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신라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북 >예천군

    탑을 세운 연유를 기록한, 개심사지 오층석탑
    이 탑은 고려 초인 현종 1년(1010) 건립된 것으로 상층기단 갑석에 140여 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내용은 현종 1년 건립공사를 시작해 2월 1일 돌을 다듬기 시작했고, 3월 3일부터는 광군사(光軍司)와 육대차(六隊車)와 소 1,000마리 승려와 속인 10,000명이 힘을 모아 세웠다. 또 향도와 공인 등 50여 사람이 감독하여 다음 해인 1011년 4월 8일 완공했다고 한다. 기록만으로 본다면 탑을 세우는 데 14개월이 소요됐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포항시

    석탑양식 변화의 시작, 법광사지 삼층석탑
    법광사지 삼층석탑은 이중기단과 3층의 탑신을 갖추고 있어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지만, 기단의 축소와 탑신부의 세장화가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를 통해 통일신라 말 석탑 양식의 형식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법광사는 828년(흥덕왕 3년)에 창건한 사원임을 알 수 있다. 창건주로 등장하는 성덕대왕은 김균정의 시호인데, 그의 사후 3년 뒤인 제45대 신무왕(?~839) 즉위 원년인 839년 4월에 추봉됐다. 김균정은 제42대 흥덕왕 사후인 836년에 왕위계승을 다투다 제43대 희강왕(?~838)으로 즉위한 김제융과 제44대 민애왕(?~839)으로 즉위한 김명 등에 의해 피살된 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아들 김우징은 장보고와 김양의 도움을 받아 제45대 신무왕으로 손자는 제46대 문성왕으로 즉위했다. 따라서 법광사는 신라 왕족인 김균정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그의 원찰로서 그의 아들과 손자의 후원으로 번창하였음을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합천군

    무른 돌을 갈아 탑을 세우고, 해인사 청석탑
    해인사 원당암 청석탑은 9세기 후반 진성여왕 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점판암을 가공해 공예탑 성격으로 조성한 특수형식 탑이다. 기단은 무른 점판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강석으로 제작했고, 탑신과 옥개석 모두를 점판암으로 제작했다. 원당암 석탑은 진성여왕 때에 위홍을 위한 원당으로 지목되면서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위홍을 위해 기존 석탑과 구별되는 형식으로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신라 불교 전파 통로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충주시

    백두대간을 최초로 넘었던 하늘재 옛길
    하늘재 옛길은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충주시를 잇는 해발 520m의 고갯길로, 백두대간을 넘는 여러 고갯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고갯길이다. 하늘재는 한반도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국방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였다. 하늘재 옛길은 삼국시대 한반도에 전래된 불교가 신라로 이동하던 통로이며, 주변에서 생산된 물자의 교역이 이루어지던 남북 무역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신라 문화유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대량의 목간이 출토된 성산산성
    함안읍 가야읍 소재지에서 남남동 방향으로 약 2.5km 떨어진 해발 139.4m의 조남산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둘레 1.4km 정도의 삼국시대의 석축성이다. 조남산성(造南山城)이라고도 한다. 내․외벽은 모두 돌로 쌓은 협축식이고 신라산성의 특징을 보이는 외벽보강 구조물, 연화문막새 등의 기와류, 6세기 중반으로 추정되는 명문목간,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따라서 이 산성은 아라가야가 멸망한 직후 신라에 의해서 축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경주시

    당간지주의 백미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진평왕릉 남쪽 논가운데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로서 높이는 146cm이다. 현재 지주의 아랫부분이 상당히 매몰되어 있어서 간대나 기단의 유무와 최하부의 구조를 확인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원위치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추정이 되며 동서로는 62cm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정상부분 안쪽에 있는 너비 13cm의 큼직한 간구는 당간을 고정 시켰던 장치이다. 특히, 이 당간지주 상부와 측면에 설정된 방형구획 안에는 지름 47cm의 팔판연화문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당간지주에 연화문을 조각하여 장식하는 예는 이곳을 제외하고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제작연대는 8세기 중엽 이후로 생각되며,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 중에서 가장 특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그러나 당간지주의 원래의 소속 사원이 동남쪽에 터가 남아있는 보문사지 였는지, 아니면 별개의 사원이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경주시

    남간사지 당간지주
    남간사는 문무왕대 고승이었던 혜통이 주석했던 사찰로 알려져 있다. 당간지주는 사찰에서 부처님을 상징하거나 큰 법회 등의 행사를 위해 거는 그림을 공중에 매달기 위한 시설물이다. 현재까지 통일신라 이전의 당간지주 건립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남간사지 당간지주는 통일신라 초 당간지주의 특징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양시

    중초사지 당간지주
    보물 제4호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는 본래 위치에 세워져 있으며 두 지주는 약 85㎝ 정도 간격을 두고 동서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서쪽 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명문은 모두 6행 123자로 해서체로 쓰였다. 이 글에 의하면 신라 흥덕왕 1년(826) 8월 6일에 돌을 골라서 827년 2월 30일에 건립이 끝났음을 알 수 있다. 당간지주에 문자를 새기는 것은 희귀한 예로, 만든 해를 뚜렷하게 알 수 있는 국내에서 유일한 당간지주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통일신라시대 부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화순군

    부도의 백미, 쌍봉사 철감선사 부도
    국보 제57호 쌍봉사 철감선사탑(雙峰寺 澈鑒禪師塔)은 868년경 건립된 통일신라 석조 부도다. 현존하는 통일신라 부도 19기 중 탑신에 새겨진 조각과 조형미가 가장 뛰어나, 철감선사는 쌍봉사에서 선종을 크게 전파하여 제자인 징효(澄曉)가 영월에 법흥사 사자산문을 열어 구산선문의 하나로 되었으니 하대(下代) 신라에서 그의 위상을 능히 알 만하다. 철감선사탑은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통일신라 승탑 중 뛰어난 걸작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통일신라시대 계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양산시

    적멸보궁의 상징 통도사 금강계단
    신라 선덕여왕 15년(646) 자장율사에 의해 조성된 금강계단은 통도사 창건 이후 수차례에 걸쳐 중수되었기 때문에 창건 당시의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다. 다만 『삼국유사』 기록에 ‘계단은 2층으로 위층 가운데에는 마치 가마솥을 엎어 놓은 것과 같다’라는 기록을 통해 그 형태가 현재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신라석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전 >대덕구

    테뫼식 석축의 으뜸 대전 계족 산성
    해발 423m 계족산 정상부에서 북동쪽으로 길게 발달된 능선을 따라 약 1.3km 지점에 해당되는 해발 431m의 봉우리 위에 축조되어 있는 둘레 약 1,037m의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산성의 전체적인 평면형태는 남북을 장축으로 하는 장방형에 가까운 모습이다. 백제가 쌓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1998∼99년 발굴을 통해 신라에서 쌓은 것으로 밝혀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통일신라시대 복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0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길어지고 화려해진 통일신라의 치마(裳)
    치마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전체에 걸쳐 입었던 흔적이 발견되는 의복으로 크게 상과 군으로 구분해서 입었다. 삼국시대 치마는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땅에 끌리는 정도였다. 또 허리부터 치마단까지 잔주름이 있었다. 그리고 치마단에는 장식연(緣)이 붙어 있으며 단에는 선(襈)이 있었다. 통일신라시대의 치마는 현대의 치마와 같이 위에만 주름이 잡혀 있다. 또한 속치마인 내상(內裳)를 껴입었다는 것은 복식금제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치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통일신라 시대의 바지, 고(袴)
    북방유목인이었던 우리 민족은 일찍이 바지를 착용하였다. 우리 민족은 상고시대(上古時代)부터 현대 한복에 이르기까지 위에는 웃옷을 입고, 아래에는 바지를 착용하는 상의하고(上衣下袴)를 기본으로 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삼국시대에 이어 통 넓은 바지를 입었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평민층의 바지는 역시 통이 좁은 바지인 궁고(窮袴)가 계속해서 입혀지고 있었다. 흥덕왕 때의 복식금제령을 통해 상하계급의 남녀가 모두 바지를 겉옷으로 입는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삼국시대와 마찬가지로 통일신라시대에도 평상시에는 여자가 바지를 입는 풍습은 지속되었으며, 치마만 입는 일은 드물었고 의례용으로 치마를 바지 위에 덧입었으리라고 추측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목에 둘러 길게 드리운, 표(裱)
    표(裱)는 당나라 제도에서 나온 영포(領布)를 말하는 것이다. 영포는 일종의 목도리로 여인들이 목뒤부터 가슴 앞으로 길게 장식으로 둘렀다. 표는 통일신라시대 복식의 기본 형태로 상의와 하의에 표를 두르고 표의를 입었다. 표는 상의인 단의의 소매 형태와 크기와 함께 신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라 흥덕왕 때의 복식금제(服飾禁制)의 내용으로 보아 표에 대한 장식이 극히 호화로웠음을 알 수 있다. 표의 형태를 볼 수 있는 유물로는 경주 용강동에서 출토된 여인상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통일신라시대 석장승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영암군

    왕의 명을 받아 세운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433-3에 세워져 있다. 구림리라는 지명은 고려시대 도선국사의 탄생설화와 관련이 있으며, 동구림리는 국사암의 동쪽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에 관한 기록은 『동국여지승람』 「불우조」에 “도갑사 사하동 입구에 두 개의 입석이 있는데, 그 하나는 국장생 세 자가 새겨져 있고, 다른 하나에는 황장생 세 자가 새겨져 있다.”라고 되어 있다. 황장생의 ‘황’은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왕의 명을 받아 세우는 장생에 붙는 말로 매우 귀한 글자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