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충남 청양에 소재한 금석문의 사진과 이에 대한 전문가 해설을 담은 영상이다. 금석문은 쇠붙이나 돌로 만든 비석에 새겨진 글로써 옛사람들의 행적과 정신적 가치를 담고 있다.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에 있는 영양정미소는 1962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현재 이곳을 운영하는 사람은 배석기 씨로 1980년에 영양정미소를 인수했다. 그때로부터 39년간 쌀을 찧어왔다. 한창 때는 곡주들한테 위탁을 받는 일도 있어 전국의 낯선 도시에 쌀을 내려주러 방문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일이 많지 않다. 벼는 석발기, 현미기, 도정기, 정미기 3단, 미각기, 연미기를 통과해 쌀이 되어 나온다. 이곳으로 길이 날 예정이라 영양정미소도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운명이다.
청양 마제범놀이는 도림리 마제마을에서 범의 형상을 만들어 정월대보름에 집집마다 다니며, 액운을 쫓아내는 집단적 세시놀이 형태이다. 주로 남자들이 전승을 주도하는데, 진행방식은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의 거북놀이와 유사하며, 현재 전승이 중단된 상태이다.
청양 정산동화제는 송학리마을에서 정월 14일 밤에 동화대라는 나무단에 불을 붙여 마을의 액운을 막는 세시적 대동놀이라 할 수 있다. 불을 붙이기 전에 여자 중심의 정주나무제를 올리며, 윗마을인 상송마을에서는 다음날 새벽에 장승제를 별도로 지낸다. 따라서 한 마을에 동화제, 장승제, 정주나무제가 함께 전승한다.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지방의 역사
SNS에 공유해보세요.
카카오스토리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