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이삼평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이삼평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 지방문화툰 (1건)
자세히보기
  • 도자기의 신, 이삼평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충남 >공주시

    도자기의 신, 이삼평
    이삼평은 일본에서 도자기의 신으로 추앙되고 있다. 대한민국 출신의 그가 일본의 도자기의 신으로 모셔지게 된 계기는 임진왜란과 관련 있다. 우리나라를 침입한 일본은 전쟁 과정에서 상당수의 조선시대의 도공을 일본으로 데려 갔는데 이삼평 역시 이 무렵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삼평을 비롯한 조선의 도공들이 일본으로 끌려가 조선의 도자기 기술에 비해 헌격하게 뒤떨어져 있었던 일본의 도자기 기술을 한 단계발전 시켰다. 특히 이삼평은 일본에서 도자기의 시조라는 의미에서 도조(陶祖)로 모셔지고 있다.
  • 테마스토리 충남 >공주시

    충남 공주 출신으로 일본의 도자기의 신이 된 이삼평(李參平)
    신들의 나라로 알려진 일본에서 도자기의 신으로 추앙되는 대한민국 출신의 이삼평이다. 이삼평은 태어난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그는 1655년에 사망을 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의 고향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이다.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그가 일본의 도자기의 신으로 모셔지게 된 계기는 임진왜란과 관련 있다. 우리나라를 침입한 일본은 전쟁 과정에서 상당수의 조선시대의 도공을 일본으로 데려 갔는데 이삼평 역시 이 무렵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삼평을 비롯한 조선의 도공들이 일본으로 끌려가기 전까지 일본은 도자기 생산 기술이 그리 발전하지 못하였다. 조선의 도자기 기술에 비해 현격하게 뒤떨어져 있었다는 이야기다. 이들이 대거 일본으로 건너오면서 일본의 도자기 기술은 한 단계 발전을 한 셈인데 자연스레 이 지역에서는 이들을 영웅 이상으로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특히 이삼평은 이 지역에서 도자기의 시조라는 의미에서 도조(陶祖)로 모셔지고 있다. 도잔 신사에는 오진 천황, 나베시마 나오시게 신과 함께 이삼평이 신으로 모셔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