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뿌리공원에 소재한 성씨별 조형물에 대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로써 영상물을 제작 및 보급하고자 함. 뿌리 공원의 성씨비를 사진 및 영상으로 촬영하고, 비문(설화)를 데이터 정리하여 추후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옛날 울산의 어느 마을에 오누이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부모님이 병에 걸려 자리에 눕고 말았다.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해보았지만 부모님의 병은 깊어지기만 했다. 그러던 어느 겨울날, 탁발 온 스님이 오누이에게 산삼을 캐어 부모님께 드려보라고 조언을 해주었다. 오누이는 눈 덮인 산에 올랐지만 산삼을 발견하지 못하고 무를 캐서 부모님께 뭇국을 끓여드렸다. 그랬더니 부모님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알고 보니 그것이 산삼이었다. 이후 오누이가 산삼을 캔 곳을 삼밭골이라 부르게 되었다.
인천광역시 계양구 오류동(梧柳洞)은 마을에 오동나무와 버드나무가 많아 ‘오리울’, ‘오릿골’, ‘오류울’, ‘오류동’이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조선시대 오류동은 ‘효자마을’, ‘효자동’이라는 별칭이 생길 정도로 효행심 깊은 마을로 유명했다. 오류동은 파평 윤씨의 집성촌이었다. 파평 윤씨 문중 가운데 정직한 윤선비가 살고 있었는데, 가난하기는 하였지만 홀어머니를 모시 사는 효성 깊은 선비였다. 그는 엄동설한에 어머니가 먹고 싶다는 잉어를 구해 봉양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윤선비의 효행이 감화가 되어 오류동은 부모 섬기기에 정성을 다하는 마을이 되었다. 조정에서는 이를 칭송하기 위해 효자문을 내렸다고 한다.
옛날 대전광역시 중구 꽃적골에는 한 노인이 며느리와 둘이서 살고 있었다. 며느리가 품을 팔아 시아버지를 공양했는데 어느 해에 가뭄이 들어 품을 팔 수 없게 되자 산에서 꽃을 따다 적을 구워 드렸다. 이후 자신의 죽음을 예감한 노인은 금쟁반을 묻은 장소와 여승이 찾아올 것이라 이야기하고 돌아가셨다. 이후 여승이 찾아오자 며느리는 금쟁반이 있는 곳을 알려주었다. 여승은 금쟁반과 사라지고 며느리는 돌부처로 변했다. 이후 사람들은 돌부처를 미륵님이라 부르고, 이 마을을 꽃적골이라 불렀다.
충청북도 음성에 효자로 이름난 권국화가 살았다. 어느 해 부친의 약을 구하러 한밤중에 장호원을 가려고 하니 호랑이 태워다 줬다. 그리고 한겨울에 부친이 잉어회를 먹고 싶다고 해 성미저수지에 가서 도끼로 얼음을 깨려 했으나 깨지지 않았다. 권국화는 무릎을 꿇어 하늘에 기도를 드렸고, 무릎의 체온에 얼음이 녹아 뚫힌 구멍으로 잉어가 뛰쳐나왔다. 덕분에 아버지는 잉어회를 먹고 천수를 누렸다. 권국화가 잉어를 잡았던 성미저수지가 있는 들판을 잉어가 올라온 곳이라 하여 이양골이라 불렀다.
옛날 진안군 용담면 범바위 마을에 김효자가 살았다. 하루는 노모가 개고기가 먹고 싶다고 했다. 집에 개가 없는 김효자는 친구의 둔갑술 책을 빌려 호랑이로 둔갑하여 개를 잡아왔다. 이후 노모가 개고기를 다 먹을 즈음이면 김효자는 어김없이 호랑이로 둔갑하여 개를 잡아왔다. 이를 의심한 부인이 어느 날 밤 몰래 따라갔다가 김효자가 둔갑술 책을 보고 광에서 호랑이로 둔갑한 것을 봤다. 부인은 놀라서 김효자가 개를 잡으러 간 사이에 책을 불태웠다. 김효자는 책이 없어 사람으로 돌아오지 못했고, 마을 주변을 맴돌다 죽어서 바위가 되었다. 이후 사람들은 마을 이름을 범바위라 불렀다.
옛날 거제시 연초면에 이돌대라는 총각이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어느 날, 병든 어머니가 숭어가 먹고 싶다고 해서 이돌대는 숭어를 구하기 위해 통영까지 갔다가 빈손으로 배에 올랐다. 그때 숭어 한 마리가 갑판에 떨어졌다가 바다로 뛰어들었다. 이돌대는 겨울 바다로 헤엄쳐 들어가 숭어를 잡았다. 마침 배에 타고 있던 통제사가 이를 나라에 알려 이돌대에게는 벼슬이 내려졌으며 정려문도 세워졌다. 정려문이 세워진 마을이라 하여 효촌이라 불리게 되었다.
자식을 연년생으로 여럿 둔 한양 양반이 있었다. 자식이 많아 가진 재산으로는 감당이 안 되어 양반의 체면을 상관하지 않고 아무 일이나 했다. 한번은 부산에 편지를 전달하는 일을 맡아 부산을 왔다 올라가는 길에 옥천에서 한 부자를 만난다. 부자는 한양 양반이 연년생의 자식을 여럿 두었다는 말을 듣고 자기 집에도 자식을 낳아달라 부탁하며, 세 소실과의 잠자리를 주선한다. 20년이 흘러 한양 양반댁에 세 사내가 오더니, 자기들이 아들들이라며, 세 어머니가 계신 마을로 함께 가기를 권했다. 이에 한양 양반은 식솔들을 데리고 옥천으로 내려왔다. 이후부터 사람들은 삼형제가 태어나 자란 마을이라고 하여 삼형제골이라 불렀다.
경북 영양군 영양읍 상원리에는 비릿골이라는 마을이 있다. 옛날 이 마을에 소문난 효자인 조금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병이 들어 누워있던 아버지가 잉어가 먹고 싶다고 했다. 조금은 잉어를 구하기 위해 강으로 갔다. 때는 엄동설한이라 강물도 꽁꽁 얼어있었다. 조금이 잉어를 잡기 위해 얼음을 깨기 시작했다. 얼음 구멍으로 잉어 한 마리가 날아오르듯 튀어나왔다. 조금이 잡은 잉어를 먹은 아버지는 병이 싹 나았다. 이후 사람들은 조금이 살던 마을을 잉어가 날아오른 곳이라 하여 비리골이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과거 시험을 보러 가던 선비가 밤이 늦어 길을 잃었다. 산중에서 초가를 발견해 찾아가 하룻밤 묵어갈 것을 청했다. 초가에는 처녀 혼자 살고 있었다. 서로에게 호감을 느낀 둘은 혼인을 약속했고, 다음 날 선비는 과거를 보러 서울로 떠나며 백 일 뒤에 돌아올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선비는 일 년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았고, 아들을 낳고도 기도를 하던 처녀는 지쳐 죽고 말았다. 과거에 급제한 뒤 돌아온 선비 역시 죽은 처녀를 안고 울다 숨을 거두었다. 훗날 처녀가 낳은 아들이 자라 부모의 애틋한 사연을 듣고 그곳에 집을 짓고 살았다. 이때부터 갸륵하고 아름다운 마을이라고 해서 미라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구비전승·어문학 / 어문학
성씨와 인물 / 인물
종교와 문화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