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명성황후시해사건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백성의 상투를 자르라던 단발령
    1895년 시행된 을미개혁에서 성년 남자의 머리 위에 튼 상투를 자르라는 단발령이 내려졌다. 그러나 유학자들이나 대부분의 백성들에게 단발령은 불효라고 생각되었기에 받아들일 수 없었다. 특히 명성황후시해사건 이후 극도의 배일적인 민족 감정 속에 시행된 이 개혁은 백성들로부터 맹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단발령은 고종의 아관파천 이후 새롭게 구성된 내각에 의하여 철회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관동의병주둔지 대공산성
    강릉 대공산성은 언제 축조되었는지 알 수는 없으나 영동지역의 외적침입에 대비해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을미의병 당시 민용호의 관동의병이 장기적인 항일기지 건설을 목적으로 주둔했던 곳이다. 민용호는 강릉을 근거지로 북으로는 고성, 남으로는 울진에 이르기까지 태백산맥을 주축으로 하는 동해안 일대에서 일본군 및 관군을 상대로 활발한 항일전을 펼쳤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한말 일제의 침략에 저항한 의병
    한말 의병의 활동 기간은 1894년부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약 20년간에 이른다. 을미의병은 갑오개혁 이후 명성황후를 시행하고 단발령과 같은 충격적인 개혁을 추진하는 일본의 침략 의도에 반발하여 일어났고 을사의병은 을사늑약의 체결로 우리의 외교권 상실에 국권을 되찾고자 일어났다. 정미의병은 한일신협약으로 일본에 침탈당한 국권을 되찾고자 일어나 일제에 강점된 이후에도 항일투쟁을 이어가 독립투쟁의 기틀이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