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최근 열람한 지역문화콘텐츠 목록 제공

최근열람자료

21227
  • 테마스토리

    한국 전통가구, 장(欌)의 구조와 특징
    장은 하나의 몸통에 내부에 층을 구분하는 널이 있는 형태의 조선시대 목가구이다. 대표적인 양반가의 혼수품이었던 장은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공간의 제약이 컸다. 그러한 까닭으로 일반 서민들은 비싼 장을 사용하기 어려웠고 그 대신 값이 싼 농이나 반닫이를 사용하였다. 장은 옷장, 책장, 약장, 찬장 등이 있으며 여러 공간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테마 : 산업과 경제 > 한국의 공예
    • 이야기 주제 : 목공예 > 생활용 목공예와 목가구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문화유산 > 공예
    • 관련문화원 : 한국문화원연합회
  • 테마스토리 부산 >기장군

    부산 기장 대멸은 멸치 털기를 해야 제맛이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서는 국내 생산량의 60%나 되는 대멸이 잡힌다. 길이가 7~15㎝의 큰 멸치로 대멸은 유자망을 이용해 잡고, ‘멸치털이’라는 특별한 방식으로 멸치를 그물에서 떼어낸다. 멸치털이는 대변마을에서만 행하는 특별한 어로방식이다. 대변항은 동해와 남해의 경계이자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곳으로 좋은 어장이 조성되어 있어 멸치잡이가 성하다. 유자망으로 잡은 멸치를 선창에서 그물 끝을 잡고 턴다. 털이를 하는 과정에서 대가리와 내장이 떨어지므로 쓴맛이 없는 젓갈로 만들고, 신선한 것은 회로 먹는다. 특히 봄멸치는 고소하고, 씨알도 굵어 멸치회로 즐긴다.
    • 테마 : 자연과 지리 > 한국의 강과 바다
    • 이야기 주제 : 한국의 바다 이야기 > 바닷가 전통 어로 방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자연환경
    • 관련문화원 : 부산기장문화원
  • 테마스토리 대전 >유성구

    순수 주민 주도형 축제 '유성온천문화축제'
    유성온천문화축제는 유성온천과 과학도시 유성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계승시킨 순수 주민 참여 및 주도형 축제이다. 유성온천은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10개의 관광호텔과 약 200개의 숙박시설이 있다. 매년 2천만 명이 넘는 관광객과 목욕객이 유성온천을 찾고 있다. 유성온천문화축제의 대표적인 행사는 ‘온천거리 퍼레이드, 온천수 건강대첩, 온천수 샤워 DJ파티’이다.
    • 테마 : 지역과 역사 > 지역축제
    • 이야기 주제 : 지역명소축제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대전유성문화원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출처:한국관광공사

    지역문화정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주소 : [0306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 출처 : 한국관광공사
  • 테마스토리 인천 >서구

    대왕마을 지킴이 이종민
    이종민 구술자는 1946년생으로 인천 서구 대왕마을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큰 외리라고도 불리던 대왕마을은 이종민의 8대조 이언할아버지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개발의 바람이 불면서 지금은 뿔뿔이 흩어지고 몇 가구밖에 남지 않았지만 대왕마을, 소왕마을, 대촌은 오랜 시간 광주 이씨 집성촌이었다. 할아버지께서 지은 초가집에서 유년기를 보냈고, 단독주택으로 개조하여 그곳에서 결혼하고, 세 명의 아들을 낳고 그 아들들이 자라 출가하고, 구술자 본인이 76세가 된 지금까지도 그곳에서 대왕마을을 지키고 있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우리마을이야기
    • 이야기 주제 :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 서구를 바라보는 네 가지 시선 : 서구 네 컷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마을경관
    • 관련문화원 : 인천서구문화원
  • 테마스토리

    몽골에서 들어온 머리스타일, 개체변발(開剃辮髮)
    개체변발(開剃辮髮)은 몽고 특유의 풍속으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 1272년(원종 13)에 충렬왕이 원에서 돌아올 때 변발호복을 하고 들어 왔으며, 즉위 후 경내에 영을 내려 모두 원나라 몽고의 의복을 입게 하고 개체변발을 할 것을 명함으로서 성행하였다. 이후 머리모양은 우리나라 고유의 수발양식(修髮樣式)인 상투와 얹은머리로 되돌아갔다. 그러나 고려시대 원나라 머리 양식의 영향이 컸으므로 이후 머리로 계(髻)를 만들거나, 머리를 땋아 늘이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한국의 의복
    • 이야기 주제 : 고려시대의 복식 > 고려시대의 머리꾸밈, 두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한국문화원연합회
  • 테마스토리 부산 >해운대구

    부산 동백섬에 최치원이 새긴 해운대 석각
    『해운대 석각』은 신라 후기 학자 최치원이 부산 동백섬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감탄하여 바위에 새긴 흔적이다. 해운은 최치원의 다른 이름이다. 우리 선조들은 아름다운 풍경을 간직한 명소에 정자를 짓거나 별장을 두고 자연을 감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자연을 있는 그대로 감상하기도 했지만 바위 등에 시나 이름을 새겨 흔적을 남기는 ‘석각문화’가 존재했다. 이러한 문화를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여 우리나라에 널리 퍼트리기 시작한 것이 최치원이다. 『해운대 석각』은 동백섬의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 테마 : 역사문화유산 > 한국의 기록문화
    • 이야기 주제 : 경상도 대구 울산 부산의 기록문화 > 종이자료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문화유산 > 기타
    • 관련문화원 : 부산해운대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밀양 삼랑진 후조창터에 세워진 관찰사 조인영 조폐리정 영세불망비
    조인영(趙寅永, 1782~1850)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이조판서 진광의 아들이다. 1891년(순조 19)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응교에 임용되고, 그해 형의 딸이 세자빈이 되면서 홍문록(弘文錄) 도당록(都堂錄)에 선임되었다. 1822년 함경도 암행어사로 복명 후 대사헌에 특진되었다. 1826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뒤 이조참의, 대사성, 세손좌유선, 제학, 예조참판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관찰사 조상국인영 조폐리정영세불망비는 수지문을 선각으로 조식하였으며, 비신을 감(龕) 형태로 공간을 만든 후 음각으로 비문을 주성하였다.
    • 테마 : 역사문화유산 > 한국의 철문화
    • 이야기 주제 : 기타 > 비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문화유산 > 기타
    • 관련문화원 : 경남밀양문화원
  • 테마스토리

    귀족 계급만이 쓸 수 있었던 모자, 책(幘)
    책(幘)은 두건 모양의 고구려인들이 많이 쓴 관모로 건과 같이 머리에 동여매던 수건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착용하였다. 중국에서 들여왔지만, 중국 책의 형태와 달리 독립적인 관모로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나 우리 고유 쓰개 중에서도 책은 민족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고기록이나 고분벽화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책은 우리나라에서는 귀족 계급만이 쓸 수 있었다. 이후 우리나라 고유 관모인 절풍과 함께 변상관모로 오랫동안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며 삼국시대 이후에도 꾸준히 상당 기간 착용되었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한국의 의복
    • 이야기 주제 : 상대시대의 복식 > 상대시대의 모자, 관모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한국문화원연합회
  • 테마스토리 부산 >동래구

    "악귀와 잡신아 썩 물러가거라!" 동래 지신밟기
    동래 지신밟기는 부산 동래지역에 전승되는 민속놀이이다. 새해를 맞이해 정월 정초에 마을과 집터에 머물러 있는 지신(地神)을 진압하여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과 집안의 평안을 빌며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민속신앙적인 놀이다. 1977년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4호로 지정되어 보존 및 전승되고 있다.
    • 테마 : 생활과 민속 > 지역놀이
    • 이야기 주제 : 부산의 민속놀이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부산동래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