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스크랩한 지역문화콘텐츠의 목록 조회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스크랩

18
  • 테마스토리

    곰티재 귀신 이야기
    차가 안 다니던 시절, 어느 사내가 장수와 전주 사이의 곰티재를 걸어 넘어가고 있었다. 길가의 좋은 묘에서 깨끗한 옷을 입고 나오던 잘생긴 귀신을 만났는데 그날이 그의 기일이라 하여 제사밥을 함께 먹자는 청에 끌려 그 집에 갔다. 그곳에서 잘 얻어먹고 나오던 길에 귀신이 알밤, 대추, 곶감을 주며 먹으면 재수가 좋을 것이라 하였는데 그 후로 그 사내의 집안이 모두 잘살게 되었다고 한다.
    • 테마 : 지역과 역사 > 지역설화
    • 이야기 주제 : 전라도·광주 지역의 전설
    • 자료유형 : 문서 > 일반문서
    • 주제분야 : 구비전승·어문학 > 어문학
    • 관련문화원 : 전북장수문화원
  • 테마스토리

    사시사철 간편하게 먹는 콩나물국밥
    현대인들이 즐겨 먹는 콩나물국밥은 전라북도 전주시가 유명하다. 속을 풀어주는 음식으로 특히 아침 식사로 즐겨먹는다. 사시사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콩나물국밥은 서민들의 가장 친근한 음식이다. 콩나물국밥은 일반적으로 한국전쟁 때 어려운 상황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요리로 개발된 음식이라고 알려져 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주시 남부시장 뿐만 아니라 전주역 근처에도 콩나물국밥집이 있었다. 1980년대 경제성장으로 경기가 좋아지고 외식이 일반화되면서 콩나물국밥도 시장음식으로 정착하게 된다.
    • 테마 : 산업과 경제 > 시장
    • 이야기 주제 : 한국 시장의 구성과 운영 > 전국적으로 소문 난 시장음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전북전주문화원
  • 테마스토리

    임진왜란을 피해 조선왕조실록을 지킨 이야기, 전북 정읍 임계기사
    전라북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는 『임계기사(壬癸記事)』라는 책이 소장되어 있다. 『임계기사』는 임진왜란 때 전라북도 정읍시에 살던 안의(安義)와 손홍록(孫弘祿)이 전주사고에 있던 『조선왕조실록』을 내장산으로 옮겨 1년 남짓 전쟁을 피해 온전히 지켜낸 과정을 기록한 자료이다. 안의와 손홍록의 행적이 담긴 『임계기사』를 통해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숭고한 업적을 확인할 수 있다.
    • 테마 : 역사문화유산 > 한국의 기록문화
    • 이야기 주제 : 전라도 광주의 기록문화 > 종이자료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문화유산 > 기타
    • 관련문화원 : 전북정읍문화원
  • 테마스토리

    세계적인 팝스타 마이클 잭슨을 단번에 사로잡은 맛, 전주비빔밥
    전주비빔밥은 소머리를 고아낸 육수로 지은 밥에 고사리를 비롯하여 당근, 더덕, 도라지, 무, 밤, 불고기, 시금치, 오이, 은행, 콩나물, 표고버섯, 호박, 황백지단, 황포묵 등을 다섯 가지 색깔별로 고명을 만들어 얹은 다음 그 위에 소고기 육회와 계란 노른자를 올려 고추장에 비벼먹는 전라북도 전주시의 향토음식이다. 1990년대 말부터 해외에 명성이 알려지기 시작한 이후 2000년대 들어서는 명실상부하게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전통음식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향토음식
    • 이야기 주제 : 향토음식의 유래와 역사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전북전주문화원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제주칠머리 당굿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칠머리당에서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와 열나흗날에 하는 본향당굿을 하는데 이것을 제주칠머리 당굿이라고 한다. 마을 신을 모시는 당을 본향당(本鄕堂)이라고 하는데, 건입동의 본향당이 칠머리라는 곳에 있기 때문에 칠머리당이라고 한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마을신앙
    • 이야기 주제 : 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 > 제주도의 마을신앙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제주문화원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삼척 갈남2리 신남마을 해신제
    신남마을 주민들이 해신제를 지내는 유래는 지역에 전해오는 이야기를 통해 확인된다. 마을에 결혼을 약속한 처녀와 총각이 불의의 사고로 처녀가 죽고 말았다. 그 후로는 고기가 잡히지 않았고 바다를 나가는 주민들은 사고를 당하는 일이 자주 발생했다. 신남마을 주민들은 처녀의 원혼을 달래주는 굿을 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어느 날 술에 취한 한 어부가 바다를 향해 오줌을 누었는데 그 이후부터 고기가 많이 잡히고 사고가 나지 않았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마을신앙
    • 이야기 주제 : 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 > 강원도의 마을신앙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강원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 테마스토리 경북 >안동시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하회별신굿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서낭당에서 5년 또는 10년마다 지내던 마을굿이다. 별신굿은 무당을 불러서 하는 무당굿 형식으로 하기도 하고 마을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굿을 하기도 하는데, 하회의 경우 마을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별신굿을 하였다. 현재 하회별신굿탈놀이라는 이름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마을신앙
    • 이야기 주제 : 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 > 경상북도의 마을신앙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경북안동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남 >화순군

    화순 쌍봉리 당산제
    쌍봉리 마을 주민들은 음력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 제의를 지낸다. 이 마을의 제의 공간은 두 곳이다. 당산 할아버지와 할머니 신이 깃들여 있는 당산나무이다. 수종은 느티나무(괴목 나무)인데 본래 마을 주민들이 모시던 나무는 없어지고 새롭게 조성을 하였다. 제의에 필요한 비용은 마을 소유의 동답(洞畓)에서 나오는 수익금으로 충당한다.제물에는 과일과 떡, 그리고 막걸리다. 막걸리는 제주로 사용되는 셈인데 유사가 직접 빚어서 제상에 올린다. 제의를 지내는 날이 되면 풍물패를 앞세우고 제의 지낼 곳을 찾는다. 도착하면 제관은 신으로 모시는 나무 앞에 상을 차린다. 제의 순서는 진설-초헌-독축-아헌-종헌-소지-헌식이다. 축문의 내용은 당산신께서 마을을 잘 보살펴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 모두가 풍년이 들도록 기원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의식을 모두 마치면 음복을 한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마을신앙
    • 이야기 주제 : 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 > 전라남도의 마을신앙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전남화순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기 >파주시

    경기도 파주시 금촌읍 아동 1리 안산말 산신제
    경기도 파주시 금촌읍 아동1리에서는 마을의 안녕을 위해 학령산의 산신령을 위해 지내는 마을제사를 말한다. 제사는 음력 10월 15일 0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마을에 초상이 나더라도 날짜를 변경하지는 않는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마을신앙
    • 이야기 주제 : 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 > 경기도의 마을신앙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경기파주문화원
  • 테마스토리 부산 >남구

    부산을 대표하는 6.25음식, 구포 국수
    구포 국수는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일대에서 생산되는 국수를 일컫는다. 면발이 짭짤하고 쫄깃한 것이 특징이다. 6·25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내려와 국수를 생산하기 시작했고, 1970~1980년대에는 혼분식 장려 정책으로 활황기를 맞았으나 1990년대 이후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 테마 : 국난극복 > 6·25전쟁
    • 이야기 주제 : 6·25전쟁 피난길 > 6·25전쟁과 음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지방의 역사 > 현대
    • 관련문화원 : 부산남구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