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짐대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충청북도 지역에서 보기 드물게 솟대제를 지내는 제천 공전리 짐대제
    충청북도 지역에서 마을 어귀에 솟대를 세우고, 솟대를 마을 신앙물로 여겨 정성을 드리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공전리의 경우 마을 초입에 솟대를 세워놓고, 마을 사람들이 매년 음력 1월 6일에 짐대제를 올린다. 마을 주민들은 솟대를 ‘짐대’라고 한다. 2기의 솟대가 외부의 액을 막아주는 것으로 여긴다. 공전리 짐대제는 ‘큰서낭’에 가서 먼저 제를 올린 후에 동일한 방식으로 ‘작은 서낭’을 위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정읍시

    여성들이 제를 주관하는 정읍 목욕리 내목 오리짐대제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에 있는 목욕리는 선녀가 내려와 목욕했다는 ‘목욕소’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목욕리의 자연마을 중 하나인 내목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 화재를 예방할 목적으로 오리짐대제를 지낸다. 내목마을은 농토가 적어 주로 화전을 일구어 농사를 지었다. 그래서 화재가 자주 날 수 밖에 없었다. 내목마을 짐대제는 마을이 처한 생태적 환경과 이를 극복하려는 주민들의 노력이 결합된 것이다. 한편 내목마을 짐대제는 여성들이 제를 주도한다는 점이 다른 지역과 변별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강릉시 옥계면 금진리 국사성황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금진1리에서는 음력 1월 15일인 정월대보름과 단오날에 국사성황제와 짐대제를 지내고 있다. 과거에는 굴루봉 정상의 천제당에서 고청제도 지냈다. 고청제를 지낸 후 국사서낭제와 짐대제를 지냈는데, 오늘날은 고청제는 지내지 않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