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충남 태안문화원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이헌구)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자세히보기

충남 천안서북구문화원 고향의 노래

근현대기의 충남 천안지역 문인들과 천안에 연고가 있는 작가들의 시, 시조, 수필, 동화, 소설, 희곡 87편을 수록한 문집이다. 천안의 자연환경과 역사, 문화재, 인물들을 소재로 노래한 시와 시조, 수필, 동화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들을 수록하여 천안지역의 향토문화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자세히보기

경북 울진문화원 울진 불영계곡과 왕피천 디지털 문화 콘텐츠 '성류굴 가을'

경북 울진군에 위치한 성류굴의 가을 풍경을 담은 영상이다. 천연기념물 제155호로 지정된 성류굴은 신선들이 놀다 간 곳이라 하여 선유굴이라고도 한다. 울진의 성류굴에서는 지하 궁전과 같이 화려한 종유석과 석순, 석주 등 석회동굴 특유의 아름답고 다양한 생성물들을 볼 수 있다. 2019년에는 신라 제24대 임금 진흥왕이 560년에 다녀갔다는 명문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자세히보기

충남 서산문화원 자작농협의회 이종선 인터뷰

서산 간척사업으로 사라진 옛 천수만 지역 주민의 인터뷰 영상이다. 80년대 AㆍB 지구 간척사업 당시 영향을 받았던 어민들과 피해어민회 투쟁을 통해서 정부와 보상을 협의했던 일을 회고한다. 또한 지역 주민으로서 간척지의 문제와 현실, 다양한 고기잡이 활동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

자세히보기

전북 부안문화원 부안 수성당 굿

전북 부안에서 '죽막동 수성당굿'을 고증 및 재현한 영상이다. 부안 사람들은 칠산바다를 지켜주는 신인 ‘개양할미’를 모시며, 풍어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했다. '죽막동 수성당굿'은 한때 지역의 대표적인 공동체 제의 문화였지만 지금은 잊혀져 가고 있어, 지역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거친 바다를 터전으로 살아간 옛사람들이 발복을 기원하던 토속신앙을 보여준다.

자세히보기

부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부산의 길 (사진展)

'길의 도시' 부산이 역사와 문화의 흐름에 따라 변해온 변천사를 담은 전자책이다. 근대길, 현대길 등 부산의 모든 길을 담았다. [부산의 길 사진전]에서는 잊힌 조선 시대의 부산부터 현대의 부산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흔적을 다양한 사진과 그림자료로 정리하였다.

자세히보기

경기 김포문화원 중봉 조헌 콘텐츠 제작 '리소스북'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의병장이자 문인 조헌을 다룬 전자책이다. 그와 관련된 모든 기록물, 유적, 유물, 인물은 물론 설화까지 키워드별로 묶어 알기 쉽게 자료화했다.

자세히보기

충남 서산문화원 송시리 김형익 인터뷰

서산 간척사업으로 사라진 옛 천수만 지역 주민의 인터뷰 영상이다. 해안의 굴곡 부분에 돌담을 쌓아 그 안에 갇힌 물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어로(漁撈) 방법인 독살, 그 외에 다양한 어로 방식을 설명한다.

자세히보기

부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부산의 길 (자료집)

'부산의 길' 속에 녹아있는 문화자원을 발굴, 조사하여 시간, 공간, 테마별로 유형화한 원천콘텐츠 자료집이다. 총 162개의 길 아이템을 바탕으로 각 길에 대한 시대별 지형학적 개요와 역사, 현재의 모습, 부산과 관련된 이야기를 수록했으며, 국내외 비슷한 관광자원 개발사례와 제언까지 담았다.

자세히보기

경북 고령문화원 고령군 인물지

경북 고령지역이 배출한 자랑스러운 인물 574명의 정보를 담은 책자이다. 인물을 시대별(대가야, 통일신라, 고려, 조선, 근현대 등)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인물들의 사상을 재조명했다. 되도록 문헌에 근거한 사실 위주로 작성하고 참고문헌을 함께 명시했다.

자세히보기

경남 진해문화원 진해 근대문화유산의 재발견 '진해는 살아있는 박물관이다'

진해의 근대 문화유산을 발굴하여 소개하고, 문화유산 보존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은 책이다. 경북 진해시는 2010년 창원시로 통합되면서 정체성 상실의 위기를 맞았다. 김구를 위시한 독립투사들, 근대의 예술가들, 이승만 대통령 등 근대사의 흔적이 진하게 배어있는 진해의 문화유산을 소개한다.

자세히보기

충남 태안문화원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고드랫돌)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자세히보기

충북 청주문화원 청주재발견 중고제 판소리 원류를 찾아서 (김창룡이 부르는 중고제 판소리)

청주지역의 중고제 소리(판소리, 민요)를 수집하고 채보, 연주하여 제작한 음반이다. 중고제는 동편제, 서편제와 더불어 판소리의 여러 유파 가운데 하나로 주로 충청도와 경기도에서 성행하였다. 중고제 소리 보존에 기여하기 위해 악보화 작업을 진행하고, 중고제 소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지역의 소리꾼들을 중심으로 녹음했다.

자세히보기

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1975년 제주도 선흘리 가문잔치·혼례 재현 (사진집)

근대부터 1970년대까지 제주에서 성행했던 독특한 혼례 문화인 '가문잔치'의 재현 과정을 기록한 사진집이다. 1970년대에 결혼한 안시택 부부의 고증과 자문위원회의 논의를 바탕으로 ‘돗잡는날-가문 잔치-잔칫날’로 이어지는 혼례 과정 전반이 담겨있다.

자세히보기
옵션
  • 지역
  • 유형

정치와 행정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