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경북 칠곡문화원 칠곡의 소리, 디지털로 기록하다(강태성)1

경북 칠곡에서 전해내려오는 소리 및 농악 연주를 기록한 영상이다.

자세히보기
경북 예천문화원 잠자리 눈으로 바라본 고향마을 이야기 '유천면'

경북 예천의 '유천면'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다. 예천지역의 256개 동리 고향마을 중 12개 읍면(예천읍, 용문면, 효자면, 은풍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 을 드론으로 촬영하여 입체감 있게 기록하고 현지 주민이 이야기하는 마을의 유래, 설화, 명소 등을 함께 담았다.

자세히보기
전북 남원문화원 조선국녀, 정유재란 때 끌려간 한 소녀이야기

정유재란 때 남원에서 끌려간 것으로 추정되는 베 짜는(직공) 소녀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그림책. 400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 고치현 가미카와 구치 마을에 소녀를 기리는 “朝鮮國女墓”에 얽힌 이야기를 삽화와 함께 누구나 쉽게 읽어 볼 수 있도록 제작한 콘텐츠

자세히보기
광주 서구문화원 절골마을 이야기지도

광주시 서구 일대의 위인들과 관련 유적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소개하는 관광지도이다. '절골'이란 절이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뜻한다. 정조가 조선 최고의 시인으로 상찬한 시인 눌재(訥齋) 박상(朴祥, 1473-1530)의 고향인 서창동 절골마을을 중심으로 광주시 서구 일대의 위인들과 관련 유적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소개한다.

자세히보기
울산 동구문화원 별빛에 비친 방어진목장

조선 후기 국가에서 말을 기르던 울산 방어진목장을 연구한 학술서이다. 조선 후기 문인인 홍세태(洪世泰: 1653~1725)의 한시 200여 편을 중심으로 울산 방어진(現 울산 동구 지역) 목장의 생활상, 호적대장을 근거로 한 인적 구성 등 지역의 문화와 풍속을 다룬다.

자세히보기
강원 횡성문화원 조선의 명재상 횡성인 고형산

조선의 명재상 고형산에 대한 책이다. 강원도 횡성 출신인 고형산(高荊山)은 성종 14년(1483) 과거에 합격하고 무려 46년간 관료로 활동했으나 행적이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고형산의 발자취를 조사하여 그의 생애와 관료 활동, 관련 유적과 설화를 수록했다.

자세히보기
전북 고창문화원 시네마 창극 진채선

조선시대 명창 신재효가 그의 문하생 진채선을 두고 지었다고 알려지는 연가 '도리화가'를 바탕으로 하여 최초여류 명창인 진채선의 이야기를 담은 창극 '진채선'의 공연 실황 영상

자세히보기
옵션
  • 유형
  • 주제

강원

19
모두보기 +

경기

33
모두보기 +

경북

20
모두보기 +

경남

21
모두보기 +

서울

20
모두보기 +

전남

23
모두보기 +

전북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