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역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기 >파주시

    황해도 장단에서 강원도 철원으로 이어지던 도원도(桃源道)
    도원도는 조선 시대 경기도 장단에 있던 도원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역로로서, 1457년 찰방으로 승격되었다. 경기도의 장단-연천, 장단-적성, 철원 등 경기 동북부를 관할하던 역로였다. 고려 시대에 개성을 중심으로 역로가 편성됨에 따라 개성의 동북쪽 방면을 거쳐 철령(鐵嶺)까지 연결되었으며, 한양으로 도읍을 정한 후 한양과 철원을 잇는 역로 및 역을 관할하는 중심 역로가 되었다. 도원도의 중심역인 도원역은 여진족 접대 및 6진 개척 등 외교와 국방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도안도의 구간은 현재 군사분계선 이북에 일부가 분포하고, 군사분계선 이남에서는 파주시·연천군·철원군에 분포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기 >수원시

    영화도의 중심 영화역
    영화역은 정조 때에 양재역을 수원으로 이전한 후 영화역으로 이름을 고친 역으로, 한양에서 충청도로 이어지던 영화도를 관할하던 찰방역이었다. 영화역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으로 인해 사람들은 영화역을 모든 역 가운데 우두머리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영화역이 자리했던 수원 화성의 북문 밖은 여전히 서울과 수원을 오가는 주요한 교통요지로 기능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화역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과천시

    서울 양재역을 중심으로 하는 양재도(良才道)
    양재도는 조선 시대 양재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역도이다. 양재도가 관할하던 범위는 한양-양재-용인-양지-죽산-충주로 이어지는 역로와 한양-과천-수원-진위로 이어지는 역로이다. 한양에서 남쪽으로 연결되던 양재도는 한양 남쪽의 각 방면으로 연결되는 도로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만큼 그 중요성이 컸다. 1785년에는 한양에서 수원으로 이어지는 영화도로 개편되면서 새롭게 과천역과 영화역을 두게 되었다. 양재도를 중심으로 지금의 서울특별시 강남구에는 사평나루와 사평원이 있었다. 1624년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충청도 공주로 피난 가던 길도 양재도를 통과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매듭공예 역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전통매듭공예의 역사와 변화
    전통매듭공예의 정확한 유래와 역사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여러 가지 정황상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사냥을 해서 포박을 하거나 그물을 제작하여 고기를 잡는 모습 등에서 매듭의 역사를 조명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전통매듭공예는 기능적인 면에서 예술적인 부분으로 서서히 변화를 겪고 있다고 하겠다. 오랜 역사를 지닌 매듭공예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데, 다양한 기법과 재료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동물과 곤충, 동물형 매듭의 종류와 쓰임새
    우리나라 전통매듭공예는 크게 식물형과 동물형 매듭으로 구분이 된다. 이 가운데 동물형 매듭에는 여름철에 볼 수 있는 잠자리매듭을 비롯해 나비매듭, 벌매듭, 사색판매듭, 매미매듭, 꼰디기매듭, 날개매듭, 병아리매듭, 자라매듭, 지네매듭, 산호매듭이 있다. 이들 매듭을 동물형이라고 부르긴 하나 좀 더 세부적으로 보면 동물과에 속한 곤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물형 매듭 가운데 병아리매듭과 산호매듭은 나름대로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광주시

    병자호란의 마침표가 된 삼학사의 남한산성 현절사
    남한산성의 현절사는 삼학사를 배향하는 곳이다. 삼학사는 청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척화파의 수괴로 청나라에 끌려가 죽임을 당하였다. 삼학사 중 한 명인 홍익한은 청 태종 앞에서 명나라와 맺은 군신의 의를 깨고 청나라를 황제의 나라로 인정할 수 없다고 당당히 말하였다. 전쟁의 승패를 떠나 대의와 도리가 있어 화친을 반대했다는 주장에 청 태종도 할 말을 잃었다고 한다. 송시열은 삼학사의 전기를 집필해 그들의 죽음이 의리와 절개를 위한 죽음이었음을 칭송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후금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정묘호란
    조선은 인조가 집권한 이후 친명배금정책을 내세웠고, 후금에서도 누르하치의 뒤를 이어 주전론자인 태종이 즉위하였다. 또한, 후금은 명과의 전투 때문에 심한 물자 부족 현상을 해결해야 했으므로 조선을 침략하여 명을 공격하기에 앞서 후환을 없애고자 하였다. 이에 후금군은 조선을 침략하여 파죽지세로 남하하였으나 후방을 공격당할 염려에 조선과 형제의 맹약을 맺어 화의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국가존망의 위기에 선조의 명을 받은 병자의병
    후금은 1636년 국호를 청으로 고치고 다시 조선을 쳐들어왔다. 청의 침입 소식이 전해지자 호남지역 의병이 먼저 일어나 자진하여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어 남한산성에 포위되어 있던 인조로부터 위급을 알리며 의병을 규합하고 군량과 무기를 수집하여 청의 침략을 무찌르라는 교서가 전달되자 의병은 전국적으로 퍼졌다. 그 외 황해도․경기도․경상도 등지에서 의병이 일어났고, 의승군의 활약도 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지역의 불천위 제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공주시

    종가가 절손하여 봉사손이 지내는 윤각 불천위 제례
    윤각(尹慤, 1665~1724)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함안이다. 1805년(순조 5)에는 백두산 경계를 획정하는 등 무관으로 세운 공이 인정되어 임금의 특명으로 부조묘를 하사받았다. 윤각 장군 불천위 제례는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를 세거지로 하는 함안윤씨 충민공파 종중에서 전승하고 있다. 오래 전에 절손된 뒤 현재는 윤왕재를 봉사손으로 정하여 제를 지내고 있다. 윤각 장군의 불천위 제례 제일은 음력으로 1월 9일이다. 제례 비용은 위토답에서 마련되며 장소는 윤각 장군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제물이나 제례 절차는 기제와 대동소이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괴산군

    부조묘를 받은 광주이씨 이극감·이세좌·이광악의 불천위 제례
    이극감(李克堪, 1427~1465)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이세좌(李世佐, 1445~1504)는 이극감의 장남이며 조선 초기 문신이다. 이광악(李光岳, 1557~1608)은 이세좌의 현손이며 조선 중기 무관이다. 이들은 모두 불천지위를 인정받았으며 이극감·이세좌·이광악 불천위 제례가 전승되는 곳은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64번지에 있는 이극감의 종가이다. 불천위 제례는 종가의 뒤편에 위치한 사당에서 모신다. 제물의 종류는 과일, 과자, 나물, 전, 적, 메, 탕, 국(무탕) 등이다. 제사절차는 기제사와 대동소이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용인시

    해주오씨의 세거지에서 지내는 오윤겸 불천위 제례
    오윤겸(吳允謙, 1559~1636)의 불천위 제사를 ‘추탄상공 향사’나 ‘추탄공위 부조지전(不祧之典)’이라고도 부른다. 오윤겸(吳允謙, 1559~1636)의 불천위 신주를 모신 사당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 98-1번지에 있다. 추탄 오윤겸의 불천위 제례는 음력 1월 18일 자정에 모신다. 첫 번째 부인인 경주이씨 배위 제사는 음력 6월 16일에, 두 번째 부인 덕수이씨 배위 제사는 음력 3월 27일 자정에 지낸다. 불천위 제례를 지낼 때 제수 비용은 요즘 대략 200만원 정도 든다. 제수진설은 홍동백서(紅東白西)와 좌포우혜를 원칙으로 이루어진다. 불천위 제례 절차는 ‘해주오씨 추탄공파재실제홀기(海州吳氏楸灘公派齋室祭笏記)’에 의거하여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인천지역설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인천 >미추홀구

    안관할아버지를 비웃어 벌 받은 부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문학산(文鶴山)이 있다. 문학산 정상 봉수대가 있던 자리 아래에 ‘안관당’이라 부르는 사당이 있었는데, 김민선(金敏善) 부사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이었다. 이 사당에 얽힌 설화가 전해내려온다. 안관당에 나무로 깎아 만든 할아버지와 할머니상이 있었고, 마을 주민들이 이들을 마을신으로 모셨다. 그런데 한 부인이 안관할아버지의 험상궂은 얼굴을 보고는 흉을 보았다. 그 후 부인이 아들을 낳았는데 생긴 것이 안관할아버지 목상처럼 생겼으며, “씨익, 씨익.”하는 이상한 소리를 내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제주근대역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항쟁과 학살 사이에 서있는 돌담 – 제주 4‧3 수악주둔소
    국내외 관광객이 즐겨 찾는 제주도의 화려한 모습 이면에는 제주 4‧3항쟁의 비극이 숨어있다. 4‧3항쟁을 생생히 증언하는 문화재가 소화산인 물오름(수악)에 있다. ‘제주 4‧3 수악주둔소’다. 수악주둔소가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 서로 다른 두 가지 기록이 존재한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의 기록에 따르면 수악주둔소는 무장 세력이 궤멸 직전이던 1949년 가을경에 만들어졌다. 한편 문화재청 자료에 의하면 수악주둔소는 한국전쟁 이후 축조되었다. 경찰이 얼마 남지 않은 무장대 토벌작전을 위해 1952년 4월 제주에 32개의 주둔소를 설치하였는데, 수악주둔소 역시 그 가운데 하나이다. 1952년 창설된 100전투경찰사령부가 수막주둔소를 확장, 수리하여 본격적인 소탕작전을 펼쳤다. 수악주둔소는 제주 4․3사건 유적 중에서도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하다. 문화재청은 제주 4‧3 수악주둔소를 등록문화재 제716호로 지정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수많은 외국과의 전투가 이루어진 강화산성
    이 산성은 몽고의 침입으로 서울을 개경에서 강화로 1232년 6월 천도하면서 축성한 내·중·외 3성중 내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내성은 주위 약 1,200m로 지금의 강화성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성에는 봉림대군을 위시한 빈궁들과 일부 신하들이 들어갔다. 그러나 청군은 1637년 1월 각도의 근왕병을 패전시키고, 1월22일 홍이포를 쏘면서 강화성을 유린하였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신미양요와 일본 침략에 의한 강화조약을 체결한 수많은 외세침략의 역사적인 현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번역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부산 >서구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최초로 소개한 근대 연극의 아버지, 현철
    현철은 일제 강점기 조선 사회의 비판과 공론의 중심이던 문예지 『개벽』의 학예부장으로 활약하는 동안 소설이론 및 연극과 희곡의 주요 기능, 문화 관련 시론 전반을 두루 다루고 특히 민중극 운동의 중요성을 논문으로 정리했으며 그 실현을 위해 헌신했다. 1920년대 초에 단역 배우에서 출발해 조선반도 최초의 연극학교를 세웠던 공연예술문화의 독보적 선구자로, 우리 연극사 중에서 신파극에서 정통 근대극으로의 전환 과정에 징검다리를 놓은 인물로 평가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