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대전 유성 마을의 설화를 바탕으로 한 그림자 인형극의 공연 영상이다. 대전 유성지역 법정동 마을의 58개 구전설화를 조사하고, 고증 및 선별한 3가지 이야기 - 수통굴 전설, 유성 온천 설화, 호랑이가 업고 간 아기-를 어르신들이 참여하는 인형극으로 제작했다
대전 둔산지구의 번화가에 도심 속 오아시스로 자리잡은 남선공원은 산책로에서 생태체험을 할 수도 있고, 빙상장과 축구장을 겸비한 체육관에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명학소 민중봉기 기념탑과 도산서원도 있어 역사 체험에도 적격인 도심 속 공원이다.
대전광역시 지하철 갈마역 근처에 올림픽기념 국민생활관이 있다. 88올림픽 성공을 기념하는 이 건물은 1991년에 지어졌다. 이 건물을 지나면 갈마공원이 나온다. 계절별로 꽃과 나무가 번갈아 피어나고, 벼룩시장이나 동네 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2019년 12월에는 월평도서관도 개관한다.
대전은 천을 따라 걷는 길을 잘 조성해놓은 도시다. 그 중 갑천에는 누리길이 있다. 누리길을 끼고 갑천을 걷다 보면 노루벌도 볼 수 있고, 가을에는 갈대숲도 볼 수 있다. 노루벌은 늦반디불의 서식지이자 최장수 느티나무가 있는 곳이다. 갑천 누리길은 시민의 공모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생태체험도 할 수 있고, 트레킹 코스도 잘 되어 있어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세천 유원지는 대전 동구 세천동에 있는 유원지이다. 식장산을 가는 길 초입에 있는 유원지로 많은 식물들을 관찰할 수 있으며, 계절별로 아름다운 풍경이 연출되는 곳이다. 세천유원지 초입에는 1932년에 완공된 물막이댐이 있다. 이곳은 한때 대전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활용되던 곳이다. 수돗물의 역사를 알 수 있어 교육적으로,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곳이다.
대전역 뒤쪽의 소제동은 1904년 대전역이 생긴 이후 일본 철도공사 종사자들과 기술자들이 집단으로 거주한 철도관사촌이다. 한때 흥했던 그곳은 전쟁과 도시화로 버려졌고, 빈집이 2천채가 넘는 곳이 되었다. 그곳에 유현민 작가가 들어와 소제관사42호를 ‘소제창작촌’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소제창작촌 근처의 빈 집에 시울마실, 293빈집, 소호헌도 문을 열었다. 모두 사람이 떠난 지 몇 년씩 된 집이고, 마을 주민들의 배려와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공간들이다.
대전역전지하상가에 있는 해풍사는 20여년 전부터 오래된 외국 잡지와 만화책, 외국서적 등을 파는 곳이다. 과거에는 무역업자를 통해 책을 수입하고 배달해주는 식으로 운영했다. 그래서 따로 점포 없이 집에서 운영하다, 대전 은행동, 대흥동에서 서점을 운영했고, 20년 전 역전지하상가에 자리를 잡았다. 다양한 서적과 물건들이 진열되어 있는데 90년대 외국 잡지, 애니메이션 포스터, CD, 비디오테이프, 드로잉북, 연예인 사진, 캐릭터 문구까지 옛 물건들 구경에 시간 가는 줄을 모른다.
바람웃또에 관한 설화에는 서귀포시 서귀동, 동홍동, 서홍동 세 마을에서 모시는 수호신의 내력을 담은 이야기다. 세 마을의 신은 남편 바람웃또와 부인 고산국, 처제 지산국으로 가족의 일원들이다. 이들 간의 삼각관계 때문에 이 세 마을의 불화가 일어났다는 설명이며, 세 마을 사람들은 서로 혼인하지 않는다고 한다.
지장아기씨에 관한 설화는 액(厄)을 막아주는 ‘지장’이란 여신의 내력을 담은 이야기이다. 일반신본풀이에 속하며, ‘지장본풀이’이란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는 내내 주변 사람들이 죽어나간 지장아기씨는 죽어서도 ‘악새’로 환생한다. 지장아기씨는 남을 죽이는 살(煞)을 가진 동시에 죽은 원혼의 한을 풀어 저승으로 인도하는 여신이고, 백정들의 가문에서는 자신들을 수호해주는 조상신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명동리에는 벼락바위에 얽힌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 설화는 ‘지명 전설’의 한 유형으로 살생을 하는 백 년 묵은 지네가 하늘의 처벌을 받았다는 이야기이다. 방을 내걸고 장수들을 불러 모았지만 죽일 수 없었던 지네는, 마을 사람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자 벌을 받아 죽게 된다. 이 설화는 인과응보, 권선징악을 교훈으로 하고 있다.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왕등도에 전해지는 전씨에 관한 설화는 왕등도에 전씨가 집성촌을 형성하게 된 유래를 담은 이야기이다. 본래 왕등도는 굶어 죽으라고 보내는 귀양살이 섬인데, 한양에서 귀양 온 전씨는 집안의 보물인 요술부채를 이용하여 세곡선을 탈취하며 왕등도에 일가를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와우리에 전해지는 게명당에 얽힌 설화는 ‘풍수설화’의 한 유형으로 원래 임씨가 터를 잡은 곳이 명당자리였으나 더 큰 부자가 되고 싶은 욕심 때문에 명당을 훼손하였고, 결국에는 집안까지 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에 ‘오달기’라고 부르던 주막거리가 있었다. 주먹거리에서 주막을 운영하던 힘이 센 맹씨 성을 가진 사람을 마을 사람들이 ‘맹장군’이라 불렀다. 그는 주막을 운영하면서 나그네들의 돈을 훔치는 전문 도둑이었다. 맹장군이 도둑이라는 소문이 마을 사람들 사이에 알려졌다. 그리고 며느리에게도 그 소문이 들어갔다. 맹장군의 며느리는 꾀를 내어 시아버지의 도둑질을 막았다. 그 후 맹장군도 많이 깨우쳐 도둑질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