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
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장수의 13개 마을이 깃발을 앞세우고 모여 좌도풍물과 함께 흥겹게 즐기는 깃절놀이를 담은 영상. 매년 칠월칠석 열리던 깃절놀이를 재연해 맞이굿부터 초청굿, 깃고사, 깃절, 기놀이, 기싸움, 합굿까지 전 과정을 기록해 사료적 가치가 높은 콘텐츠
자세히보기다큐멘터리 '경주의 조선 500년 역사를 찾다'에서 경주읍성에 관한 부분을 발췌한 편집본이다. 경주는 주로 통일신라의 수도로써 알려져 있지만 고려·조선시대의 발자취가 가장 잘 살아있는 도시기도 하다. 이에 경주문화원은 '살아있는 경주읍성 이야기 길'이라는 읍성 투어를 하고 있다. 고을과 그 고을을 지키는 성을 뜻하는 읍성(邑城), 경주읍성의 이야기이다.
자세히보기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에 있는 소광리계곡의 가을 풍경을 담은 영상이다. 소광리계곡은 굽이치는 계곡이 아름답다. 금강소나무 군락지로도 유명한 소광리계곡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자세히보기철원 옛 이야기
잊혀져가는 철원의 전설과 설화를 구술 자료로 수집해 어린이 및 청소년들에게 옛이야기를 들려주듯 재밌게 구성한 책자다. 철원향토지 등 기존의 자료와 구술자료를 비교,고증해 스토리텔링으로 역사성과 가독성을 높인 향토사의 구비문학 콘텐츠다.
자세히보기수원 우시장의 200년 역사와 변화, 시장구조와 시설, 유통과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우시장 사람들의 경험과 활동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1789년 화성 건립과 함께 세워진 수원 우시장은 한때 전국 3대 쇠전으로 일컬어질 만큼 장세가 컸지만, 현대에는 도시 개발로 인해 쇠퇴하다 1998년 결국 폐지되었다.
자세히보기제주전통혼례음식'잔치 먹으러 갑주'
육지의 음식문화와 큰 차이를 보이는 제주전통혼례의 음식문화를 담은 영상으로 제주 음식문화의 대표인 돼지고기를 중심으로 하는 제주전통혼례음식의 제조 과정을 지역의 향토전문가와 마을 주민들과 함께 재현하여 기록한 콘텐츠
자세히보기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