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경북 영양에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행해진 지역축제인 '용 축제'에 관한 다큐멘터리이다. 전래된 행사가 아닌, 지역과 관련된 축제를 현대에 새롭게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상에는 용과 관련된 설화 및 전설, 축제와 관련된 인물들의 인터뷰를 담았다.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일월산(日月山)에 황씨부인을 모신 ‘부인당’이라 부르는 사당이 있다. 부인당에 관해서 전하는 세 가지 설화가 있다. 첫번째 설화는 딸만 아홉 명 낳은 황씨부인이 시어머니의 학대를 견디다 못해 집을 나가 자결했다는 설화, 두번째 설화는 황씨부인 부부의 금슬이 좋자 시어머니가 질투하여 못살게 굴었고, 이에 황씨부인이 집을 나가 자살했다는 설화, 세번째는 자신을 좋아하는 두 명의 총각 중 한명을 택해 결혼한 황씨부인이 도망간 남편을 기다리다 죽었다는 설화이다. 셋 다 황씨부인의 원한을 풀어주기 위해 부인당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 두들마을의 석계 고택은 이시명과 장계향 부부가 살았던 곳이며, 장계향이 늘그막에 『음식디미방』을 짓고 생을 마감한 곳이기도 하다. 장계향은 이시명과 혼인하여 10남매를 정성껏 기르고 부모님과 남편을 잘 모셨으며 이웃들에게도 도움을 베푼 덕행있는 인물이었다. 『음식디미방』은 한글로 기록된 최초의 음식 조리서로, 장계향이 딸과 며느리에게 음식 조리법을 전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최근에 경상북도 영양군에 장계향문화체험교육원이 설립되어 장계향을 추모하고 『음식디미방』과 관련한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다.
섭산삼은 껍질을 벗긴 더덕을 얇게 썰고 두드려서 찹쌀가루를 묻힌 다음 기름에 튀겨낸 경상북도 영양군의 향토음식이다. 또한 영양군 원리리에 재령이씨 가문 석계종택의 내림 음식으로도 유명하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에는 섭산삼을 만드는 방법도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지금도 석계고택에서는 섭산삼을 입맛을 잃기 쉬운 봄철에 어울리는 음식으로 추천하고 있다.
경북 영양군 영양읍 상원리에는 비릿골이라는 마을이 있다. 옛날 이 마을에 소문난 효자인 조금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병이 들어 누워있던 아버지가 잉어가 먹고 싶다고 했다. 조금은 잉어를 구하기 위해 강으로 갔다. 때는 엄동설한이라 강물도 꽁꽁 얼어있었다. 조금이 잉어를 잡기 위해 얼음을 깨기 시작했다. 얼음 구멍으로 잉어 한 마리가 날아오르듯 튀어나왔다. 조금이 잡은 잉어를 먹은 아버지는 병이 싹 나았다. 이후 사람들은 조금이 살던 마을을 잉어가 날아오른 곳이라 하여 비리골이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경상북도 예천군은 국궁의 본산지이자 한국 양궁의 메카로 알려진 곳으로, ‘활의 고장’이라는 명성을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예천군에서는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기 매년 어린이날을 중심으로 ‘예천 활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 축제는 예천군을 대표하는 축제로 우리 민속 고유의 무형유산인 ‘활쏘기’를 활용하여, 활의 고장이라는 예천군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가족 단위에 관광객들이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활쏘기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경주 형산강 연등문화축제’는 매년 부처님 오신 날을 전후해서 경주시 형산강 일원에서 펼쳐지는 연등축제이다. 축제 표어가 “마음의 평화와 지혜의 등불”이다. 축제의 목적이 이 표어에서 드러난다. 참 부처가 되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등불’이 상징하는 ‘밝음’을 제시하는 부처님의 뜻을 연등(蓮燈)으로 보여주고 있다. 모든 사람이 고통을 딛고 일어나 연꽃처럼 밝게 펴 마음의 평화와 지혜를 얻기를 바라는 축제이다.
‘구룡포 대게 축제’는 2019년부터 시작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그동안 열지 못하다가 2023년 3월에 다시 시작한 축제이다. 2023년 대게축제는 <구룡포 오서오시‘게’>라는 이름으로 축제를 열었다. 구룡포의 상징인 용(龍)과 최대 생산품인 대게를 접목해서 연 축제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다양한 축제 행사와 인기 먹거리 대게로 인해 신생 축제인데도 불구하고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봉화송이축제는 1997년부터 경북 봉화에서 체육공원과 송이산 일대를 중심으로 개최된다. 태백산 마사토에서 자라는 봉화송이는 송이의 육질이 단단하고 향이 뛰어나며 수분함량이 적은 것으로 유명하다. 덕분에 쫄깃쫄깃하며 오랜 기간 저장이 가능하다. 봉화송이축제에서는 송이의 생태를 관찰하고, 산지에서 난 송이의 맛과 향을 음미할 수 있다. 이 기간에는 청량문화제도 열려 두 축제가 서로의 분위기를 돋구어주곤 한다.
포항국제불빛축제는 2004년 포항시민의 날에 맞춰 포스코가 불꽃쇼를 진행한 것이 계기가 되어 축제로 발전한 것이다. 이후 국제규모의 불꽃 축제행사로 확대되었으며 축제콘텐츠도 ‘불꽃’중심에서 탈피하여 산업과 문화적 요소를 융합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축제 기간 동안 약 10만 발의 불꽃이 사용되는 세계적인 불꽃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봉화은어축제는 매년 7월 말에서 8월 초에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개최하는 지역 축제이다. 봉화은어축제는 청정 1급수의 물고기인 은어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다양한 체험 행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은어 반두잡이와 맨손잡이, 은어구이체험은 관광객의 눈과 귀와 입맛을 사로잡는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에 더위를 잊으며 휴가를 보낼 수 있는 즐거운 축제이다.
문경찻사발축제는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찻사발을 주제로 하여 매년 4월 개최되는 축제이다. 문경은 사토를 캐내 발물레로 찻잔을 성형하고, 망댕이 가마로 구워내는 전통방식의 찻사발 도예가 발달한 지역이다. 문경찻사발축제에서는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도예장인들이 참가하여 찻사발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고, 관광객들이 사토와 망댕이 가마를 체험해 볼 수 있다.
대가야체험축제는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고자 개최되는 축제이다. 고령대가야체험축제는 고령군 일원에 조성된 문화관광시설을 기반으로 역사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고 있다. 대가야는 우륵의 가야금, 철로 만든 투구와 갑옷, 가야 토기 등을 역사에 처음 내놓은 시대이다. 가야금, 대장간, 토기 등을 직접 체험하며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잘 짜여 있다. 그 외에도 무용, 뮤지컬, 인형극, 연극, 음악 공연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자연과 지리 / 향토지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