의 말이 묻혀 말무덤이라 불리는 거창 거기리 성황단
    거창 거기리 성황단은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거기리에 세워져 있다. 거기리는 돌이 많아 돌밭 또는 개울이 마을 끼고 흐른다고 하고 걸터라고 불렀으며, 한자로 표기하면서 도랑 거(渠) 자를 써서 거기리라 하였다. 거창 거기리 성황단은 냇가의 자갈돌을 층층이 쌓아올려 돌무지무덤처럼 만든 돌탑이다. 마을주민들은 말무덤이라 칭하며, 매년 정월 대보름날에 제사를 지낸다. 성황단제를 지내는 상당, 중당, 하당 세 곳은 용마가 나타나 발자국을 남기고 죽은 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