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최근 열람한 지역문화콘텐츠 목록 제공

최근열람자료

19817
  • 테마스토리 경북 >포항시 북구

    기사님 영일대 가주세요?! 영일대 호수와 영일대 해수욕장
    포항에는 두 곳의 영일대가 있다. 영일대 해수욕장과 영일대 호수공원이 바로 그것인데, 해수욕장은 ‘영일대’라는 이름을 갖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조금 혼란이 있다는 농담 섞인 이야기가 들렸다. 포항 시민들은 이곳에서 가벼운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고, 만남의 장소이기도 하며,, 거리의 예술공간이기도 하다. 영일대 호수공원은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공원으로 자리잡은 곳이다. 서로 다른 분위기지만 두 장소 모두 포항 시민에겐 삶에서 재충전을 할 수 있는 훌륭한 공간임에는 틀림없다.
    • 테마 : 생활문화 > 우리마을이야기
    • 이야기 주제 : 경상북도 마을 산책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마을경관
    • 관련문화원 : 경북포항문화원
  • 포스트 큐레이션

    올 가을 한가위는 가족과 함께!
    음력 8월 15일은 한가위로 한가위의 ‘한’은 ‘크다’ 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 또는 가을의 가운데를 의미하는데요. 크다는 말과 가운데라는 말이 합해진 한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 뜨는 대명절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민족 대명절인 만큼 한가위에는 일 년 동안 열심히 일군 곡식을 추수하고 그 곡식으로 음식을 만들어 조상님들의 차례를 지냅니다. 한가위 차례상 하면 빠질 수 없는 음식인 송편! 솔잎을 넣어 찌는 이유를 알고 계신가요? 옛 조상님들은 솔의 정기를 받으면 소나무처럼 건강해진다고 여겼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1년 중 가을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인 추석! 어느때보다도 커보이는 보름달을 바라보며 소원을 빌어보고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가족들과 신나게 담소도 나눠보아요~ 추석하면 꼭 먹는 송편 또한 올해는 솔잎을 넣어 건강까지 챙겨봅시다!
  • 정동심곡바다부채길

    출처:한국관광공사

    지역문화정보

    정동심곡바다부채길
    • 주소 : [2563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헌화로 950-39
    • 출처 : 한국관광공사
  • 테마스토리 서울 >종로구

    독립의지에는 남녀가 없다, 지복영
    지복영은 아버지 지청천(池靑天)과 어머니 윤용자의 2남 2녀 중 둘째로 서울 출신이다. 지청천은 광복군 총사령관이었고 ‘복영’이라는 이름은 아버지 지청천을 만나기를 소망한다는 의미로 지은 것이다. 지복영은 1939년 한국광복군진선청년공작대, 1940년 광복군 입대, 1944년 대적방송 요원으로 활동을 하였다. 지복영은 1995년 『역사의 수레를 끌고 밀며- 항일독립운동과 백산 지청천 장군』을 발간하여 지청천과 함께 했던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찾아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지복영에게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하였다.
    • 테마 : 국난극복 > 독립운동
    • 이야기 주제 : 독립을 향한 의지, 독립운동가 > 광복군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지방의 역사 > 일제강점기
    • 관련문화원 : 서울종로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거창군

    유형귀 장군이 애마의 목을 베고 자결한 거창 살목마을
    고려 말 유형귀라는 무사는 나라가 혼란해지면서 거창군 가조면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 어느 날, 가마소에서 말 한 마리가 뛰쳐나와 사납게 굴었다. 유 장군이 꾸짖자 말이 머리를 조아렸다. 유 장군은 그 말을 애마로 삼고 무술에 정진했다. 고려 패망 후 새 왕조에서 그를 불렀지만 그는 나아가지 않았다. 장군이 일흔세 살이 되어 말에게 용기를 겨루어보자고 제안한 후, 그 결과대로 말의 목을 베고 자신도 자결했다. 이에 유 장군이 말의 목을 벤 곳을 일러 ‘살목’이라고 불렀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명유래
    • 이야기 주제 : 경상남도 지역의 지명유래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구비전승·어문학 > 지명유래
    • 관련문화원 : 경남거창문화원
  • 축령산 자연휴양림 캠핑장

    출처:한국관광공사

    지역문화정보

    축령산 자연휴양림 캠핑장
    • 주소 : [12025]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축령산로 299
    • 출처 : 한국관광공사
  • 을왕리해수욕장

    출처:한국관광공사

    지역문화정보

    을왕리해수욕장
    • 주소 : [22383]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서로302번길 16-15
    • 출처 : 한국관광공사
  • 테마스토리 광주 >남구

    절대고독과 기도의 시인 김현승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로 시작되는 '가을의 기도'를 쓴 김현승 시인은 광주 양림동이 고향이다. 광주 양림동은 '광주의 예루살렘'으로 불릴 정도로 서구 선교사들이 처음 정착한 동네이다. 이곳에서 김현승은 신앙심을 키우고 시를 구상하며 작품활동을 했다. 숭실전문학교 시절 양주동의 추천으로 데뷔한 뒤, 정지용, 김기림, 이태준의 찬사를 받을 정도로 뛰어난 시를 썼다. 신사참배 사건으로 누이를 잃고, 6.25전쟁 때는 4살짜리 아들을 잃는 등 시련을 겪으며 인간의 고독과 허무 등 삶의 근원에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호남신학대학 뒷산에 김현승이 자주 찾던 산책로가 있고, 여기 '시인의 길'이 조성되어 있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역문화예술인
    • 이야기 주제 : 문학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성씨와 인물 > 인물
    • 관련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
  • 테마스토리 서울 >마포구

    멸치잡이에 탁월하게 이용되는 낭장망
    낭장망은 큰 범주에서 보면 정치망(定置網)에 속한다. 정치망이 지닌 특징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을 시켜놓은 뒤에 고기를 잡는 것이기 때문에 낭장망 역시 전체적으로 이러한 성격과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조수의 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 낭장망은 매우 유리한 어업인데 그 이유는 활발하게 조류가 움직여야 물고기들이 그물로 들어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낭장망을 이용한 어업은 조금 때보다는 사리 때 유리하다. 조류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은 조금 때는 낭장망으로 들어가는 바다 생물의 양이 매우 적은 편이다.
    • 테마 : 산업 > 한국의 어업
    • 이야기 주제 : 한국의 전통 어로활동 > 색다른 어업의 도구, 어구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경제와 산업 > 농림수산업
    • 관련문화원 : 한국문화원연합회
  • 명동난타극장

    출처:한국관광공사

    지역문화정보

    명동난타극장
    • 주소 : [04536]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26
    • 출처 :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