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예송논쟁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남인의 영수 허목, 고학(古學)을 학문과 정치사상으로 풀어내다
    허목은 삼척의 명환(名宦)으로 본관은 양천이다. 자는 문보(文甫)·화보(和甫), 호는 미수(眉叟)이다. 정언눌(鄭彦訥), 문위(文緯)에게 사사하였고, 남명(南冥) 조식(曺植)과 한강(寒岡) 정구(鄭逑)를 스승으로 모셨다. 자봉산에 들어가 공부에 정진하여 미수체(眉叟體)를 완성했으며, 삼척부사로 지내면서 향약을 만들었다. 또한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를 건립하고 『척주지(陟州誌)』를 편찬했다. 조선후기 예송논쟁에서 남인의 주장을 이끌다 경신환국으로 파직되어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전념하다가 1682년 별세하였다. 관직으로 대사헌, 이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했다. 저서로 『동사(東事)』, 『경례유찬(經禮類纂)』, 『방국왕조례(邦國王朝禮)』, 『경설(經說)』, 『미수기언(眉叟記言)』 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여주시

    예학으로 도와 의를 세우고자 한 예송논쟁
    17세기는 병자호란 이후 동아시아의 질서와 조선 내부의 사회질서가 혼란한 시기였다. 조선의 선비들은 무너진 유교적 세계관과 가치관을 예법으로 다시 세우고자 하였다. 유교 사상을 기초한 예법의 해석과 적용을 두고 사림들 간의 견해차가 생기면서 서인 세력은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졌다. 김장생과 김집으로부터 예학의 이론과 실제를 배운 송시열은 유교의 예법을 임금부터 백성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지켜야 하는 보편적인 법칙으로 만들어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예송논쟁의 한 가운데, 송준길
    송준길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이다. 어려서부터 이이(李珥)를 사숙(私淑)했고, 20세 때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생이 되었다. 송시열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의 학설을 지지하였다. 특히 예학(禮學)에 밝아 일찍이 김장생이 예학의 종장(宗匠)이 될 것을 예언하기도 하였는데 윤휴 등과 대립하여 예송논쟁을 일으켰다.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