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스크랩한 지역문화콘텐츠의 목록 조회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스크랩

83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우리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광산우리밀축제'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전국 최대의 우리밀 생산지이다. 광산우리밀축제를 통해 우리밀(국산밀)의 종가였던 광산구를 널리 알리고, 도농 교류의 장으로 발전시키고자 광산우리밀축제를 개최한다. 광산우리밀축제는 매년 10월 어등산, 황룡강 주변의 밀밭에서 열린다. 우리밀 요리 경연대회, 가족야외 피크닉, 밀탈곡과 타작 등 밀체험, 밀짚공예 등의 체험 행사들이 열린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역축제
    • 이야기 주제 : 지역음식축제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광주광산문화원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왜구토벌에 앞장선 강화도 교동의 인물, 고언백
    고언백(高彦伯)은 강화도 교동(喬桐) 출신으로 임진왜란 시 왜구토벌에 앞장선 무신이다. 양주목사 겸 경기방어사로 배속되어 벽제관(碧蹄館) · 해유령(蟹踰嶺) · 노원평(蘆原坪) 전투에서 빛나는 업적을 세웠고, 경상좌도병마절도사로서 영남 지역의 왜적을 소탕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위와 같은 전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책록된 인물이다. 광해군 즉위 후 임해군(臨海君)과 내통하였다는 혐의로 고문을 받던 중 사망하였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그의 억울한 죽음은 『여지도서(輿地圖書)』 기록으로 남아 있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역인물
    • 이야기 주제 : 인천을 빛낸 사람들 > 문무 관인, 나라를 위하다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성씨와 인물 > 인물
    • 관련문화원 : 인천강화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기 >광명시

    폐광에서 글로벌 테마파크로 진화중인 광명동굴
    일제가 수탈을 위해 고안한 기획광산 시흥광산이 현재의 광명동굴이다. KTX 광명역, 이케아와 코스트코와 근거리에 있는 이 곳은 일제 수탈의 현장이었다가, 한국전쟁 당시 피난처였다가, 새우젓저장고였다가, 광명시가 매입 후 개발되며 현재는 글로벌 관광 테마파크로 진화하는 중이다. 동굴의 특성을 잘 살려 공연장인 예술의 전당, 전국의 다양한 와인을 숙성시키며 판매하는 와인동굴을 운영하고 있으며, VR 체험관, LED 타워 등 현대 기술과의 접목으로 더 신선한 볼거리도 제공한다. 맑은 공기와 좋은 풍광을 가지고 있어 산책로로서의 가치도 커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관광명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 테마 : 생활문화 > 우리마을이야기
    • 이야기 주제 : 경기도 마을 산책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마을경관
    • 관련문화원 : 경기광명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아름다운 우리 땅 국토지킴이 독도 등대
    아름다운 우리 땅, 대한민국 최동단 독도에는 국토를 지키는 독도 등대가 우두커니 서 있다. 독도 등대의 역사는 1954년 8월 처음으로 불을 밝히며 시작되었다. 독도 등대의 첫 번째 임무는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알리고 우리의 땅과 선박을 지키는 것이다. 독도 등대는 백색 원형 콘크리트 구조로 15m의 높이를 자랑하고, 최대 46km의 거리까지 빛을 전달하고 있다. 독도 동도의 가장 높은 곳에 세워진 등대 주변에는 통신 시설과 경비 시설이 함께 하고 있다.
    • 테마 : 산업 > 한국의 어업
    • 이야기 주제 : 우리의 삶과 바다 > 바다의 길잡이, 등대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경제와 산업 > 농림수산업
    • 관련문화원 : 경북울릉문화원
  • 테마스토리

    저온숙성 고추장으로 끓여낸 강원도의 맛, 장칼국수
    강원도의 3대 별미로 꼽는 장칼국수는 예로부터 장류가 발달한 강원도 지역의 특색이 녹아있는 투박하면서도 맛있는 음식이다. 보통 국수의 기본은 해물육수인데, 강원도 내륙의 산촌지방에서는 멸치나 다시마를 구하기가 힘들어 된장과 고추장을 풀어 육수를 만들고 얼큰하게 끓여낸 것이 바로 장칼국수다. 냄비에 애호박과 양파를 넣고 팔팔 끓인 다음, 여기에 고추장과 면을 풀어 만드는 단순한 음식이지만, 구수하고 오묘한 맛을 낸다. 투박함 속에 녹아 있는 깊은 맛에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가족에게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먹이고자 하던 어머니들의 정성이 담겨있다.
    • 테마 : 생활문화 > 향토음식
    • 이야기 주제 : 지역 향토 음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강원도문화원연합회
  • 테마스토리 대전 >유성구

    국내 최초의 와인 생산지에서 열리는 '대전국제와인페어'
    대전광역시는 한국 최초로 와인을 생산한 지역이다. 1969년 7월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산내포도를 대전의 물로 빚어 숙성시킨 선리포트와인을 생산”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근간으로 개최된 것이 대전국제와인페어이다. 2012년 이래 매년 8월에 대전마케팅공사가 주최하는 대전국제와인페어의 주요 행사는 ‘아시아와인트로피, 아시아와인컨퍼런스, 한국국가대표 소믈리에 경기대회’이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역축제
    • 이야기 주제 : 이색축제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대전유성문화원
  • 테마스토리 서울 >종로구

    쇠고기와 각종 채소가 어우러져 품위 있는, 궁중떡볶이
    본래 떡볶이는 흰떡과 쇠고기, 참기름, 간장, 파, 버섯, 잣, 깨소금 등을 재료로 간장으로 조려서 만든 궁중요리의 하나이다. 쌀을 이용한 떡과 쇠고기 등 재료는 귀한 식재료였기 때문에 일반 서민들은 쉽게 접하기 힘든 음식이었다. 요즘의 고추장을 사용한 떡볶이와 구별하여 궁중떡볶이 또는 간장떡볶이라고 부른다.
    • 테마 : 생활문화 > 향토음식
    • 이야기 주제 : 지역 향토 음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서울특별시문화원연합회
  • 테마스토리 서울 >노원구

    1995년부터 맛있는 떡볶이를 파는 서울 공릉동 터줏대감 ‘멍텅구리 분식점’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는 1995년부터 맛있는 떡볶이를 판매하는 멍텅구리 분식점이 있다. 중학생 때 처음 방문한 이후 그곳에서 소중한 추억의 한 페이지를 만들었던 추억을 더듬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 자리에 남아있는 멍텅구리 분식점이 앞으로도 같은 자리를 지켰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 테마 : 생활문화 > 우리마을이야기
    • 이야기 주제 : 서울 마을 산책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마을경관
    • 관련문화원 : 서울노원문화원
  • 테마스토리 서울 >성북구

    제과제빵 명장의 사관학교, 나폴레옹 과자점
    나폴레옹 과자점은 1968년 한성대 입구 삼선교에서 양인자가 창업한 빵집이다. 특이하게 나폴레옹 과자점은 가게의 오너와 제과 기술자가 동일하지 않고, 경영과 기술이 분리되어 있다. 때문에 나폴레옹 과자점은 많은 제과 명장을 배출할 수 있었다. 나폴레옹 과자점은 서울의 3대 빵집 중의 하나이다. 김영모 과자점과 리치몬드 과자점이 그 나머지 3대 빵집에 속하는데, 이들 모두 나폴레옹 과자점 출신의 제빵 명장이다. 나폴레옹 과자점은 2018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고, 2020년 백년가게로도 선정되었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역의 오래된 가게
    • 이야기 주제 : 음식점·다방·디저트·식자재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서울성북문화원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누렁하게 꽃핀 제주 보리쌀 누룩으로 만든 순다리
    순다리는 쉰밥을 발효하여 만든 음료로, 제주도의 요구르트라 불린다. 쌀이 귀한 시절, 더위가 시작되면 밥이 쉬는 일이 허다했다. 쉰밥을 버리기가 아까워서 어른들은 밥알을 씻어 물에 말아 먹기도 했다. 그러다 쉰밥이 많으면 발효하여 순다리(쉰다리)를 만들어 먹었다. 보리밥에 누룩을 넣고 한달 동안 따뜻한 아랫목에 펼쳐서 발효하여 시원하게 마신다. 
    • 테마 : 생활문화 > 향토음식
    • 이야기 주제 : 우리 음식의 맛과 이야기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제주서귀포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