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무당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충남 >공주시

    썩 물렀거라, 무당의 신칼
    무당들이 굿을 할 때는 쓰는 칼을 ‘신칼’이라고 한다. 신칼은 청동으로도 만들지만 대체로 철로 만들었다. 신칼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신칼은 모양이 다양한데 이에 따라 명칭과 기능도 다르다. 칼의 모양에 따라서는 월도나 언월도, 칼, 무칼, 신칼, 신명도 등이 있다. 신격과 관련해서는 대신칼, 대무신칼, 부정칼, 신장칼, 칠성칼, 입칼(입에 무는 칼), 장군칼, 군웅칼, 별상칼 등이 있다. 무당들은 예로부터 각기 다른 모양의 각기 다른 신의 영험함을 보이는 여러 가지 칼을 이용하여 굿과 의례를 행해오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무당의 권위를 상징하는 삼지창
    무속에서 무당들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삼지창은 창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창을 말한다. 무당들은 삼지창을 들고 춤을 추기도 하고 제물인 통돼지를 이 삼지창 위에 올려놓고 그대로 서 있게 하는 신통력을 보여 주기도 한다. 원래 삼지창은 물고기를 잡는 작살이나 무기로 사용되었지만 점차 위엄과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물로 쓰이게 된다. 조선후기에는 무기보다는 국가적인 의례를 행할 때 들고 다니거나 관아의 나졸들이 위엄을 보이기 위해 들고 다니기도 했다. 무속에서 사용하는 삼지창도 이처럼 무당의 권위를 나타내고 장군신의 위엄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한국의 굿을 전세계에 널리 알린 만신 김금화
    김금화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2-나호 서해안풍어제 배연신굿 및 대동굿 기·예능 보유자인 큰 무당이다. 1931년 황해도 연백군 석산면에서 태어났다. 12살 때부터 신병을 앓기 시작하여 17살에 내림굿을 받아 무당이 되었다. 외할머니, 관무당, 방수덕의 굿판을 쫓아다니면서 굿을 익혔다. 한국전쟁 이후 남쪽으로 내려와서 인천 등지에서 살다가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에 자리를 잡아 삶을 마감하는 2019년까지 살았다. 그녀는 황해도 무속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무속과 전통예술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고, 전 세계를 다니며 우리 무속을 알리는데 기여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무당도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공주시

    썩 물렀거라, 무당의 신칼
    무당들이 굿을 할 때는 쓰는 칼을 ‘신칼’이라고 한다. 신칼은 청동으로도 만들지만 대체로 철로 만들었다. 신칼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신칼은 모양이 다양한데 이에 따라 명칭과 기능도 다르다. 칼의 모양에 따라서는 월도나 언월도, 칼, 무칼, 신칼, 신명도 등이 있다. 신격과 관련해서는 대신칼, 대무신칼, 부정칼, 신장칼, 칠성칼, 입칼(입에 무는 칼), 장군칼, 군웅칼, 별상칼 등이 있다. 무당들은 예로부터 각기 다른 모양의 각기 다른 신의 영험함을 보이는 여러 가지 칼을 이용하여 굿과 의례를 행해오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무당의 권위를 상징하는 삼지창
    무속에서 무당들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삼지창은 창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창을 말한다. 무당들은 삼지창을 들고 춤을 추기도 하고 제물인 통돼지를 이 삼지창 위에 올려놓고 그대로 서 있게 하는 신통력을 보여 주기도 한다. 원래 삼지창은 물고기를 잡는 작살이나 무기로 사용되었지만 점차 위엄과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물로 쓰이게 된다. 조선후기에는 무기보다는 국가적인 의례를 행할 때 들고 다니거나 관아의 나졸들이 위엄을 보이기 위해 들고 다니기도 했다. 무속에서 사용하는 삼지창도 이처럼 무당의 권위를 나타내고 장군신의 위엄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농기구에서 신령의 도구가 된 쌍작두
    작두는 원래 말이나 소에게 먹일 풀이나 짚 등을 잘게 썰거나 한약방에서 약초를 잘게 썰기 위해 만든 연장이다. 쇠로 된 날에 한쪽은 나무로 된 자루를 끼우고 한쪽은 구멍을 뚫어 쇠를 끼워서 움직이게 만들어 발이나 손으로 작두날을 내리쳐 물건을 자른다. 한국에서 작두는 무속에서도 사용된다. 무당들이 사용하는 작두는 보통 두 개의 작두날을 연결한 쌍작두인데 간혹 좀 더 영험함을 보여주기 위해 외작두나 작두날을 사다리 모양으로 여러 개를 계단처럼 만들어 놓은 ‘칠성작두’, 심지어 그네 위에 작두를 달고 마치 그네를 타듯이 작두를 타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