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전라남도 샘과 우물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전라남도 샘과 우물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5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해남군

    대흥사 일지암 초의선사가 사랑한 유천
    유천(乳泉)은 우리말로 풀면 젖샘이다. 어머니의 젖처럼 소중한 샘이란 뜻이다.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녹차의 본향을 만든 초의선사가 차를 달이던 샘이 유천이다. 일지암이란 말도 참 의미심장하다. 그는 자신의 시에서 “뱀새는 항상 한 마음으로 살기 때문에 한 나뭇가지에 있어도 늘 편안하다.”고 했다. 『장자』 소요유에서 붕새가 6만 리를 날아 남명으로 가는 모습과는 대조된다. 이 곳에서 초의선사는 녹차를 연구하고, 연구결과를 제다법(製茶法)으로 만들어 <다신전>을 내었다. 그러면서 물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바로 그 물의 핵심이 유천이라 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강진군

    정약용이 마시던 차맛의 몸체, 다산초당 약수
    다산초당의 약수는 약천(藥泉)이라 한다. 이 물은 강진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정약용이 초당을 짓고 생활하면서 사용했던 우물이다. 이 물은 초당 옆에 있는 백련사의 초의선사와 함께 우리나라 차(茶)문화를 꽃피운 약샘이다. 이 때문에 약천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고, 차를 끓여 마셨던 바위인 다조(茶竈)는 유명하다. 그 물은 2백여 년이 훨씬 지난 지금까지도 샘솟고 있고, 수많은 여행자들의 목마름을 해소해주는 약샘이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순천시

    맛있는 술을 빚는 낙안읍성 돌샘
    낙안읍성은 전남 순천시 낙안면 남대리에 있는 석성이다. 왜구로부터 마을을 보호했던 성이어서 읍성(邑城)이라 한다. 그런데 이 읍성에 사는 사람들의 식수원이 하나 있었으니 바로 돌샘이었다. 이 돌샘은 낙안읍성의 사또도, 이방도, 그리고 백성들이 모두 이용하는 아주 중요한 샘이었다. 돌샘이라 함은 돌에서 물이 나오기 때문인데, 샘에서 흘러내린 물은 식수와 빨래를 거뜬히 할 수 있었다. 생활용수로 부족함이 없었다. 그 때문에 더덕으로 만든 사삼주도 거뜬히 만들어 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