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경남 하동문화원 하동 이천년 발자취를 남긴 사람들

시대와 분야별 하동의 주요 인물의 역사를 기록한 책자. 국난 극복을 위해 팔만대장경의 제작에 주도적 역할을 한 정안 선생, 63전 63승 무패 신화의 정기룡 장군, 지리산의 작가 이병주, 근대여성 운동의 선각자 채소정 등 주요 인물을 통해 하동의 역사와 문화 등 향토사를 재조명했다. 자료조사와 문헌을 통해 하동의 인물을 발굴한 콘텐츠  

자세히보기
충남 온양문화원 피리부는 정승 맹사성

고불 맹사성에 대한 이야기를 어린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든 만화책이다. 고불(古佛)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소박한 성격과 청렴한 생활로 황희 정승과 함께 청백리의 상징으로 통한다.

자세히보기
부산 서구문화원 피란수도 부산을 기억하다

부산에 정착한 실향민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 시절을 생생히 조망한 다큐멘터리이다. 한국전쟁이 터지며 부산은 임시수도가 되었고 수많은 피란민이 몰려들었다. 당시의 임시정부청사, 이승만 대통령 관저, 피란민이 부산에 정착하며 생겨난 일본인 묘지 마을 등을 취재하고, 부산에 정착한 실향민들의 인터뷰를 담았다.

자세히보기
울산 남구문화원 동해의 바닷물과 바람, 햇볕으로 구운 울산소금 이야기

바닷물과 바람, 햇볕으로 구운 울산 소금의 문화와 역사를 채록한 영상. 바닷물을 염전에 끼얹고 말리는 일을 반복해 만든 건세를 섯등에 넣고 바닷물을 부어 우려낸 함수를 다시 끓이는 독자적인 제염방법을 재현해 기억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제염문화를 담아 이야기로 풀어낸 콘텐츠.

자세히보기
경기 포천문화원 포천의 역사를 찾아 떠나는 문화유적답사

경기도 포천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경기도지정문화재·포천시지정문화재로 분류하여 정리한 책자이다. 총 82개의 문화재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포천한탄강 협곡과 비둘기상 폭포, 포천 영송리 선사유적 등 대표 문화재를 담은 역사지도도 함께 수록했다.

자세히보기
대구광역시문화원연합회 스마트팔공산

대구지역의 명산인 팔공산과 관련된 정보를 총망라한 웹사이트이다. 팔공산의 지리·생태적 정보 뿐 아니라 역사와 문화까지 입체적으로 알 수 있다. 역사, 문화유산, 자연경관, 문학, 인물, 문헌자료, 생태, 민속, 둘레길 등 정보를 메뉴화 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옛 선비들이 팔공산을 언급한 시와 글을 수집·번역한 전자책인 유산기와 유산시를 볼 수 있다.

자세히보기
경기 파주문화원 판놀음 방촌전 '황희정승이야기'

판놀음 방촌전은 경기도 파주에서 여생을 보내며 여러 일화를 남긴 조선 초기 명재상 방촌 황희 선생의 이야기를 광대들이 풀어가는 연희극이다. 조선 초기에 세종을 포함해 무려 네 명의 왕을 모시고 국가의 기틀을 잡은 황희 선생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자세히보기
경북 울진문화원 울진 불영계곡과 왕피천 디지털 문화 콘텐츠 '금강송군락지 가을'

산림청이 국비로 조성한 숲길 1호 '금강소나무숲길'의 가을 경치를 담은 영상이다. '금강소나무숲길'은 현존하는 대표적인 금강소나무 원시림 보존구역으로, 세계자연규산등록을 추진할 정도로 보존 가치가 높다.

자세히보기
서울 용산문화원 이야기로 듣는 4人4色 용산史 (둔지미 이하응, 본편)

용산구 지역사와 관련한 인물을 '이야기로 듣는 4人4色 용산史'라는 테마로 다룬 강연 영상이다. 본 영상은 '이하응' 을 주제로 하여 1882년 흥선대원군과 둔지방의 역사적 관련성에 관해 이야기한다.

자세히보기
경북 예천문화원 잠자리 눈으로 바라본 고향마을 이야기 '예천읍'

경북 예천의 '예천읍'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다. 예천지역의 256개 동리 고향마을 중 12개 읍면(예천읍, 용문면, 효자면, 은풍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을 드론으로 촬영하여 입체감 있게 기록하고 현지 주민이 이야기하는 마을의 유래, 설화, 명소 등을 함께 담았다.

자세히보기
대구 수성문화원 (국역) 계동선생문집

대구가 배출한 대표적 문인인 계동 전경찬의 문헌을 번역 수록한 문집이다.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 1532~1585)은 대구지역 퇴계학의 계승자이면서 수성지역 성리학의 중심지인 연경서원을 창건했다. 미번역된 문집, 학계안(學稧案: 학업과 우애를 다지기 위해 만든 계의 명단과 운영 규정) 및 석채례(釋菜禮: 제례의 하나로 도에 대한 숭상과 공자에 대한 존경을 표현함)를 번역했다.

자세히보기
충남 서산문화원 서산 천수만의 옛 모습

서산간척사업의 내용과 이전 모습을 조사한 책이다. 간척사업을 통해 농경지로 바뀐 서산 천수만 지역(석남동, 장동, 덕지천동, 양대동, 해미면, 고북면, 부석면, 인지면 일대)의 과거 지형과 자연환경, 생활 모습, 그리고 서산간척사업의 전개 내용을 다양한 사료 조사와 취재를 거쳐 책으로 발간했다.

자세히보기
경기 동두천문화원 동두천 문화원형을 찾아 떠나서 (본편)

한반도 경기도 중심에 위치한, 역사와 문화의 중심 동두천을 홍보하는 영상이다. 동두천 곳곳에 산재한 문화유산 중에서 국가지정보물, 경기도 지정 유·무형 문화재, 동두천시 지정 유·무형 향토문화재와 아직 지정되지 않았지만 익히 알려진 향토문화유산을 소개한다.

자세히보기
대전 중구문화원 뿌리공원 성씨비 (충주박씨,전체)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자세히보기
옵션
  • 유형
  • 주제

강원

19
모두보기 +

경기

32
모두보기 +

경북

21
모두보기 +

경남

20
모두보기 +

서울

20
모두보기 +

전남

23
모두보기 +

전북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