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예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예술공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4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전주시

    전주시 덕진구 팔복예술공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산업단지에는 '팔복예술공장'이 있다. 1979년 쏘렉스 공장으로 문을 열었다. 카세트테이프를 만들던 곳이다. CD가 등장하며 쇠락하다가 1991년 폐업한 후 25년 동안 폐공장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다 황순우 건축가가 참여하여 리모델링하여 2017년 10월에 새롭게 개관했다. 팔복예술공장은 전시 공간과 입주 작가 작업 공간, '써니'라 이름 붙인 카페 공간, 공장과 공장 사이 공터에 툭툭 던져 놓은 컨테이너에 담아 둔 책방과 만화방 등이 모여 있다. 공장 바로 옆에는 가끔 화물 열차가 지나는 기찻길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피란시절 예술인들이 모여든 향촌동, 대구 향촌문화관
    대구광역시 중구 향촌동은 오랜 시간동안 대구의 중심지였다. 조선시대에는 경상감영의 화약고가 있던 곳이고, 한국전쟁 이후에는 예술인들이 많이 모이던 ‘문화예술인의 거리’이기도 하다.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피란민 중 문인들도 있었다. 김동리, 조지훈, 박목월 등이 향촌동의 다방 한 구석에서 시를 읊었고, 변훈, 하대응, 김동진 같은 작곡가들에 의해서 명곡이 탄생했다. 이중섭이 담뱃갑에 그렸던 은지화도 향촌동에서 그려졌다. 이런 향촌동의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향촌문화관에서 볼 수 있다. 향촌문화관은 1912년 대구 최초로 설립된 은행인 선남상업은행 건물에 들어서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대구예술발전소 & 수창청춘맨숀
    대구연초제조창(KT&G) 을 리모델링한 대구예술발전소와 이 연초제조장 직원의 관사였던 아파트가 수창청춘맨숀이다. 두 건물은 나란히 옆에 붙어있다. 대구예술발전소는 1949년에 짓고 1976년에 증축한 별관의 창고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2013년에 문을 열었다. 수창청춘맨숀은 1976년부터 관사로 쓰이다가 1996년 연초제조장이 문을 닫으면서 20년 남짓 방치되어 있다가 2016년에 리모델링하여 문을 열었다. 전시장, 공연장, 독서당 등 다양한 공간이 들어서 있고, 변지현 작가의 ‘문플라워(Moon Flower)’ 벽화는 큰 보름달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려는 여행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향로에 담긴 조선시대 경제 이야기, 부석사명 은입사 철제 향로
    부처님께 음식과 물건을 올리고 의식을 행하는 공양을 할 때 사용하는 물품을 공양구라고 한다. 이 중 향로는 공양구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우리나라에서 향로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나 그 예시가 많이 남아있지 않다. 고려시대의 향로는 주로 청동 또는 청자로 제작되었고, 조선시대의 향로는 유기와 백제로 제작되었으며 간혹 철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사찰에서 사용하는 향로는 청동, 유기와 같은 금속제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동전 주조 정책과 더불어 구리 확보가 힘들어지자 철제 향로가 제작되기 시작했다. 부석사명 은입사 향로는 향로의 구연부부터 받침대에 이르기까지 당초문과 연화문이 은입사 기법으로 새겨져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정조(正祖)의 시가 새겨진 철제 은상감 자
    조선시대의 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이름과 크기가 달랐다. 제사와 관련된 물건을 만들 때 사용한 조례기척(造禮器尺), 악기를 제작할 때 사용한 황종척(黃鐘尺), 건축에 이용한 영조척(營造尺), 옷감의 길이를 재는 포백척(布帛尺) 등이 있다. 이러한 자는 표준 길이로써 역할을 했기 때문에 여러 번 사용해도 모양이 변하지 않아야 했다. 따라서 주로 쇠나 놋쇠로 만들어졌으며 가볍게 사용하기 위해 대나무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정조 재위 20년이었던 1796년 음력 2월 1일, 정조는 농사철의 시작을 기념하는 중화절(中和節)을 연회를 열고 신하들에게 중화척(中和尺)을 하사했다.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지만 철제 은상감 자 또한 중화척으로 하사되었다. 특히 철제 은상감 자에는 정조가 직접 지은 시도 새겨져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남구

    파격미 넘치는 용문양이 그려진 백자철화용문호
    부산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17세기 백자철화용문호는 2012년 5월 17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2호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38.4㎝로 몸체의 윤곽선이 풍만하면서도 원형에 가까운 이른바 '달 항아리'의 모습이다. 대형 항아리는 몸통의 상부와 하부를 따로 만들어 접합하였는데, 이 항아리 역시 커다란 발(鉢) 두 개를 구연끼리 맞붙이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동체 중앙부에 깎아 다듬은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문양은 항아리를 휘감은 용과 풀처럼 보이는 구름이며, 얼굴이 해체된 듯한 용의 모습은 파격미가 돋보이는 지방 가마의 작품임을 추정하게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금속공예 재료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광양시

    기술이 예술이 되는 지점, 광양 장도의 전통 제작기법
    장도는 칼집과 칼자루, 장식, 칼날 세 부분으로 나뉘며 제작 공정 역시 이 세 부분으로 나뉜다. 재질에 따라 칼자루와 칼집을 먼저 제작할 수도 있으며, 장식을 먼저 제작할 수도 있다. 광양 장도의 맥을 잇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제60호 박종군 장도장에 따르면 광양 장도는 장식을 먼저 제작하는 경우가 더 많다. 광양 장도의 제작 기간은 짧게는 3일, 길게는 수백일이다. 세분하면 177가지에 이르는 공정을 거치며 장도장의 기술과 미적 감각을 집약한 장도가 탄생한다. 공정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울문화예술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성북구

    천재 조각가의 자취, 서울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
    서울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는 조각가 권진규가 1962년에 지은 작업실이다. 한국적 사실주의의 대가로 평가받고 있는 권진규는 테라코타 흉상을 주로 만들었다. 작품 모델은 자기 자신이거나 그가 이런저런 인연으로 만난 사람들이다. 그래서 작품의 이름도 경자, 현옥, 혜정, 애자, 봉숙, 영희 등이다. 흔하디흔한 이름이어서 토속적인 느낌마저 든다. 평범한 얼굴들에서 구도의 형상을 읽어낸 작가의 시선은 가히 천재적이다. 하지만 많은 천재들의 삶이 불운했듯 권진규 역시 고통스러워했다. 권진규는 52세에 자신의 작은 작업실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궁예, 철원을 도읍으로 후고구려를 건국하다
    궁예는 성은 김(金)씨이고, 아버지는 신라의 제47대 헌안왕(憲安王) 혹은 제48대 경문왕(景文王)이며, 10여세에 승려가 되어 지내다가 양길(梁吉)의 부하로 활동하며 정치적 입지를 키워 세력을 확장한 결과 901년 고구려를 건국하였다. 904년에 국호를 마진으로, 911년에 다시 태봉으로 정하면서 후삼국의 맹주로 성장하여 당시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할 정도로 세력을 떨쳤지만, 신정적 전제주의의 폭력적이고 잔혹한 정치를 펼쳐 지역 호족 세력들을 규합하는데 실패하고 918년 부하들에게 폐위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화천군

    전통적인 운율에 현대적 감각을 더한, 시조 시인 이태극
    시조 시인인 이태극은 강원도 화천군 출신으로, 자연과 이간의 공존을 추구하는 시조를 보여주었다. 대표 시조로는 감각적인 시어로 표현된 '三月은'과 '山딸기'가 있다. 강원도 화천군에는 이태극의 문화 세계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이태극 문학관'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의 허균
    허균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전소설이자 최초의 한글소설인 「홍길동전」의 저자이다. 허균은 명문가 유학자 집안에서 태어났고, 천재적인 예술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시대와 화합하지 못했다. 늦게 얻은 벼슬길에서 여러 죄명으로 좌천당하고 유배당하다 결국 역모죄로 능지처참을 당했다. 하지만 그의 자유분방한 사상은 작품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다. 여류시인 허난설헌이 그의 누이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쓴 김시습
    매월당 김시습은 어린 시절부터 천재로 이름이 높았고, 수양대군이 단종을 내몰고 왕위에 오르자 분노하여 승려가 되어 전국을 방랑했기에 생육신으로 불린다. 그리고 경주 남산에 금오산실을 짓고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썼다. 그 외에도『산거백영』,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묘법연화경별찬(妙法蓮華經別讚)』 등을 지었고, 유고로 『매월당집(梅月堂集)』이 전한다. 그의 본관인 강원도 강릉의 경포도립공원 내에 매월당김시습기념관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예능프로그램 촬영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6건)
자세히보기

#진주 문화예술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진주시

    진주검무의 맥을 이은 강귀례
    경상남도 진주 출신의 강귀례는 진주권번에 소속된 기녀였다. 궁중무희에게 진주검무를 익히고, 한량무를 익히면서 두 종목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진주 교방 문화를 이어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예천군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예천군

    임진왜란 이전에 지어진 예천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 위치한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은 초간(草間) 권문해(權文海, 1534~1591)의 조부가 1589년에 건립한 가옥이다. 임진왜란 이전에 건립되어 지금까지 남아있는 몇 안되는 가옥 중 하나이다. 풍수의 명당에 자리한 이 가옥에는 보물(寶物, 457호)로 지정된 별당 사랑채를 비롯해, 별당 뒤의 남쪽으로 치우쳐 본채가 자리잡고 있다. 대문간채에 계단을 설치해 건물이 높고 웅장해 보이도록 했다. 별당 안에는 무오사화(戊午史禍, 1498년)에 희생된 권오상의 형제가 심은 수령 500년의 향나무가 있으며, 본채에는 예천권씨종가문적 다수가 보관되어 있어 가옥과 더불어 중요문화유산의 보고(寶庫)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예천군

    건물끼리 가리지 않도록 공간의 묘를 살린 예천 의성김씨 남악종택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구계리에 위치한 남악고택은 남악 김복일(金復一, 1541~1591)의 종질인 불구당(不求堂) 김왕(金迬)이 태어난 곳이다. 지붕 보수시에 상량문이 발견되어 1634년이라는 정확한 건립연대가 확인된다. 冂자형 안채 아래에 일자형 중문채, 전(田)자형 사랑채를 연결하여 ㅁ자형 구조를 완성했다. 경북지역의 전형적인 양반집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안채, 사랑채, 행랑채 등이 지형의 높고 낮음의 차이를 고려하여 배치되어 있어 각 공간에서 시야를 가리지 않고, 통풍과 채광이 원활하도록 고려하였다. 작은 방을 많이 설치하고, 행랑채를 내외담으로 활용하여 공간을 구분하였으며, 사랑채가 유독 장대하며, 하부에 누하주를 설치하는 등 건축상의 기교가 돋보인다. 조선중기 건축사와 주거사에 있어 특징적인 면을 두루 갖추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