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강릉 기록문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동생 허균이 모아 간행한 누이 허난설헌의 작품들, 난설헌시집
    『난설헌시집』은 허균이 그의 누이인 허난설헌의 작품을 모아 간행한 목판본 시문집이다. 허난설헌은 27세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하면서 자신의 작품을 모두 소각할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허균은 누이의 얼마 남지 않은 작품이 시간이 흘러 유실되거나 훼손될 것을 걱정하였다. 그래서 친정에 남아 있는 작품과 외우고 있던 시들을 기록하고 이를 목판에 새겨 세상에 알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조선 후기의 가곡문화를 살필 수 있는 협률대성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선교장(船橋莊)에는 『협률대성(協律大成)』이 소장되어 있다. 『협률대성』은 조선 후기 가창 체제를 완비한 가집이다. 우조(羽調)와 계면조(界面調), 남·여창의 편집체제 및 연음표 악보 표기가 되어 있다. 이 가집은 강릉 선교장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가곡 문화가 생성, 향유되어 가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사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율곡 이이가 쓴 초학자를 위한 학문 입문서, 격몽요결
    강원도 강릉시 오죽헌 시립박물관에는 율곡 이이가 직접 쓴 『이이 수고본 격몽요결』이 소장되어 있다. 『격몽요결』은 이이가 글을 배우기 시작한 아동들에게 공부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저술한 것이다. 『격몽요결』은 초학교재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이이가 죽고 나서도 목판본과 활자본으로 간행되어 널리 읽혔다. 이이는 단지 앉아서 글만 읽는 게 학문이 아니며 배운 것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봤다. 『격몽요결』을 통해 그 실천방법을 일러주었다. 이 책은 1책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76년 4월 23일에 보물 제602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