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서천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충남 서천군 마서면에서 검불 날리며 부르는 나비소리
    충남 서천군에서는 「검불날리는소리」로 나비소리를 불렀다. 「검불날리는소리」는 벼를 털고 난 뒤 쭉정이나 마른 풀, 먼지 등 잡것들을 없애기 위해 타작을 마친 벼를 떠서 바람에 날릴 때 부르던 노래이다. 나비소리는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여라 나비여허”와 같은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충남 지역에서는 서천군에서만 전승이 확인된 노래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거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거제시

    경남 거제의 그물 뜨며 부르는 어기야소리
    경상남도 거제시에서는 「그물뜨는소리」 어기야소리를 불렀다. 「그물뜨는소리」는 그물을 짜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해안 지방에서는 흔히 하는 작업임에도 「그물뜨는소리」로 현재까지 전승이 보고된 노래는 어기야소리가 유일하다. 어기야소리 또한 거제시에서만 확인이 되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이나 그물 뜨는 작업과의 관계가 명료하지 않다는 점에서 구연상황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서산시

    충남 서산의 검불 날리며 부르는 오헤소리
    충청남도 서산시에서는 「검불날리는소리」로 오헤소리를 불렀다. 「검불날리는소리」는 탈곡을 마친 낟알을 죽가래로 떠 퍼 올리며, 바람으로 쭉정이나 티끌을 날려보낼 때 부르던 소리이다. 다른 말로 「죽가래질하는소리」라고도 한다. 오헤소리는 서산시와 홍성군을 중심으로 불렸던 노래이다. 1마디 전언가사에 “오헤”, “오헹”, “어헤” “으헤” 등의 디딤가사를 붙여 작업상의 동작과 장단을 일치시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완도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완도군

    도리깨로 보리타작을 하면서 부르는 완도 읍리의 「방아소리」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읍리는 청산도 섬에 있는 마을이다. 읍리마을은 논보다 밭이 3배 이상 많은 지역으로 전통적으로 보리를 많이 심었으며, 보리타작은 여성들 담당이었다. 여성들은 도리깨질을 해서 보리를 치면서 노래를 불렀는데, 그 내용은 시집 보낸 부모님을 원망하다가 그래도 남편의 정이 더 좋다는 식으로 현실을 극복하는 가사이다. 보리 타작하는 도리깨질은 힘든 일이지만 치는 행위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완도군

    흙으로 벽을 바르면서 부르는 완도 한둑골의 「벽바르기야소리」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초평리는 완도 섬에 위치한 마을로 바다가 인접해 있지만 마을구성원들은 어업보다는 농업에 종사한다. 집을 지을 때 지붕을 얹은 후에는 벽을 만들게 되는데, 흙벽은 흙벽돌을 찍어서 쌓기도 하지만 수숫대나 싸리나무 등으로 틀을 만들어 벽에 고정한 후에 흙을 바르기도 한다. 완도군 한둑골에서는 마당에서 흙벽을 반죽한 후에 흙덩이를 지붕위로 던져 올리거나 벽을 바르면서 「벽바르기야소리」를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금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금산군

    처음 논을 맬 때 충남 금산에서 부르는 얼카산이야소리
    충청남도 금산에서는 모를 심고 처음 논을 맬 때 얼카산이야소리를 불렀다. 얼카산이야소리는 주로 충청도에서 성하게 불리는 「논매는소리」이다. 금산에서는 세 번 김을 매며, 얼카산이야소리는 호미를 이용해 초벌매기 할 때 부른다. 매기고 받는 선후창의 가창방식으로, 전언가사는 1마디로 구성되며, 드물게 2마디짜리도 있다. 디딤가사는 “얼카산이야”, “얼카산이냐” 등으로 구성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속초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속초시

    속초에서 든대질할 때 부르는 「자자 어샤 소리」와 「아리아 소리」
    강원도 속초시 장사동은 1973년 속초시로 편입된 지역이다. 장사동에서 전승되는 배 올리는 소리는 다양한 사설 없이 “자~자~ 어샤”를 반복한다. 큰포구라는 뜻을 가진 대포동에 전승되는 배 내리는 소리는 「아리아 소리」라고 부른다. 「자자 어샤 소리」와 「아리아 소리」는 모두 배를 들어 올릴 때, 배를 끌어 내릴 때 사설에 변화가 없다. 대체로 속초시에서 배를 들어 올리고 내릴 때 부르던 소리는 다양한 사설없이 “자~아”만 반복한다. 든대를 이용해 배를 올리고 내렸다고 해서 「든대질 소리」라고도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속초시

    속초 도문동에서 땅을 다질 때 부르는 덜구소리
    강원도 속초시 도문동은 설악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다. 도문동은 민요 보존이 비교적 잘 되어 있는 마을이다. 속초시 도문동에서 집을 짓거나 건물을 지을 때 땅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가 「덜구소리」이다. 「덜구소리」는 토건노동요로 건축요에 해당한다. 「덜구소리」는 부르는 속도가 빠른 편이다. 집 터를 다지는 데에 시간이 하루 종일 걸리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빨리 일을 끝내기 위해 노랫가락이 빠른 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경남 밀양의 풀 썰며 부르는 작두야소리
    「풀써는소리」는 논이나 밭에 거름으로 쓸 풀을 작두로 썰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풀 써는 일은 넣어주고, 밟고, 빼는 등 분업으로 진행했는데, 보통은 풀을 작두에 넣어주는 사람이 「풀써는소리」를 부른다. 현재까지 전승이 확인된 「풀써는소리」에는 어이야소리, 우러리소리, 작두야소리가 있다. 작두야소리는 밀양시 산내면에서 전승되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허어 작두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사천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사천시

    국내 유일하게 경남 사천에서 전승되는 갈방아소리
    경상남도 사천시에서는 갈방아를 찧을 때 갈방아소리를 불렀다. 갈은 소나무껍질로, 나일론이 나오기 전까지 갈을 찧어 면사 그물에 묻혀 튼튼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갈방아 찧기는 남자들 4~5명이 모여 함께 작업을 했으며 이때의 노래는 작업자 간의 호흡을 일치시키고 흥을 돋우기 위해서 불렀다. 갈방아소리는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에야디야 갈방애야”라는 디딤가사를 선후창으로 불렀다. 「갈방아찧는소리」로는 사천 마도동에서 채록된 갈방아소리가 유일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사천시

    경남 사천시 늑도동에서 고기 푸며 부르는 가래소리
    경남 사천시에서는 「고기푸는소리」로 가래소리를 불렀다. 「고기푸는소리」는 그물에 잡힌 물고기를 퍼올릴 때, 또는 배에 실린 물고기를 다른 곳으로 옮길 때 부르는 노래이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가래”를 핵심으로 하는 디딤가사를 붙여 부른다. 늑도동에서 불린 가래소리는 노동의 가치, 만선의 기원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함평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함평군

    해학적인 가사의 모심기 노래, 함평 반곡마을의 「사뒤소리」
    전남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는 이웃한 석정리와 더불어 넓은 들을 바라보고 있는 마을이다. 모심을 때 선소리꾼은 농군의 피로를 덜어주기 노랫말을 재밌게 구성한다. 먼저 해마다 돌아오는 모심기를 상사소리가 철마다 돌아온다고 투덜거리고, 남성임에도 화자를 여성으로 바꿔서 사설을 구성하였으며, 수수쌀을 씻고 있는 줄 뻔히 알면서도 산나물 씻느냐고 생뚱맞게 묻는 남성의 치근덕거림을 해학적으로 표현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