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평창군 도사리에 사는 김봉자 요리 도사님의 밥상, 언감자송편 레시피를 촬영한 영상. 평창 자연밥상을 차린 요리명인 5인의 삶과 요리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
6·25전쟁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배수진이었던 낙동강방어선까지 밀려나자 경남엔 곳곳은 스며든 피란민들로 넘쳐났다. 다행히 보리농사를 많이 지었던 터라 보리 속 등겨로 수제비, 보리개떡을 나눠먹으며 어려운 시절을 극복한 지혜의 음식이었다. 등겨수제비는 현재 성주향토음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리등겨에는 베타클루칸이라는 항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건강식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충주 해장떡은 붉은 팥고물을 묻힌 인절미를 술국과 함께 먹는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목계나루의 향토음식이다. 충주지역은 조선시대 내륙지역의 최대 조창(漕倉)이었던 가흥창(嘉興倉)이 설치되었던 곳이다. 목계나루는 수운(水運)을 통해 세곡(稅穀)과 물자를 운반하는 물류의 거점지역이었다. 노동의 강도와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뱃일을 하는 뱃사공들이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과음을 하면 자연스레 찾는 해장떡은 남한강 일대의 특유한 해장음식 문화였다.
감자뭉생이는 강원도의 대표 농작물인 감자를 갈아 체에 내려서 가라앉힌 전분과 감자 건더기를 섞은 반죽에 강낭콩과 밤을 넣고 소금 간을 하여 시루에 넣고 쪄낸 떡으로 평창군을 비롯한 강원도 산간지역의 향토음식이다. 강원도 영월지역에서는 감자뭉생이를 감자붕생이라고도 하며, 감자뭉생이에 들기름과 설탕, 소금을 넣어 다시 한번 찐 뒤 호박잎에 싸서 고추장을 찍어 먹기도 한다.
약밥, 약반(藥飯)이라고 불리는 약식(藥食)은 정월 대보름과 회갑, 혼례 등 큰 잔치에 만들어 먹는 전통음식이다. 약식은 꿀, 간장, 참기름으로 간을 한 찹쌀밥에 잣, 밤, 대추 등을 섞어 쪄낸 음식이다. 주식이라기보다는 떡으로 분류한다.
쑥구리단자는 봄을 알리는 대표적 식용 식물인 쑥을 이용한 전통 떡이다. ‘단자’는 찹쌀로 떡을 빚어 그 안에 팥소를 넣고, 곁에 꿀물을 바르고 고물을 묻혀 만든다. 맛이 좋은 만큼 정성이 많이 들어가는 단자는 보통 적은 양만 만들어 각색 편과 같은 고임떡의 웃기로 장식하거나 다과상에 차와 함께 올렸다. 고물은 한 가지 색만 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삼색을 마련하였다.
물호박떡은 늙은 호박을 얇게 저며 쌀가루와 섞어 만든 시루떡이다. 맷돌호박, 청동호박이라고도 불리는 늙은 호박은 호박고지를 만들거나 겨우내 저장하여 죽이나 떡, 나물 등의 재료로 활용하였다. 추석 무렵부터 겨울철에 많이 만들어 먹는 떡인 물호박떡은 호박 특유의 은근한 향과 사각거리며 씹히는 질감이 잘 어우러져 옛 정취를 느끼게 하는 맛이다.
짠지떡에는 백령도에서 흔한 자연산 굴이 들어있다. 그리고 까나리액젓으로 만든 깔끔한 김치가 그 맛을 좌우한다. 짠지떡의 피는 만두처럼 얇지 않고 두껍고 쫀득하다. 두부나 채소 없이 굴과 삭은 김치 두 가지로 맛을 내고, 굴이 있어도 무르지 않고 먹기에 알맞다.
방울 증편은 멥쌀가루에 더운물을 탄 막걸리를 부어 묽게 반죽한 다음 오랜 시간 숙성ㆍ발효과정을 거친 후 틀이나 찜통에 넣고 다양한 고명을 얹어 찐 떡이다. 술을 사용한 일종의 술떡으로 여름철 보관성이 좋은 강릉지방의 향토 음식이다.
떡국은 새해 첫날인 설에 먹는 전통음식으로 흰 가래떡을 썰어서 쇠고기나 꿩고기, 닭고기로 맛을 낸 맑은 장국에 넣고 끓여 만든다. 새해 첫날의 밝음의 의미로 흰 떡을 사용하고 떡을 길게 늘여 가래로 뽑는 것은 재산이 늘어나기를 바라는 의미이다.
감단자는 감이 많이 나는 전라도 지방의 향토음식으로 감을 삶아 걸러내어 찹쌀가루를 넣고 끓여서 식힌 후 팥고물을 묻혀 만든 떡이다. 이곳에서는 감을 가마솥에 사흘 동안 푹 고아낸 다음 체에 걸러서 찹쌀가루와 섞은 후 다시 고아서 식힌다. 식힌 반죽을 잘 빚어서 콩고물이나 검정깨 등 갖가지 고물을 묻혀서 감단자를 만든다.
두텁떡은 떡고물이 흩어져 있고 모양이 깔끔하지는 않지만 먹어 본 사람이 아니면 그 맛을 알 수 없을 만큼 맛있는 떡이다. 떡을 시루에 안칠 때 보통 시루떡처럼 고물과 떡가루를 평평하게 안치지 않고 작은 보시기 크기로 하나씩 떠 낼 수 있게 소복소복하게 안쳐 봉우리떡이라고 하며, 편편하게 썰어 먹는 것이 아니라 도독하게 하나씩 먹는다는 뜻으로 두꺼울 후(厚)자를 붙여 후병이라 하며, 합병은 소를 넣고 뚜껑을 덮어 안치는 격이므로 그릇 중 합과 비슷한 모양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김가루를 많이 넣고 향이 좋은 계피, 생강, 귤병(橘餠)을 넣고 보슬보슬하게 쪄낸 진한 자줏빛의 석탄병(惜呑餠)은 삼키기가 아까운 떡이라는 뜻이다. 잣과 꿀이 들어가 달콤하고 고소하며, 계피와 생강의 매운맛이 은은한 감 맛과 어우러져 다른 떡에서는 찾을 수 없는 맛과 질감을 가진 떡이다.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지방의 역사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