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성황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지역의 인물을 신으로 모시는 성황신
    고려시대 중국에서 유입된 성황신은 특정 지역을 관여하는 신으로 모셔지기 시작하였다. 고려시대 지방의 호족들을 중심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지역사회를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교적 널리 알려진 인물을 마을신으로 모시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성황신은 현재까지도 마을에서 신으로 모셔져 있는데 대부분은 신분이 높거나 일반인들에게 추앙을 받는 인물들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과천시

    음력 10월 1일에 치러지는 과천의 산신제와 성황제
    해마다 음력 10월 1일 과천동에서는 마을 주민들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남태령 산신제와 과천성황제, 죽바위 산신제를 지낸다. 음력 10월 1일 날 아침 9시경, 남태령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서 과천동에 위치한 송암사 뒤에 관악산 중턱에 있는 ‘관악산신령제단’으로 향했다. 10시쯤 산신제를 지낸 후, 과천동주민센터 인근의 500년 된 느티나무로 내려와서 11시경에 과천성황제를 지냈다. 저녁 6시경에는 주암동에 있는 죽바위 앞의 제단에서 청계산의 산신령에게 마을의 무사안녕과 주민들의 평안을 기원하는 죽바위 산신제를 지낸다. 유일하게 과천동에 현전하고 있는 과천의 산신제와 성황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순창군

    조선시대 성황제의를 지낸 기록, 순창성황대신사적현판
    전라남도 순창군 순창읍에 있는 순창 장류 박물관에는 순창성황대신사적현판(淳昌城隍大神事跡懸板)이 소장되어 있다. 이 현판은 1992년 전라북도 순창군 설씨 제각에서 발견된 것이다. 고려 충렬왕(忠烈王) 재위기에 활약한 설공검(薛公儉)을 성황대신으로 모시는 내용이다. 발견 당시 순창 지역 성황 신앙의 전모를 역사적인 측면에서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 주목받았다. 현전하는 자료는 1563년에 처음 제작한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개각한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