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경북의 내방가사 눈으로 만나다
조선시대 영남지역 양반가 부녀자들이 즐겨 부르던 ‘내방가사’를 담은 책자. 경상북도에서 불리는 내방가사 8곡과 여성의 일생으로 본 내방가사 8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남성 중심사회에서 여성들의 삶과 애환, 그리고 여성집단문학의 힘을 음미할 수 있다. 잊혀져가는 내방가사를 전승·보존하는 의미 있는 콘텐츠.
자세히보기부산 해운대문화원 부산의 야혼 간비오봉수
큰 나루가 있는 산을 뜻하는 간비오 산, 낮지만 한눈에 먼 바다를 볼 수 있는 지리적 요충지로 봉수대가 자리잡을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영상. 간비오산 정상에 올라서면 볼 수 있는 해운대와 오륙도 등 동남아 해안의 광활한 풍경을 통해 오늘날 힐링문화공간으로 재조명하는 콘텐츠
자세히보기서울 광진문화원 온달과 평강 1화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의 사랑이야기를 그린 웹툰이다. 고구려의 온달 장군이 전사한 곳으로 알려진 서울 광진구 아차산성을 중심으로 풀어냈다. 어린이도 알기 쉬운 내용으로 한국의 묵화 기법을 응용하여 고구려의 풍속을 섬세하고 아름답게 그려냈다.
자세히보기광주 서구문화원 절골마을 이야기지도
광주시 서구 일대의 위인들과 관련 유적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소개하는 관광지도이다. '절골'이란 절이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뜻한다. 정조가 조선 최고의 시인으로 상찬한 시인 눌재(訥齋) 박상(朴祥, 1473-1530)의 고향인 서창동 절골마을을 중심으로 광주시 서구 일대의 위인들과 관련 유적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소개한다.
자세히보기경북 포항문화원 그때 그시절 '추억 따라 읽는 포항의 근․현대 이야기'
근현대 포항의 모습을 다룬 책이다. 경북 포항은 현대 산업화과정에 격변을 겪은 곳으로 한국 산업역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근현대에 포항이 걸어온 길을 지리, 인물, 경제, 사회, 문화 등 7개 분야로 나누어 풍부한 사진 자료와 함께 책자로 발간했다.
자세히보기충남 태안문화원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최기면)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자세히보기경북 울진문화원 울진 불영계곡과 왕피천 디지털 문화 콘텐츠 '왕피천 여름'
천혜의 비경을 자랑하는 경북 울진군의 불영계곡과 왕피천의 여름 풍경을 담은 영상이다. 왕피천은 계곡이 깊고 경관이 수려할 뿐 아니라, 일부 구간은 차량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기에 생태·경관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