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안성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안성의 문화유산 돋보기

    출처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기 >안성시

    안성의 문화유산 돋보기
    경기도 안성시 12개 면에 소재한 111개의 유형문화재를 지역별로 분류 및 촬영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첨부한 기록 영상물이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물구나무를 서거나 재주를 넘는 땅재주
    땅재주는 땅재주꾼이 어릿광대를 대동하고 음악 반주에 맞추어 땅 위에서 물구나무를 서거나 재주를 넘는 등 신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예를 보여주는 전통 연희이다. 조선시대 후기 땅재주꾼들은 전국의 장터를 다니며 공연하였다. 남사당패들이 땅재주를 살판이라 부르는 것은 그만큼 위험이 따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땅재주는 땅재주꾼이 벌이는 기예와 땅재주꾼과 어릿광대가 서로 주고받는 재담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놋그릇을 만드는 유기장
    유기(鍮器)는 구리에 주석을 합금한 청동, 아연을 합금한 황동의 일종으로 만든 그릇이다. 유기[놋그릇]를 만드는 곳을 ‘놋점’이라고 하고, 놋쇠를 다루어 각종 기물을 만드는 기술 및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을 ‘유기장’이라고 한다. 조선 중·후기에 들어서 지방마다 ‘놋점’이 생겨나 각종 유기를 만들었다. 그러나 반가(班家)나 지방의 부호들은 맞춤그릇을 사용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경기도 안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고구려의 전성기를 볼 수 있는 안성 도기동산성
    4~6세기 사이에 백제가 축조했고,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에 고구려가 활용한 경기 남부지역에서 최초로 확인된 목책산성이다. 고구려 관련 유적과 연계하여 한강이남 지역에서의 고구려 영역확장과 남진 경로를 살펴 볼 수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또한 목책구조가 잘 남아 있는 드문 사례로 삼국시대 책(柵)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 고대 성곽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로 주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이덕남 장군묘
    의병장 이덕남(李德男, ?~1592년)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 안성에서 그의 외삼촌 홍자수와 함께 의병을 조직하여 왜군과 싸웠다. 후에 서운산성에서 토성을 쌓아 왜적을 무찌르다가 적의 기습공격에 전사하였다. 1718년(숙종 44)에 정려가 내려지고 병조참의에 추증되었다. 묘는 그의 부인과 합장으로 되어 있으며, 원래 조형물이 없었으나 그의 후손들이 1975년에 조성했다. 1975년 9월 경기도 시도기념물 제26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정국공신 3등에 추록되어 파천군에 봉해진 윤탕로
    윤탕로는 공조참의, 형조참판,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했던 조선 전기 무신이다. 아버지는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로 윤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윤호의 딸이자 윤탕로의 누이가 정현왕후가 되면서 영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이렇게 가문은 대를 이어 부원군이 되는 경사를 맞이했다. 1508년 4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시호는 영평(靈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15개의 철통을 연결하여 세운 칠장사 당간
    당간은 고대 인도 사원건축 입구에 세워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던 상징물에서 기원했다. 불교 발생 이전부터 사용되던 당간은 깃발을 설치하기도 했는데, 이를 통해 신성한 공간을 구분하는 기능을 담당해 왔다. 당간지주는 깃발을 거는 간대와 이것을 지탱하는 지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칠장사 당간지주는 고려 말~조선 초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간대를 15개의 철통을 연결해 구성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안성의병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안성의병장 홍계남장군 고루비
    임진왜란 때 크게 활약한 의병장 홍계남장군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로, 그의 옛 싸움터인 목촌의 야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홍계남장군이 전사한지 140여년 만에 그의 고향인 안성주민들이 장군의 공을 잊지 못하여 돌을 다듬어 그가 싸우던 지역에 비석을 세우고 그 공적을 기록한 것이 고루비이다. 옛날에 진대가 있던 자리에 비를 세웠다 하여 고루비라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안성에서 활약한 의병장 홍계남
    홍계남(洪季男)은 1590년(선조 23) 통신사 군관으로 황윤길(黃允吉)·김성일(金誠一) 일행을 따라 일본에 건너갔다가 1591년에 돌아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 홍언수와 함께 안성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활동하면서 전공을 세워 첨지로 승진하였다. 홍언수가 왜군과의 전투에서 순절한 이후 홍언수를 대신하여 의병을 이끌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안성맞춤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안성 양협토기, 6대째 전통의 숨결을 이어가는 옹기 명가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대복리의 양협토기는 추정 가능한 연대로만 130년이 넘는 전통 옹기점이다. 현재 양협토기의 대표 유수봉 씨는 5대째 선대의 가업을 잇고 있다. 그의 가문에서 옹기 제조를 가업으로 삼게 된 것은 신앙이 동기로 작용하였다. 일찍이 천주교를 받아들였던 그의 조상들은 천주교 박해를 피해 선향(先鄕)이었던 황해도를 떠나 이곳저곳으로 피신하면서 연명하기 위해 재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옹기를 만들게 되었다. 유수봉 대표의 선친 대에 이르러 비로소 현재 위치에 정착하였고, 현재는 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한 아들 유상근 씨가 6대째 가업의 대물림을 진행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안성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경기도 안성시 아양동 아롱개마을 미륵고사
    경기도 안성시 아양동 아롱개 마을에서는 마을의 안녕을 위해 미륵부처에게 고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아롱개마을 미륵고사라고 한다. 미륵부처는 아양동 보살입상과 아양동 석불입상으로 각각 향토유적 10호와 13호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경기도 안성시 도기동 도고머리 서낭제
    경기도 안성시 도기동은 농촌지역으로 도고머리라고 부르는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마을제사를 도기농 도고머리 서낭제라고 한다. 과거에는 정월대보름이나 정월 3일에 지냈다고 하는데, 현재는 음력 1월1일에 지내고 있다. 산신이라고 인식하는 마을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을 서낭제라고 하는데, 서낭제와 함께 우물제사인 정제를 지냈었다. 현재는 우물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서낭제만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안성 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해주오씨의 유서깊은 집, 안성 정무공 오정방 고택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주민들의 90% 이상이 해주오씨이다. 덕봉리에 해주오씨가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오경운의 부인인 풍산 심씨 덕분이다. 심씨 부인은 거짓 역모 사건에 휘말린 시아버지와 남편의 시신을 덕봉리에 있는 친정집 근처의 명당에 장사지낸다. 그리고 친정의 도움을 받아 오수천과 오수억 형제를 엄히 가르쳐 무관으로 키운다. 오수억의 아들 오정방이 경상좌도 병마절도사와 인조의 호종을 맡게 되어 가문을 크게 일으킨다. 이후 덕봉리는 해주오씨의 세거지가 된다. 안성 정무공 오정방 고택은 정무공 오정방(吳定邦)과 천파공 오상, 그리고 충정공 오두인 등 해주오씨의 명현들을 여러 명 배출한 유서 깊은 집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숨은 명필이 살던 안성 이해룡 고가
    안성 서운면 청룡리에는 1900년대부터 유명해진 남사당패의 근거지인 청룡사가 있다. 이해룡은 한석봉에 필적할 만한 명필 서예가였다. 청룡리 마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이해룡 고가는 풍수적으로 ‘명예’가 좋은 땅이라고 한다. 1797년에 지어졌으나 2000년에 완전히 허물어졌고, 현재의 고가는 2006년에 복원한 것이다. 이해룡 고가는 상류 주택의 특징을 구비한 집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상소를 올리고 죽은 오두인의 고향에 세워진 덕봉서원
    덕봉서원은 숙종 대의 문신인 오두인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오두인은 장희빈을 왕후의 자리에 앉히기 위해 인현왕후를 폐위하려는 숙종의 명을 거스르는 상소를 올렸다. 부모가 화평하지 않으면 자식이 화평할 수 없듯 선비들과 백성들이 모두 슬퍼하니 사심을 버리고 인심과 하늘의 뜻을 따르라는 유교적 논리로 임금의 명에 반대한 것이다. 상소를 보고 격노한 숙종은 상소문을 작성한 이들을 불러 가혹한 심문을 하였고, 다음날 유배를 가던 길에 오두인은 숨을 거두었다. 서원과 멀리 않은 곳에 오두인의 종갓집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도를 깨우친 칠현인이 머물던 유서 깊은 사찰, 안성 칠장사
    경기도 안성시 칠현산 기슭에 자리한 칠장사는 고려시대 혜소국사가 일곱 명의 도적을 제도하여 도를 깨우치게 한 일화와 관련된 사찰이다. 칠정사라는 절 이름 자체가 이들 칠현인과 관련되어 있다. 칠정사에는 임진왜란 때 혜소국사와 왜장 가등청정과 관련된 신이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오랜 역사를 지닌 칠장사에는 국보인 오불회괘불탱를 비롯하여 보물인 혜소국사비, 그리고 경기도 유형문화재인 당간지주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남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