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영남대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영남대로 벼랑길을 걷다

    출처 :경상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남 >밀양시

    영남대로 벼랑길을 걷다
    경남 밀양의 영남대로 상에 분포한 역사문화자원과 인물, 설화, 미담, 전설 등을 토대로 한 다큐멘터리이다. 작천잔도(벼랑의 암반을 깨고 석축을 쌓아 만든 길), 작원관(영남대로 제일관문, 임진왜란 격전지), 처자교, 뒷기미나루, 무흘역 등 여러 지역의 숨은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북 >문경시

    유곡도의 중심 유곡역
    유곡역은 조선시대 경상도 문경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유곡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남쪽의 상주시 방면과 동쪽의 예천군을 거쳐 의성군 및 군위군으로 통하는 곳에 있던 역을 관할했다. 유곡역은 영남지방과 한양을 오가는 사람들이 통과하던 교통의 결절점 역할을 수행했으며, 사람의 이동이 많은 구간이었던 만큼 주변에는 숙박시설인 원이 여러 곳에 설치되었다. 홍귀달은 유곡역을 사람의 목구멍처럼 중요한 곳으로 비유하면서 인후라는 표현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왜군의 발목을 4일 동안 잡았던 작원관 전투
    밀양의 삼랑진읍 검세리 끝자락에 있는 작원관지는 신라와 가야의 접경 지역으로 가야가 신라에 복속되기까지 금관가야의 신라정벌 교두보였다. 임진왜란 때 소서행장의 주력부대가 한양으로 질주할 때 32세의 밀양 부사 박진이 2박 3일 동안 발목을 잡고 한양의 함락을 지연시켰던 혈전의 장소이기도 하다. 동래에서 한양 가는 제 1관문으로 군사 요새였으며 임진왜란사에 빼놓을 수 없는 전적지(戰迹地)였는데, 역사 속에는 ‘작원관 전투’가 밀양 부사 박진의 패주만 부각되고 공적은 퇴색되어 있어서 안타깝다. 선열의 발자취를 다시 한번 재조명해 주면 좋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