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장례절차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장사를 준비하는 모든 과정, 치장
    장사(葬事)를 위한 준비를 포괄적으로 치장이라고 부른다. 장지를 마련하고, 상두꾼들이 관을 장지까지 운반하면 봉분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광(壙)을 만들고 함께 매장할 하장・명기 등을 준비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죽은 조상의 기물과 생활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조상이 내세에 편안한 삶을 살기를 바라는 자손들의 마음이 담겨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시신을 관에 모시는 입관
    죽은 사람의 시신을 관에 넣는 과정을 입관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시신을 칠성판 위에 놓고, 관은 내관과 외관을 사용했다. 관이 빈 공간에는 살아생전 입던 옷 등을 넣어 공간을 채운다. 과거 유교식 상례에서는 입관하기까지 초혼, 습, 소렴, 대렴 등의 절차를 거치느라 3일이 걸렸지만, 현재는 전문적인 시설이 생기면서 하루로 절차가 축소되었다. 이렇게 절차가 축소되면서 입관이 중요해져, 과거에는 안방에서 바로 하던 것을 요즘은 따로 공간을 마련하여 진행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화성시

    이웃사촌이 함께 상여를 메기 위해 결성된 상례조직, 사촌계
    사촌계는 “대동으로 상여를 메기 위해 이웃사촌들이 함께 조직한” 상례조직으로 경기남부 중에서도 화성, 용인, 의왕, 수원 등지에서 나타난다. 한말이나 일제시기에 처음 결성되었다는 지역도 있으나 대부분 지역은 대개 해방직후에 만들어졌으며 70, 80년대에 조직되거나 심지어 90년대에 결성된 곳도 있다. 사촌계 활동을 살펴보면 상장례를 포함하여 잡초 제거, 수재 성금, 노인회 및 부녀회 관광 등 마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데 관련 비용은 상주와 계원들에게 찬조금을 받고 부족한 부분은 사촌계에서 부담하는 방식으로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