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제주시의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꼴을 베면서 부르는 제주 종달마을의 「홍애기소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는 북쪽 해안에서부터 남쪽으로 해발 250m에 이르는 곳까지 마을이 길게 뻗어있다. 종달리는 원래 반농반어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농사에 치중해 당근·감자·마늘 등을 많이 재배한다. 「홍애기소리」는 꼴을 베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날의 길이가 60㎝ 이상이 되고 낫자루가 어른 키 만한 큰 낫을 휘둘러 꼴을 벤다. 이 낫을 제주에서는 호미라고 한다. 「홍애기소리」는 독창, 교환창, 윤창, 선후창 등으로 부르며, 일반적으로 노랫말에 ‘홍애기’가 들어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나뭇짐을 끌어내리면서 부르는 제주 장전마을의 「야호소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장전리는 진밧·장밧이라 불렀고, 마을은 해발 100∼150m에 위치해 있다. 산에서 벤 나무를 마을로 끌어오면서 부르는 「야호소리」는 주로 강원도에서 전해내려오는데 제주도에서는 이를 「낭내리는소리」, 「낭끗어내리는소리」 등이라 한다. 노랫말은 곳곳의 지형 특징을 알려주는데, 이는 나무 끄는 이들에게 장애물을 조심시키고 일을 수월하게 진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도끼로 나무를 찍으면서 부르는 제주 고성마을의 「더럼소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는 바다와 떨어져 있는 전형적인 중산간 마을이다. 제주도에서는 건축용이나 배 건조용 나무를 자를 때 길이 3m 정도 되는 대톱을 이용하여 자르지만 때로는 도끼로 찍어서 벌목하는 경우도 있다. 도끼질을 할 때 작업자들이 호흡을 맞추고 힘듦을 잊고자 「더럼소리」를 부른다. 산판은 전국적으로 있지만 나무 찍는 소리는 제주에서만 보고된다. 노래에서는 지저깨비가 떨어져 나오는 것을 뻐꾸기로 비유하여 노랫말을 구성하는 뛰어난 비유법이 쓰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