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석탄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장군이 이끌던 대한석탄공사
    대한석탄공사 산하 광업소가 연대 파업에 들어단 1954년, 대통령 특명으로 육군지원단이 파견되어 해결에 나섰다. 3명의 장군과 11명의 영관급 지휘관이 포함됐다. 군인 참여가 계속 이어지면서 1961년부터 1972년 사이에 총 4명의 장군 출신이 대한석탄공사 사장으로 부임했으며, 1974년부터 1995년까지 20년간 군 장군 출신이 연속적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국영 탄광인 대한석탄공사를 창립할 수 밖에 없던 이유
    1948년 5월 14일, 북한은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과 남한만의 단독선거를 빌미로 남한쪽에 전기 공급을 중단했다. 석탄은 북한에 총 매장량의 90%가 있었기 때문에 남한은 10%의 석탄으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이었다. 1948년 8월 15일 수립된 새 정부의 최대 선결 과제는 연료문제의 해결이었다. 1950년 11월 1일 한국전쟁의 와중에 대한석탄공사 창립을 강행한 것만 봐도 석탄의 필요성이 얼마나 시급한지를 짐작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태백시

    광업소 사가
    6.25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 정부는 산업을 건설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석탄 증산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이에 정부는 광부들을 산업전사로 추켜세우며 증산을 독려하며 노래까지 만들어 보급했다. 노래에는 착암기, 벨트컨베이어, 안전등 등과 같은 탄광의 주요 작업 장비가 등장하기도 하며, 광부가 국가 산업발전에 이바지한다는 노동의식 고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우리나라 최초의 탄전 지질 조사
    한반도에서 지질조사가 처음 시작된 것은 1800년대 후반의 일이다. 독일인 지질학자 칼 고트쉐가 「조선반도 지질답사기」를 작성했다. 이어서 동경제대의 고토오가 1900~1902년까지 조사하여 발표한 학술논문 등으로 체계적인 자료가 확보된다. 조선총독부가 1918년 ‘지질 조사소’, 1922년 ‘연료선광연구소’를 설치하여 발행한 「조선탄전조사보고」 자료는 광복 이후의 석탄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태백시

    석탄증산이 보국하는 길이다
    한때 ‘선(先) 증산, 후(後) 보안’ 또는 ‘선 생산, 후 안전’이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 석탄 에너지원 확보가 시급하던 시절의 유행어이다. 석탄 증산을 ‘보국증산(保國增産)’이라는 구호로 대체하던 1960~1980년, 기업인 측에서도 안전보다는 증산에 신경을 더 썼다. 이러한 탄광 기업 측의 무모한 생산독려 행태를 두고 노동자인 광부들은 빗대어‘선 생산, 후 안전’ 혹은 ‘선 생산, 후 안보’라고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탄광 운영 현황과 석탄 생산량
    1950년 대한석탄공사 창립 직후 운영한 곳은 장성·도계·영월·함백(강원도), 은성·문경·경주(경북), 화순(전남), 단양(충북) 등 총 9개 광업소였다.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통해 석탄 증산을 위한 민영탄광 설립을 지원하면서 광업소는 증가한다. 1972년에는 탄광 136개에 노동자 38,149명이, 1975년에는 탄광 239개에 45,645명이, 1986년에는 361개의 탄광에서 68,861명이, 석탄산업합리와 직전인 1988년에는 347개 탄광에서 62,259명이 종사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보령시

    보령 석탄박물관
    보령시의 유일한 공립박물관인 보령 석탄박물관은 1995년 5월에 개관하였는데, 석탄박물관으로는 국내 최초로 건립된 것이다. 석탄박물관에는 1970~1980년대 우리나라의 주된 연료이며 근대산업발전의 주요 에너지였던 석탄에 관련된 많은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아울러 석탄산업의 중요성을 일반인들에게 전하고자 석탄이 생성하는 과정과 탄광의 발달과정을 보여주고, 석탄을 채굴하는 작업환경과 그에 따른 장비 등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박물관의 고유기능인 전시 그리고 이들과 연계한 체험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태백시

    태백 석탄박물관
    태백 석탄박물관은 소도동에 자리하고 있다. 박물관 전시장에는 우리나라 유일한 부존자원이었던 석탄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박물관은 지상3층, 지하1층의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건축하였으며, 전시물로는 석탄산업 변천사와 석탄의 역사적 사료, 각종 암석 및 광산 장비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어려운 여건에서도 묵묵히 탄을 캐던 광부들의 노고를 이해할 수 있는 체험 학습장도 운영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문경시

    문경 석탄박물관
    문경 석탄박물관은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 옛 대한석탄공사 은성광업소 자리에 1999년에 개관하였다. 박물관 1층에는 우주의 탄생을 시작으로 지구의 형성하기까지 그리고 석탄의 기원과 변천 등 석탄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2층 전시장에서는 탄광촌이야기, 탄광사무실, 굴진 채탄 등 광부들의 생활 모습을 구성하였다. 3층 전시장에는 갱도체험관, 은성광업소가 1994년 문을 닫은 때까지 사용하던 갱도를 활용한 갱도전시장, 은성광업소가 가행할 때 건축되었던 실제 사택촌을 모델로 만든 탄광사택촌, 대형 장비를 전시한 장비체험장 등으로 구분하여 전시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목탄차에서 철제탄차로
    탄광 초기에 막장에서 캐낸 석탄을 밖으로 운반하는 도구로는 삼태기·질통·지게·가마니·대야 등이 이용되다가, 목재로 만든 탄차가 도입되었다. 갱도 레일이 부설되면서 민영탄광에서는 1960년대부터 철제 탄차(Coal tub, 일명 광차)가 보급되었으며, 도계광업소나 장성광업소처럼 규모가 큰 곳은 1940년대에도 1톤 용량의 철제 탄차가 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석탄을 직접 캐는 채탄 작업
    영상이나 사진을 통해 대중들에게 알려진 광부의 이미지는 바로 채탄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이다. 석탄을 직접 채취하는 일을 채탄작업이라고 부른다. 광업소 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대체로 1명의 선산부에 1~3명의 후산부가 함께 일을 한다. 동발을 세우고 기계를 조작하는 것은 선산부의 몫이고, 석탄과 자재를 운반하는 일은 후산부의 몫이다. 채탄갱도는 굴진갱도보다 훨씬 더 좁아서 채탄광부들의 작업 여건이 가장 힘들다고 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우리나라의 석탄 매장량
    우리나라의 석탄은 무연탄이 대부분이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역청탄은 매장되어 있지 않다. 그 외 갈탄과 토탄이 약간 있으나 열량이 낮아 개발하지 않고 있다. 총 석탄 매장량은 15억 톤이며, 이 중 6억 톤이 개발 가능하다. 삼척탄전의 매장량은 5억6558만 톤이며, 이 중 3억톤이 개발 가능한 매장량이다. 삼척탄전이 우리나라 총 매장량의 39%를 점유하고 있으며, 삼척탄전을 포함한 강원도가 우리나라 전체 매장량의 75.4%를 차지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석탄산업합리화사업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폐광대책비 지급과 떠나가는 광부
    1993년부터 어떤 탄광이든 폐광할 수 있게되자 1989년부터 1996년까지 334개 탄광이 폐광했으며, 3,876억원의 폐광대책비가 지급됐다. 합리화 정책은 탄광촌의 존립기반을 무너뜨렸지만, 경영주와 탄광노동자들은 폐광 보상금을 받기 위해 폐광을 원했다. 이로 인해 합리화 이전 68,500명이던 탄광노동자는 2000년 들어 8,200명을 남기고 모두 탄광을 떠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