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관심지역:
해마다 양력 11월 7 ~ 8일 무렵은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입니다. 입동 때의 날씨를 보며 그해 겨울 추위를 가늠하기도 합니다. 입동 즈음이면 긴 겨울을 보내기 위해 김치와 같은 저장 음식을 준비하고, 추어탕과 같은 보양식을 먹으며 기력을 보충하기도 하는데 김치의 종류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치미, 배추김치 외에도 지역마다 매우 다양합니다.
지역문화이야기 전남 >여수시
돌산 갓김치는 여수의 향토음식으로 돌산도에서 재배한 갓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멸치액젓과 생새우 등을 넣어 버무린 김치이다. 돌산 갓 특유의 톡 쏘는 매운맛과 알싸한 맛으로 예로부터 궁중 진상품으로 올려졌다.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돌산로 일대의 죽포, 두문포, 봉림, 방죽포의 네 개 마을은 ‘여수 돌산 갓김치 마을’로 지정되어있다.
지역문화이야기 경기 >수원시
경기 북부 지방에서 주로 만드는 비늘김치는 무에 생선 비늘처럼 칼집을 내어 그 사이사이에 소를 넣고, 절인 배춧잎으로 싸서 배추김치 사이에 켜켜이 넣어 익힌 김치이다. 여름철에 소금에 절여 두었던 오이나 무를 사용하여 겨울 김장을 할 때 함께 담그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문화이야기 경북 >경주시
사연지는 경상도 백김치의 일종으로 경상북도 경주시와 안동시의 향토음식이다. 만드는 방법이 까다롭고 정성이 많이 들기 때문에 안동지역에서는 제사상에도 올린다. 경주 최부자집의 내림음식으로도 유명하며 사연지라는 이름도 최부자집에서 유래한다.
지역문화이야기 경기
보쌈김치는 해물, 채소, 과일 등 다양한 소를 넣고 보자기로 물건을 싸듯 배춧잎으로 감싸 만든 김치이다. 일반 배추김치보다 속재료를 낙지, 전복, 굴 등과 같이 귀하고 다양하게 넣는다. 모양과 맛이 화려하고 고급진 개성 지방의 향토음식으로 궁궐이나 고위 관직에 있는 사람들이 주로 먹었던 음식이다. 해물과 과일 등 다양한 재료의 맛을 즐길 수 있는 것이 보쌈김치의 특징이다.
지역문화이야기 인천 >중구
짠지떡에는 백령도에서 흔한 자연산 굴이 들어있다. 그리고 까나리액젓으로 만든 깔끔한 김치가 그 맛을 좌우한다. 짠지떡의 피는 만두처럼 얇지 않고 두껍고 쫀득하다. 두부나 채소 없이 굴과 삭은 김치 두 가지로 맛을 내고, 굴이 있어도 무르지 않고 먹기에 알맞다.
지역문화이야기 서울 >종로구
장김치는 간장에 절인 배추와 무를 다양한와 재료와 합하여, 단맛을 더한 간장으로 간을 맞추어 담그는 김치이다. 장김치는 궁중에서 먹었던 음식으로 배, 잣, 밤, 대추, 표고버섯, 석이버섯 등 귀하고 고급스러운 재료를 사용하였다. 젓갈이나 고춧가루, 소금이 사용되지 않아 부담이 없고 떡과 잘 어울려 떡국이나 떡이 올라간 상차림에 곁들여졌다.
지역문화이야기 강원 >춘천시
동치미는 무를 통째로 소금에 절여 배, 청각, 쪽파, 갓, 고추, 마늘, 생강 등과 함께 소금물을 부어 익힌 김치이다. 주로 김장철에 담그는 동치미는 옛 조리서에 ‘동침(凍沈, 冬沈)’으로 기록되어 있어 이름의 유래를 짐작할 수 있다. 북부 지방에서는 동치미 국물에 면을 말아 겨울철 별미로 즐겼고 강원도 지역에서도 막국수 국물로는 동치미 국물을 기본으로 한다.
지역문화이야기 제주 >제주시
제주 김치는 지형적 특징으로 바다에서 나는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가 많다. 전복김치는 청각김치, 톳김치와 같이 제주 김치를 대표하는 향토음식의 하나로 조선후기의 고문헌에서도 식용의 기록이 확인되는 음식으로 전복과 유자의 주산지인 제주도와 남부 해안지방에서 만들어 먹는다.
지역문화이야기 전남 >무안군
고들빼기김치는 소금물에 삭혀 쓴맛을 제거한 고들빼기를 멸치젓국,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양념에 버무려 담근 전라남도 지방의 향토음식이다.
지역문화이야기 인천 >옹진군
까나리는 뼈째 먹을 수 있는 고칼슘, 고단백 생선이다. 구이나 찌개, 조림 볶음 등으로 요리해 먹기도 하지만 주로 젓갈을 담가 먹는다. 까나리젓은 까나리를 소금에 절여 5개월 이상 발효 숙성시킨 식품으로 숙성된 젓갈을 베보자기나 창호지에 거른 것이 액젓이다. 까나리액젓은 김치의 신선도를 높여주고 숙성을 빠르게 하고 간장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지역문화이야기
배추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조선시대까지 한양과 개성에서 자란 것이 유명했다. 이 배추는 배추잎이 절반정도 뭉친 반결구종으로, 무게는 결구종보다 적고 생육기간도 길었다. 임오군란 이후 중국인들이 한국땅에 살고 중국과 왕래하면서 중국의 결구배추가 들어오게 된다. 결구배추는 배추잎이 서로 감싸 완전히 뭉친 것인데 생육기간이 짧고 크기도 컸다. 일제강점기 반결구배추가 병충해에 시달리면서 결구종 배추가 보급되어 오늘날 김치를 만드는 배추는 결구종배추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지역문화이야기 경북 >청도군
청도 추어탕은 미꾸라지와 민물고기를 함께 넣어 맑게 끓여낸 경상북도 청도군의 향토 음식이다. 청도에는 미꾸라지보다 민물고기가 풍부한데, 이 때문에 청도 추어탕은 미꾸라지와 민물고기를 섞어 맑게 끓여내는 것이 특징이다. 미꾸라지를 통째로 끓인 서울식, 뼈까지 갈아넣는 남원식 추어탕과는 또 다른 매력이 있어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관심지역과 분야를 설정해보세요.
관심분야 (3가지)
게시물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http://www.ncultur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