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친영례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한국 전통혼례와 중국 혼례를 결합한 반친영
    반친영은 한국의 전통적 혼인방식인 남귀여가혼(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혼례를 치르고 신부집에서 혼인생활을 시작하는 전통 혼인방식)과 중국 전통의 혼인절차인 친영(신랑이 신부집에서 신부를 맞아와 자기 집에서 혼례를 치르는 방식)의 일부를 접목한 혼인 방식이다. 혼례장소는 한국 전통에 맞춰 신붓집에서 하되, 절차는 중국식으로 당일상견례와 다음날 폐백으로 진행했다. 반친영은 16세기 이후 서울의 일부 사대부가를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시부모님을 처음 뵙는 상에 올리는 폐백음식
    폐백음식이란 일반적으로 신부가 처음 시부모님께 예를 올릴 때 상에 올라가는 음식을 부르는 말이다. 본래는 왕가의 친영혼에서 선물을 주고받던 납폐의 과정이 민가에 전해지면서 생겨난 말이다. 민가에서는 현구고례를 폐백이라고 부르며, 올라가는 음식은 지역마다 차이가 나타난다. 현재에도 간소화되었지만 전승되고 있는 풍습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옷감에서 가전제품으로 바뀐 혼수
    신랑과 신부가 새로운 살림을 차리면서 필요한 물품을 혼수라고 한다. 전통 혼례에서 혼수는 주로 옷감을 의미했다. 신랑이 신부 집으로 보내는 청색 홍색 채단은 신부집의 손실을 보전해주는 측면이 강했다. 이후 신부가 신랑의 집으로 들어가면서 자기가 평생 쓸 옷감과 생활필수품을 가져가는 형태로 바뀌었다. 혼수는 시대와 사회상에 따라 달라졌는데,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옷감 대신 가전제품 같은 물품으로 바뀌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