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최근 열람한 지역문화콘텐츠 목록 제공

최근열람자료

21271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세계인들의 거리,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
    우리나라에서 서울 용산구 이태원만큼 이국적인 곳은 찾아보기 어렵다. 워낙 다양한 외국인들이 몰려 있을 뿐만 아니라 이국적인 상점과 음식점, 클럽 등이 있어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이태원은 본래 역원이 있었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상당수의 일본인이 거주해 있었다. 한국전쟁 이후 미군들이 용산구에 주둔하면서 본격적으로 지금의 모습으로 발전했다. 이곳에는 400년된 부군당도 있고, 10년이 채 안된 우사단길도 있다. 이국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관광특구가 바로 이태원이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우리마을이야기
    • 이야기 주제 : 한국의 독특한 마을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마을경관
    • 관련문화원 : 서울용산문화원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제주목역사관’, 조선시대에도 복합 행정기관이 있었다고요!
    제주목역사관은 조선시대 제주도의 공공 행정을 맡아보던 제주목 관아의 역사와 제주 목사를 소개하는 박물관이다. 다양한 문헌 자료와 제주도를 화폭에 담은 그림, 당시 시대 상황을 재현한 모형 등을 볼 수 있다. 전시는 세 개 영역으로 나뉘는데, 제1전시실에서는 ‘제주목의 역사, 발굴 과정과 출토품’을 소개하고, 제2전시실에는 ‘제주목에 부임한 목사들의 행렬 모습과 이들의 행적’에 관해 전시하고 있다. 마지막 제3전시실에서는 ‘제주읍성의 주요 유적과 건물’에 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 테마 : 역사문화유산 > 지역 이색박물관
    • 이야기 주제 : 박물관이 전하는 세상 모든 이야기 >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박물관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문화유산 > 기타
    • 관련문화원 : 제주문화원
  • 영화산장

    출처:한국관광공사

    지역문화정보

    영화산장
    • 주소 : [55302]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경천면 구재길 364-4
    • 전화 : 063-262-3853
    • 출처 : 한국관광공사
  • 테마스토리 전남 >진도군

    한국판 모세의 기적을 체험하는 '진도신비의 바닷길축제'
    매년 음력 2월, 국내외 관광객 50만 명 이상이 찾아와 바닷길이 완전히 드러나는 약 1시간의 기적을 구경하기 위해 진도를 찾는다. 진도군에서는 민속 문화예술 특구로 지정된 진도 고유의 민속예술인 강강술래, 다시래기, 들노래, 씻김굿 등을 선보이고 다양한 이벤트로 볼거리를 제공한다. 1975년 주한 프랑스 대사가 프랑스 신문에 '모세의 기적'으로 소개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진도 영등사리는 1978년부터 세계인이 함께 하는 축제가 되었다.
    • 테마 : 지역과 역사 > 지역축제
    • 이야기 주제 : 자연축제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전남진도문화원
  • 테마스토리 광주 >북구

    빼어난 풍광과 수박이 유명한 광주의 무등산
    무등산(無等山)은 해발 1,187m의 높이로, 광주의 대표적인 진산이다. 그 이름은 무진악(武珍岳), 서석산(瑞石山) 등으로 불리다가 고려와 조선시대에 무등산으로 불러졌다. 무등산은 광주를 비롯하여 인근의 화순, 담양 등에 걸쳐 있다. 서석대를 비롯하여 그 경관이 매우 뛰어나며, 가을이면 억새가 널리 분포하여 ‘무등산 갈대제’를 열어 관광객을 불러 모은다. 무등산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며 큰 공을 세운 김덕령의 출생지로, 지금도 그를 기리는 충장사가 무등산 가운데 있다. 무등산 수박은 그 크기도 크지만 맛이 일품이어서 아주 유명하다.
    • 테마 : 자연과 지리 > 한국의 산과 샘
    • 이야기 주제 : 한국의 산과 고개 > 전라도, 광주 지역의 산과 고개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자연환경
    • 관련문화원 : 광주북구문화원
  • 테마스토리 충남 >아산시

    소를 탄 노인, 맹사성
    조선 초기에 좌의정 맹사성이 고향인 아산에 볼일이 있어 내려간다는 소식을 듣고 경기도 양성과 진위 현감이 길을 닦고 마중 나와 있었다. 한참이 지나도 소식이 없어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는데 소란스러운 소리가 들렸다. 포졸은 허름한 차림에 소를 타고 길을 지나가려는 노인에게 다른 길로 돌아가라고 말했으나 그 노인은 금방 지나가겠다며 실랑이를 했던 것이었다. 포졸이 노인을 두 현감에게 잡아가 상황을 설명하니 두 현감이 맹사성임을 알아보고 깜짝 놀라 넙죽 엎드렸다고 한다.
    • 테마 : 지역과 역사 > 지역설화
    • 이야기 주제 : 충청도·대전·세종시 지역의 전설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구비전승·어문학 > 어문학
    • 관련문화원 : 충남온양문화원
  • 울진 불영계곡과 왕피천 디지털 문화 콘텐츠 '망양정 봄'

    출처: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북 >울진군

    울진 불영계곡과 왕피천 디지털 문화 콘텐츠 '망양정 봄'
    경북 울진군 망양정의 봄 풍경을 소개하는 영상이다. 망양정은 성류굴 앞으로 흐르는 왕피천을 끼고 동해의 풍광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언덕에 세워져 있다. 그 경치가 관동팔경의 으뜸으로 친다고 하여 조선조 숙종이 '관동제일루'라는 친필현액을 하사하는 등, 유래가 깊은 명소이다.
    • 자료유형 : 시청각물 > 동영상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자연환경
    • 관련문화원 : 경북울진문화원
  • 테마스토리

    우리나라의 재미있는 지명들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에 ‘발리’라는 마을이 있다. 인도네시아의 ‘발리’를 연상하게 하지만, 온양읍 ‘발리’라는 지명은 오래되었다. 스님들의 밥그릇인 ‘바리때’를 가리키는 ‘발(鉢)’을 써서 ‘발리’가 되었다.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사탄마을’이라는 곳이 있다.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대적하거나 사람들을 유혹하는 존재인 사탄을 연상하게 하지만, 마을의 토질이 모래밭이기에 한자로 사탄이라 표현한 것이다.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에 ‘야동리’라는 마을이 있다. 예전에 대장간이 있던 곳이라서 ‘야동리’라 불렀다고 한다.
    • 테마 : 지역과 역사 > 지명유래
    • 이야기 주제 : 재미있는 한국의 지명이야기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구비전승·어문학 > 지명유래
    • 관련문화원 : 충북충주문화원
  • 테마스토리 서울 >마포구

    압록강의 홍송과 백송으로 지은 마포구 용강동 정구중 가옥
    서울 마포구 용강동에 있는 용강동 정구중 가옥은 부농이 무남독녀 외동딸을 위해 지은 집으로, 압록강 유역의 홍송과 백송을 실어와 자재로 사용했다. 못을 사용하지 않고 지은 집으로, 좁은 집터에 별채까지 만든 보기 드문 건축양식이다. 래미안 마포 리버웰은 용강동 정구중 가옥과 연계해서 한옥공원을 조성하였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한국의 가옥
    • 이야기 주제 : 서울의 가옥 > 민가(서민집)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서울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전장에서의 현명한 판단이 빛나다, 해병대 진동리지구 전첩비
    마산 서부지역 전투(1950년 8월 2일~9월 14일)는 국군과 유엔 미군이 인민군의 부산 점령을 저지하기 위해 벌인 44일간의 격전이었다. 전투는 정찰전, 반격작전, 인민군 9월 공세로 진행되었으며, 미군 제25사단과 국군 해병대의 강력한 화력과 항공지원으로 인민군 2개 사단을 격퇴했다. 이로써 마산 방어에 성공하며 인천상륙작전으로 이어지는 반격의 전기를 마련했다. 1992년, 전투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전첩비가 건립되었다.
    • 테마 : 국난극복 > 6·25전쟁
    • 이야기 주제 : 6·25전쟁의 격전지와 기념시설물 > 6·25전쟁 UN참전 기념시설물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지방의 역사 > 현대
    • 관련문화원 : 경남창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