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용인 마을신앙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기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지곡리 산제사
    경기도 용인시 지곡리에는 마을의 안녕을 위해 산제봉에 있는 당집과 마을의 위, 중간, 아래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장승에 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산제사라고 한다. 당집인 산제당의 신은 할머니산신이고 각 마을에 있는 장군은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으로 쌍을 이루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초부리 상·하부곡 산지사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해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현재 이곳의 산신제는 초부1리인 상부곡과 초부3리인 하부곡 마을에서 한해씩 번갈아가면서 산신제를 주관하고 있다. 이렇게 상부곡과 하부곡에서 번갈아가면서 산신제를 지내는 것은 과거 이 두 마을이 부계울이라는 하나의 마을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이곳의 산신제는 부계울 산지사라고도 한다. 산신제를 지내는 제당은 마을 남쪽에 있는 안산에 위치한다. 제사는 음력 10월초에 좋은 날을 잡아서 드린다. 산신제가 끝나면 유사가 「산신제수용기(山神祭需用記)」를 쓰게 되는데, 조선후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산신제 문서도 남아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궁촌마을 산신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의 궁촌마을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위해 산제와 당산나무 고사를 지낸다. 산제는 마을에 있는 작은 안산의 참나무에서 지낸다. 마을 사람들은 이 참나무를 참나무신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김첨지라고도 부른다. 당산나무 고사는 느티나무에서 지내는데, 산제 날짜는 음력 1월이 큰 달이면 15일에 지냈고, 작은달인 경우 16일에 지냈다. 산제를 음력 1월 15일에 지낼 때는 달집도 크게 만들어서 태웠다고 전한다. 지금은 음력 1월 16일로 제사 날짜가 고정되어 있고 제사도 고사 형태로 간단하게만 지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