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목공예 기술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기 >수원시

    집도 짓고 가구도 만드는 장인의 톱
    나무를 자르거나 모양을 다듬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톱이다. 구석기시대부터 돌로 톱의 형태를 만들어 이용하다가 점차 청동과 철을 이용하여 톱을 만들어 쓰기 시작했다. 톱의 종류도 다양한데 전통적인 톱은 켤톱·자름톱·대톱·중톱·소톱 등이 있고 그 외에 특수한 용도를 위한 돌림톱·실톱·칼톱·절톱·손톱·세톱 등이 있다. 대목장들은 큰 나무를 켜거나 자르는 데 편리한 탕개톱을 주로 사용한다. 소목장은 탕개톱 외에도 날이 양쪽으로 나 있는 양날톱, 한쪽만 날이 나 있는 외날톱, 톱냥의 한쪽으로 보강대인 등쇠를 붙여서 세밀한 가공을 할 때 쓰는 얇고 좁은 등대기톱, 크고 긴 홈을 낼 때에 사용하는 홈켜기톱, 실톱 등 용도에 따른 다양한 톱이 사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기 >수원시

    서까래를 다듬을 때 쓰는 훑이기
    훑이기의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나무토막 가운데에 길고 납작한 날을 끼워 놓은 모습이다. 깎낫과 훑이기가 비슷하여 흔히 혼동되기도 하는데 깎낫은 날 양쪽에 자루를 끼워 사용하는 것이고 훑이기는 나무 틀에 날을 끼워 사용한다는 점에서 모양과 구조가 다른 도구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한국의 독특한 건축 연장이다. 서까래는 반듯하지 않은 목재도 많이 사용되는데 훑이기는 서까래 굵기 정도의 목재를 깎는 데 가장 적합하게 개량된 연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담양군

    대나무 산지에 따라 발달한 죽공예
    죽공예(竹工藝)는 대나무를 재료로 여러 가지 생활용품과 장식용품을 만들어내는 공예의 한 형식이다. 우리나라 죽공예는 대나무의 종류별 산지에 따라 특색있게 발달되어왔다. 담양에서는 오늘날까지 죽석·대발·바둑판·죽피방석·소쿠리·채상 등 다양한 죽공예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낙죽장(烙竹藏)이 전승되고 있다. 전주는 예로부터 부채인 합죽선이나 태극선이, 남원은 연죽으로 만든 부채가, 광양에는 낙죽장도가 유명하다. 경남 진주, 하동은 죽피방석·바구니·소쿠리 등의 생활죽물과 어도구(漁具)를 생산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