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전통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성군

    현풍백년도깨비시장으로 개칭한 현풍장
    현풍백년도깨비시장은 대구광역시 달서군 현풍면 원교리에서 매월 2일과 7일 열렸던 현풍장의 전통을 잇고 있다. 2010년대 이후 현대식 상가 건물로 신축되었으며, 문화관광형 특성화사업에 선정되면서 시장의 이름을 현풍백년도깨비시장으로 바꾸었다. 또한 현재 평일에는 상설시장으로 운영하며, 2011년 9월부터는 주말시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전국 3대 시장, 대구 서문시장
    대구 서문시장은 전근대 시기 삼남지방에서 규모가 가장 큰 시장으로, 전국 3대 시장이었다. 대구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서문시장에서는 주로 주단·포목과 같은 섬유 제품과 다양한 먹을거리를 팔았고, 철물 도소매도 빈번했다. 6.25를 거치며 전쟁 특수의 호황을 누렸으나 빈번한 화재로 힘들기도 했다. 지금도 서문시장은 주말이면 10만 명 넘는 사람들이 찾아오는 전통시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조선후기 3대 시장이었던 대구장을 잇는 서문시장
    대구광역시 중심부에는 '서문시장'이 있다. 서문시장은 조선후기 3대 시장으로 불렸던 '대구장'의 전통을 잇고 있으며, 초기에는 매월 2일과 7일 개설되었던 정기시장이었다. 1922년 공설시장이 개설되면서 상설화되었고, 현재까지 과거의 전통 이어오고 있는 대구의 대표 시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세 개의 시장이 합쳐진 송정삼색시장
    '송정삼색시장'은 광주지역을 대표하는 전통시장으로 조선시대 개설된 '선암장'의 전통을 잇고 있다. 2015년에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선정되면서 당시 광산구에 있던 송정매일시장, 송정5일장, 1913송정역시장을 ‘송정삼색시장’이란 이름으로 통합하고, ‘세 가지 색깔을 지닌 전통시장’이란 이미지를 만들어 전통시장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광주 >서구

    광주·전남 시장 가운데 가장 많은 상점이 있는 양동시장
    양동시장은 광주교 아래 백사장에서 2일과 7일에 열렸던 큰 장과 작은 장에서 비롯된다. 현재는 광주광역시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시장이다.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물건의 소매뿐만 아니라 광주와 전라남도 일대를 관할 지역으로 도매까지 전담으로 이루어지던 시장이었다. 전국에서 유통되는 홍어의 90%를 양동시장이 차지할 만큼 홍어가 유명한 시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광주 >서구

    5.18 광주 민주화운동과 양동시장
    광주광역시 양동시장의 역사는 조선 후기로 거슬러 올라가 100년의 시간을 훌쩍 넘었다. 긴 역사만큼 양동시장은 근현대사의 다양한 사건들과 함께 해 왔고, 역사적 현장을 지금도 간직하고 있다. 한국 현대사의 비극이었던 1980년 5.18민주화운동의 현장에도 양동시장은 함께 했다. 당시 양동시장 상인들은 시민들에게 주먹밥과 음료수, 구급약품 등을 나눠주기도 했다. 양동시장은 5.18사적지 제19호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고령군

    고대왕국 대가야가 자리 잡았던 대가야시장
    고령 지역은 고대왕국 대가야가 도읍을 정했던 곳으로 이곳에 대가야시장이 있다. 이 시장은 과거 고령읍내장의 전통을 잇고 있는 상설시장으로 매월 4과 9일에 오일장도 열린다. 당시 고령읍내장의 주역은 보부상들이 조직한 고령상무사로 현재까지도 그 자취가 남아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의성군

    의로운 5형제가 지키는 의성전통시장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는 의성전통시장이 있다. 1946년 의성군에 의하여 의성공설시장으로 문을 열었다. 중앙선 철도가 지나는 주변 지역 가운데 5대 시장에 들어갈 정도로 명성이 자자하였다. 오늘날까지도 의성군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유명하다. 의성군에서는 지역의 대표 특산물 다섯 가지인 쌀, 마늘, 사과, 고추, 자두를 ‘의로운 5형제’ 캐릭터로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 단연 의성 마늘이 유명하고 인기가 좋다. 먹거리 골목에 있는 닭발 전문점도 인기가 좋아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김천 상권의 중심축이 되는 김천의 평화역참시장
    경상북도 김천시 평화동에는 평화역참시장이라는 전통시장이 있다. 1978년 평화시장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며 현대화 사업을 거쳐 현재 쾌적한 쇼핑 환경을 갖추고 있다. 2016년 ‘평화역참시장’이라고 명칭을 바꾸면서 시장의 분위기도 새롭게 바뀌었다. ‘참이’ 캐릭터가 개발되었고 마패 형상의 조형물에 소원을 비는 이벤트존도 마련하였다. 현재 평화역참시장은 상설시장과 함께 오일장으로 운영되며, 다양하고 품질 좋은 물품들을 제공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600년 전통의 목공예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2건)
자세히보기
  • 600년 전통, 인제 목공예

    출처 :강원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인제군

    600년 전통, 인제 목공예
    강원도 인제의 600년 역사의 목공예에 대한 소개 영상이다. 강원도 인제지역은 예로부터 산림자원이 풍부해 목공예가 발달했다. 600년 전통을 자랑하는 인제 목공예 관련 자료와 현지 목공업자 심층 취재를 통해 목공예 제작과정 등을 상세히 영상에 담았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인제 옛이야기

    출처 :강원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인제군

    인제 옛이야기
    강원도 인제지역의 설화 자원을 집대성하여 114개의 이야기로 엮은 책자이다. 여우, 뱀, 호랑이 같은 산동물 관련 전설은 물론, 어사 박문수, 태조 이성계 등 실존 인물과 관련된 설화들까지 풍부하게 망라되어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목가구 완성의 화룡점정, 장석의 형태와 문양
    목가구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고, 문이나 설합 등 여닫는 부분이나 손잡이가 제 기능을 하도록 하며, 잠그는 기능을 하는 경첩, 감잡이, 광두정, 귀장석, 자물쇠, 들쇠 등의 금속 장식을 통틀어 장석이라고 한다. 장석은 기능뿐 아니라 목가구의 품격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장석은 금·은·동·철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광택이 은은하면서 화려한 백동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에 수복강녕의 의미를 담은 각종 동식물, 사물, 문자 등의 형태와 문양으로 가구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것이 장석이다. 소박한 목조가구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자개와 장석으로 장식되면서 고가의 혼수품이나 뇌물로 사용할 정도로 사치스러워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짚풀공예의 주재료, 모시풀
    우리가 흔히 모시라 칭하는 것은 쐐기풀과에 속하는 모시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지방에 해당하는 충청도와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모시풀은 보통 7-8월에 꽃을 피운다. 지역마다 혹은 개별 모시마다 차이를 보이긴 하나 1m 50cm까지 자란다. 모시풀은 크게 일반적인 모시풀과 비교적 크기가 큰 왕모시풀로 구분된다. 그리고 모시풀의 종류에는 녹엽종과 백엽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모시풀의 품종은 재래종과 서방종, 그리고 백피종으로 나눌 수 있다. 옷을 만들거나 짚풀공예를 만들 때 사용하는 모시풀의 부위는 껍질에 해당하며, 모시풀의 뿌리는 당뇨와 이뇨, 하혈, 충독 등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경주시

    짚풀공예의 주재료, 등나무
    콩과에 속하는 등나무는 ‘등’ 혹은 ‘참등’이라는 명칭으로 우리에게 알려진 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중남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다른 지역에서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재료이다. 등나무는 보통 5-6월 사이에 꽃을 피며, 많이 자랄 경우에는 줄기가 10m가 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관상용으로도 널리 쓰이긴 하지만 전통사회에서는 사료용으로 등나무가 이용되었다. 등나무가 언제부터 우리네 짚풀공예의 재료로 사용되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다만 칡과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비교적 오래전부터 생활용구와 가구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전통연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진주시

    진주 문화의 뿌리, 진주 솟대쟁이놀이
    솟대쟁이놀이는 진주 진양의 전문적 예인패인 솟대쟁이패가 전승한 다양한 놀이로 솟대타기, 죽방울놀이, 풍물, 곤두(땅재주), 얼른(마술), 줄타기, 병신굿, 오광대놀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노래, 춤, 음악, 굿, 연극, 탈춤, 마술, 각종 기예가 망라된 종합예술이다. 중부지방에 남사당패가 대표적이라면 영남지방에는 솟대쟁이패가 대표적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전통시장에서 물건을 운반하는 도구
    전통시장에 물건을 운반하는 도구에는 소나 말이 끄는 수레의 한 종류인 '달구지'가 있다. 달구지는 가장 능률적인 운반수단으로 대규모의 상단이 이동하는 경우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달구지를 대신한 운반도구에는 수레가 다니기 어려운 지역에서 물건을 옮길 때 사용하던 '썰매'와 '구판' 등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현대 시도별 시장 현황
    2016년 기준 우리나라 전통시장은 총 1,441개이다. 전통시장 중 상권크기별로 살펴보면 읍‧면‧동 및 그 일부를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된 근린상권형 시장이 62.5%의 비율로 과반 이상을 차지한다. 시도별 시장 비율은 서울 15%, 부산 11.6%, 경남 11.1%, 경북 10.2%, 경기 9.3% 등으로 높은 편이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 3개 지역에 전통시장 27.5%가 위치하고 있다. 전통시장 내 총 상인수는 368,930명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시흥시

    시흥시 대표 전통시장 삼미시장
    삼미시장은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위치한 시흥시 대표 전통시장이다. 3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곳은 먹거리와 즐길거리가 풍성해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시장 입구에서는 예술인들의 길거리 연주도 감상할 수 있고 시장 안쪽으로 들어가면 시장 안에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포장마차 거리도 만날 수 있다. 시장이지만 마트처럼 시식코너도 있고 대형마트 못지않은 다양성을 띠고 있다. 날이 갈수록 전통시장이 사라지고 대형마트가 도시 곳곳에 자리잡고 있는 요즘 삼미시장은 대형마트의 편리함은 두루 갖추면서 사람 냄새 정겨움까지 가득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담양 전통시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담양군

    세계적인 대나무밭에서 나온 죽제품이 팔렸던 담양 죽물시장
    세계적인 대나무밭이 있는 담양은 조선시대부터 대나무밭이 유명했고, 죽제품이 주로 생산된 지역이다. 일제강점기 담양의 죽제품 생산자들이 조직화되고, 농수산업에서 대나무 수요자들이 많아지면서 담양지역의 죽제품 시장은 국내외로 크게 성장했고, 담양 죽물시장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는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 대나무를 필요로 하던 산업들이 변화하면서 대나무를 찾는 수요가 줄었고, 저렴한 동남아시아와 중국산 제품들이 시장을 잠식하면서 죽물시장도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과거의 화려했던 죽물시장은 사라졌지만, 담양의 대나무밭은 과거의 역사를 이어오며 새로운 역사를 쓰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중구

    청요릿집에서도 일본인 음식점에서도 팔았던 우동
    우동은 밀가루로 만든 국수요리를 의미하는 일본어이다. 일본의 기본적인 우동은 가쓰오부시를 우려낸 국물에 대파만 고명으로 얹은 가께우동이었는데 이것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도 가장 싼 음식 중 하나였다. 중국요릿집에도 우동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자장면처럼 가장 싼 메뉴였다. 중국요리집이나 일본음식점에서 우동은 10전 정도로 팔았다. 이는 호떡 보다 살짝 비싼 정도의 가격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에는 우동집이라는 식당도 있었는데 우동과 함께 술을 파는 술집이었다. 젊은 아가씨를 종업원으로 둔 우동집은 조선 곳곳에 생겨서 조선 청년들에게 술을 권한다는 탄식을 자아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수원 전통시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기 >수원시

    수원 영동시장에서 드리는 거북산당제
    거북산당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영동시장에 있다. 거북산당은 도당할아버지, 도당할머니, 대왕님을 그림으로 모신 무신도가 있는 기와지붕의 당집 형태로 존재하는데, 과거에는 터주가리형태였다고 한다. 당옆에 거북모양의 바위가 있어서 거북산당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거북산당제는 음력 10월 7일에 이루어졌다. 계보가 뚜렷한 세습무에 의해 당굿이 전승되다가 1990년대초부터는 상가번영회에서 별도로 거북산당 제사를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