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밀양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1957년부터 시작된 '밀양아리랑대축제'
    경상남도 밀양 영남루의 중수를 기념하여 1957년 제1회 밀양종합문화제가 열린다. 1963년에 아랑제와 밀양문화제로 이원화되었던 행사는 1968년 밀양아랑제로 통합되었다가 2004년 밀양아리랑대축제로 명칭이 바뀌었다. 밀양 출신인 사명대사의 ‘충의’와 김종직의 ‘지덕’, 아랑낭자의 ‘정순’ 등 밀양의 3대 인물의 고귀한 정신을 기리는 종합문화제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칠곡의 소리, 밀양아리랑(행정리 송말희)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북 >칠곡군

    칠곡의 소리, 밀양아리랑(행정리 송말희)
    경북 칠곡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리인 '밀양아리랑'의 채록 음원이다. 경북 칠곡군의 민요, 노동요, 상여소리 등 27건을 채록하여 옛날 서민들의 생생한 생활상과 애환을 가감 없이 전달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밀양 삼랑진 후조창터에 세워진 관찰사 조인영 조폐리정 영세불망비
    조인영(趙寅永, 1782~1850)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이조판서 진광의 아들이다. 1891년(순조 19)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응교에 임용되고, 그해 형의 딸이 세자빈이 되면서 홍문록(弘文錄) 도당록(都堂錄)에 선임되었다. 1822년 함경도 암행어사로 복명 후 대사헌에 특진되었다. 1826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뒤 이조참의, 대사성, 세손좌유선, 제학, 예조참판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관찰사 조상국인영 조폐리정영세불망비는 수지문을 선각으로 조식하였으며, 비신을 감(龕) 형태로 공간을 만든 후 음각으로 비문을 주성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나라를 걱정하는 밀양표충비
    밀양표충비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경상남도 밀양시 동부동안길 4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의승병을 일으켜 왜적을 물리치고 외교승으로 활약한 사명대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742년에 세운 비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거나 어려움을 겪으면 눈물을 흘리는 비석으로 알려져 있다. 사명대사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으로 의병을 조직하여 평양성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우고 왜란이 끝난 후에는 외교승으로 일본에 건너가 활약하기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충효열의 가문을 기린 밀양 탁삼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57호로 지정된 탁삼재(卓三齋)는 1864년(고종 1)에 건설한 사당이다. 나라에서 탁삼(卓三)이란 호칭을 내려서 세운 사당인데, 이곳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을 지낸 김유부 모자의 충효와 병자호란 때 전사한 김기남과 김란생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한 집안에서 충효열을 모두 실행한 기념으로 세운 사당이다. 이 사당은 현재 김녕김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용과 호랑이가 싸우는 모습을 흉내낸 밀양 용호놀이
    밀양의 용호놀이는 동쪽은 용, 서쪽은 호랑이를 닮은 지역의 지형적 특수성이 반영된 놀이다.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벌였으며 줄다리기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 새끼줄을 꼬아 청룡줄과 백호줄을 만들고 용과 호랑이가 싸우는 모습을 흉내 내면서 격돌하는데, 상대편 깃발을 먼저 빼앗는 쪽이 이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새해를 여는 흥겨운 잔치, 밀양 법흥 상원놀이
    밀양 법흥 상원놀이의 '상원'은 정월 대보름의 다른 말로, 놀이의 시점이 음력 1월 15일인 까닭에 붙여진 이름이다. 놀이는 온종일 벌어지는데, 이른 새벽 당산제와 용왕제를 지내고 풍년과 복을 빈 후 헌신랑 다루기, 장작윷놀이, 돌다리밟기 등을 즐긴다. 그러고 나서 보름달이 뜨면 달집태우기를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고된 일을 마쳤으니, 어디 한 번 놀아보세' 밀양 백중놀이
    밀양 백중놀이는 논농사에서 가장 힘든 작업인 김매기를 끝낸 후 벌이는 유희다. '머슴날'이라고도 불린다. 술과 음식을 풍족히 먹고 풍물을 앞세워 신나게 즐기는데, 이때 놀이에 필요한 경비는 양반과 부농 계층이 후원한다. 소작인들의 울분을 달래고 사회결속을 다지기 위함이다. 불교 문화인 백중과 김매기 시기가 겹치는 바람에 백중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의 누정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우리나라 3대 누각인, 밀양 영남루
    밀양 영남루(嶺南樓)는 진주 촉석루·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이다. 보물로 지정된 영남루는 야경이 밀양 8경 가운데 제1경에 해당한다. 영남루는 남천강이 내려다보이는 산기슭 절벽위에 자리한다. 신라 때 있었던 영남사 절터에 1365년 지어진 후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844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고려의 이색·문익점·이숭인, 조선의 권근·하륜·김종직·이황 등 내노라하는 문인들이 영남루를 노래한 시가 남아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물고기가 용이 되어 승천한, 밀양 어변당
    어변당은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1길 31(연상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90호이다. 조선초기의 무신 박곤(1391~?)이 1440년(세종 22)경에 별당으로 건립하여 무예와 학문을 닦던 곳으로, 그 후 후손들의 보수로 보존되어 오다가 1814년(순조 14)에 중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어변당이라는 정자명은 비룡장군(飛龍將軍)이라 불리었던 박곤과 관련된 조선초기의 많은 무용담과 설화와 관련이 있다. 박곤이 살던 별당 앞의 작은 연못의 물고기가 용으로 변하여 승천하였다는 전설로부터 그 연못 앞의 집을 어변당이라고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알쏭달쏭한, 밀양 월연정과 월연대
    밀양 월연정(月淵亭)은 단독 건물의 이름이 아니라 쌍경당(雙鏡堂)과 월연대(月淵臺) 일대를 지칭하는 명칭이다. 이 지역은 오래된 건축물과 함께 경관이 아름다워 현재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런데 명승의 이름은 ‘월연대 일원’이고, 밀양 8경은 ‘월연정 풍경’이라 불러 혼동을 하게한다. 소쇄원에 광풍각과 제월당이 있듯이 월연정에 쌍경당과 월연대가 있는 셈이다. 월연대는 이병헌 주연의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경남 밀양의 풀 썰며 부르는 작두야소리
    「풀써는소리」는 논이나 밭에 거름으로 쓸 풀을 작두로 썰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풀 써는 일은 넣어주고, 밟고, 빼는 등 분업으로 진행했는데, 보통은 풀을 작두에 넣어주는 사람이 「풀써는소리」를 부른다. 현재까지 전승이 확인된 「풀써는소리」에는 어이야소리, 우러리소리, 작두야소리가 있다. 작두야소리는 밀양시 산내면에서 전승되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허어 작두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전통 한옥과 양식의 실용성이 결합된 밀양 손병구 가옥
    밀양 손병구 가옥은 전통양식의 한옥과 양식의 실용성이 결합된 가옥으로 안채는 1915년 경 건립되었고, 사랑채는 1937년 건립되었다. 2005년 국가등록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었다. 밀양 손병구 가옥은 밀양의 유학자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민족계 지방은행인 구포은행의 대지주였던 손영돈이 차남인 손정식을 분가시키기 위해 지은 집이다. 건립당시의 공간 배치와 평면 구성이 그대로 남아 있어 한옥 변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실학 정신이 이어지는 밀양 퇴로리 이씨고가
    밀양 퇴로리 이씨 고가는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 2길에 있는 여주 이씨의 종가집이다. 이익구(李翊九)가 1890년 건립했으며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는 전통적 지방 고가이다. 밀양 퇴로리 이씨 고가는 남향으로 자리한 목조기와집으로 자연 그대로의 막돌과 흙을 켜켜이 쌓은 토석담 위에 기와를 얹은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지금 남아 있는 건축물은 정침(正寢)과 중사랑(中舍廊) 그리고 별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벼껍질을 벗기는 매통 돌리며 부르는 경남 밀양의 목매소리
    「매통돌리는소리」는 벼의 껍질을 벗기는 도구인 매통을 돌리며 부르던 노래이다. 작업자 간의 호흡을 맞추고 일의 고됨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이다. 「매통돌리는소리」에는 목매소리와 매통소리 단 두 편만이 보고 되었다. 경남 밀양시에서는 「매통돌리는소리」로 목매소리를 불렀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 목마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인다. 밀양시 산내면에서는 많은 양의 곡식을 갈 때 쓰는 농기구인 멧지게질을 할 때도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임진왜란 때 충효열 삼강이 실현된 밀양 삼강동
    임진왜란 때, 손인갑과 노개방은 의병장으로 왜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손인갑의 아들 손약해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싸우다 또한 전사했다. 노개방의 아내는 남편이 죽자 따라 죽었다. 이들은 모두 밀양시 무안면 중산리 일대에서 태어났다. 선조는 삼강오륜 중 충효열을 실현한 이들을 기리기 위해 이 마을을 삼강동이라고 이름 내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손씨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9건)
자세히보기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우측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우측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좌측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좌측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클래식 음악만 듣고 자란 막걸리랍니다.
    막걸리는 남녀를 불문하고 격시을 차리거나 근사한 안주가 없어도 마실 수 있는 술이다. 경상남도 밀양에는 클래식 음악을 들으면서 만들어진 클래식 생막걸리가 있다. 생막걸리는 살균을 한 막걸리와 달리 효모와 유산균이 살아있기에 유통기한이 짧다. 단장 양조장에서는 밀양에서 생산되는 쌀로만 술을 빚어 특산주로 면허를 받고 인터넷 판매를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소뼈국물과 돼지수육이 어우러진 깊은 맛, 밀양 무안돼지국밥
    밀양돼지국밥은 소뼈를 오랜 시간 고아낸 국물에 쌀밥을 토렴한 다음 뜨거운 국물을 붓고 돼지고기를 푸짐하게 얹어내는 국밥으로 경상남도 밀양시의 향토음식이다. 밀양돼지국밥은 1938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무안장 인근에 ‘양산식당’을 연 최성달 씨가 처음 개발하여 판매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3대에 걸쳐 원조 밀양돼지국밥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