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부산에서 가장 큰 섬인 가덕도의 역사를 담은 다큐멘터리이다. 가덕도는 지상박물관이라고 할 정도로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 유적이 풍부한 곳이다. 지리상으로 군사요충지기도 했던 가덕도에 남아있는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 흔적을 찾아 떠나는 역사교훈 여행 다큐멘터리.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있는 현충사에는 이순신 선무공신교서가 소장되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왜적과 맞서 싸워 나라를 구한 이순신 장군의 공로를 치하하기 위하여 선조 37년인 1604년에 내린 교서이다. 교서의 내용은 이순신 장군의 업적과 책훈에 따른 여러 포상 내역이 주를 이룬다. 특히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이전 북방 오랑캐 방비에 활약한 사실부터, 전란 당시 수군을 통솔하며 뛰어난 업적을 남긴 정황 등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 있는 점이 눈길을 끈다.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위치한 충무사(忠武祠)에는 「우수영전진도첩(右水營戰陣圖帖)」이 소장되어 있다. 전라우수영의 수군 진법의 전모를 살필 수 있는 필사본 수첩(手帖)이다. 이 수첩에 기록된 주요 진법은 예진도, 직진도, 하방영도, 도진도, 학익진도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해상전투 대형을 묘사한 것이다. 조선시대 수군 진법에 관련한 구체적인 실태와 조선 후기 수군진의 운영 사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전라남도 여수시 고소동 고소대 비각에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여수 타루비가 있다. 여수 타루비는 이순신이 세상을 떠난지 6년 후인 1603년 이순신의 수하였던 좌수영의 군사들이 이순신의 공덕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여수에 있던 타루비를 서울로 빼돌리고 해방 후에 경복궁에 묻어둔 채 가버렸다. 여수 시민들이 수소문 끝에 타루비를 찾아내 여수로 옮겨와 고소대에 비각을 짓고 통제이공 수군대첩비와 함께 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는 이순신 장군의 공적을 기념하는 명량대첩비가 세워져 있다. 명량대첩은 1597년 이순신이 명량의 거센 물살을 이용해 왜군들에게 크게 승리한 전투이다. 비문은 1686년에 지어졌으나 비석은 2년 뒤인 1688년에 세워졌다. 현재에도 명량대첩축제와 명량대첩과 관련된 역사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이순신 장군의 공적이 기억되고 있다.
경남 고성군 동해면 좌부천마을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시기, 이순신 장군의 수군이 머무르며 들돌들기를 했다는 들돌이 느티나무 아래에 놓여 있다. 들돌들기란 예전에 남자들이 무거운 돌을 들어 올려 힘을 겨루던 놀이를 말한다. 지방에 따라 들돌을 들독 · 등돌 · 진쇠돌 · 당산돌 · 신돌 · 차돌백이돌이라고도 하고, 이 들돌 때문에 마을의 명칭이 거석거리 · 들돌거리 · 거석마을인 곳도 있다. 좌부천 마을의 들돌이 여럿 있었으나 현재는 어른 머리 크기 정도의 들돌이 민속자료로 남아 있다.
전남 순천시의 백의종군로는 선평삼거리에서 구례읍에 이르는 약 25km의 길이다. 송치재에서 황전면까지의 구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국도 17호선과 나란한 뚝방길로 이어져 있다. 백의종군로는 이순신이 백의종군하여 걸어내려온 총 640.4Km의 길 중 25Km의 길로 명량대전의 승리를 준비하는 기나긴 여정의 시작이었다. 계절별로 물길을 따라 늘어선 벚나무를 보며 자전거도 탈 수 있고, 걸을 수도 있는 아름답고 평화로운 길이다.
충무공 장검은 길이 196.8㎝와 197.2㎝의 2점이며, 보물 326호로 지정되었다. 두 자루의 장검은 이순신이 1594년 4월 한산도 진중(陣中)에 있을 때 스스로 만든 칼이다. 전장에서 실제로 쓴 것이 아니라 곁에 두고 정신을 가다듬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칼날에 삼척서천 산하동색 일휘소탕 혈염산하(三尺誓天 山河動色 一揮掃蕩 血染山河)라는 친필 검명(劍銘)이 새겨져 있고, 칼자루 속에 甲午四月日造太貴連李戊生(갑오년 4월에 태귀련과 이무생이 만들었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통영의 충렬사는 이순신을 배향하는 사우이다. 임진왜란의 영웅인 이순신에 대해서는 해전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알려져 있다. 전장에서의 모습이 아닌 숨겨진 이야기들은 이순신의 리더십을 잘 보여준다. 특히 명나라 도독 진린과의 일화는 이순신이 얼마나 용의주도하고 대범하게 상황을 주도해가면서 신망을 얻었는지 잘 보여준다.
백두대간의 말단 부근에 자리한 여원재는 오래전부터 고개의 동쪽과 서쪽을 연결하는 길목이었다. 전라도 남원에서 경상도 함양으로 이어지는 주요 통로로 기능했다. 조선시대에는 전국을 연결하는 간선도로 가운데 통영로가 통과하던 구간이며, 공공업무를 수행하러 다니던 사람들이 이용했던 역로인 오수도의 한 구간이었다.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이 경상도로 진출하기 위해 여원재를 넘다가 관군과 전투를 벌였지만 크게 패하고 말았다. 여원재의 서쪽을 흐르는 물은 섬진강으로 흐르고, 고개의 동쪽을 흐르는 물은 낙동강으로 흘러간다.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거산리에 속싯개가 있다. 속싯개는 임진왜란 때 당항포 해전이 있었던 바닷가이다. 당시 왜군들은 이순신 장군의 계책에 속아 대패하였다고 하며, 그로 인해 주민들은 ‘왜군들이 속은 갯가’라 하여 이곳을 '속싯개'라 불렀다고 한다. 그런데 이 해전에 숨은 조력자가 있으니 그녀는 바로 무기정 곱세집의 이름 모를 기녀였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일본은 조선에 밀사를 보낸다. 밀사는 임무를 수행하던 중 곱세집에 머물고, 한 기녀에게 마음을 빼앗긴다. 이후 밀사는 임무를 완수하고 다시 기녀를 찾아가고, 술에 취해 자신이 이 고을의 주인이 될 것이라 말한다. 이를 들은 기녀는 밀사의 품속에서 지도를 발견하고, 지도를 변조한다. 이러한 기녀의 숨은 공로로 임진왜란 때 당항포 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여수거북선축제는 1967년 여수진남제에서 시작된 전통있는 축제다. 진남관은 전라좌수영의 사령부 건물이었던 진해루 터에 지은 건물이다. '남쪽을 진압하라' 즉, 왜군을 진압하라는 의미를 붙여 진남관이라 불렀다. 여수거북선축제에서는 전야제로 영당 고유제가 열리고, 가장행렬, 선박 해상 햇불놀이, 불꽃놀이, 축등행렬을 진행하며 소년 이순신도 뽑는다. 그중 통제영길놀이는 인기가 많다.
통영한산대첩축제는 동양의 나폴리라 불리는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에서 매년 열리는 문화제로, 1962년 세계 4대 해전의 하나인 한산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다. 통영한산대첩축제는 관광축제를 표방하면서 길놀이, 대풍어제, 민속공연, 바다낚시대회, 서커스 공연, 시민거리축제, 전통예술 공연, 종합문화예술전시, 해상대연주회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