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창녕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창녕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경상남도 창녕군 문호장 단오제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서는 매해 음력 5월 5일 단오에 단오제로 마을신인 문호장신을 모시고 문호장굿을 지낸다. 문호장 단오제, 영산단오굿이라고도 한다. 이 마을제의는 음력 5월 5일 단옷날 아침에 유교식 의례를 하고 이어서 단오굿을 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문호장 사당은 이 지역 주민들의 기도처로써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창녕 한국전쟁 흔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영산지구 전적비
    영산전투는 낙동강 방어선 중 창녕과 영산 부근의 돌출형 진지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영산지구 전적비는 백전불굴의 투혼을 보여준 미 제24사단, 제2사단, 그리고 해병 제5연대가 오늘의 영산을 있게 한 영산전투를 기념하여 세운 전적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창녕지구 전적비
    창녕지구 전적비는 미 제24사단 및 제2사단 19연대가 1950년 8월 6일부터 19일까지 낙동강 돌출부인 창녕 남쪽의 부곡, 오항, 박진나루를 정점으로 방어하며 북한군 제4사단과 역습을 거듭하며 치열한 전투를 13일에 걸쳐 전개하였다. 이에 이들이 낙동강을 지켜낸 것을 기념하여 세운 전적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국군과 미 제24사단 용사들을 기억하다, 박진지구 전적비
    미 제2사단은 박진지역에서 북한군 제2사단·제4사단 일부·제9사단의 공격을 격퇴하며 1950년 8월 31부터 9월 6일까지 이 지역을 사수하였다. 미 제24사단과 미 제2사단은 이 기간 동안 미 제1해병여단의 증원을 받아 적의 공격을 저지하였다. 북한군 제2사단·제4사단·제9사단의 기도는 미군의 방어와 역습으로 좌절되었다. 그들의 충혼을 기리기 위해 1987년 월하리에 박진지구 전적비가 세워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뿌리공원 성씨비 (창녕조씨,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창녕조씨,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창녕조씨,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창녕조씨,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창녕조씨,우측면)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창녕조씨,우측면)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창녕성씨 시조묘
    창녕의 대성은 성, 하, 노이다. 그 중에서도 대지면에는 성씨가 전체 호수의 절반이 넘는다. 성씨가 이곳에 기거한 것은 약 600년 전 고려 중엽이다. 대지면 모산마을 뒤에 큰 산소가 있으니 이 산소가 창녕성씨 시조공 중윤호장 성인보의 묘이다. 중윤호장 성인보가 조정사로 개경에가 머무는 동안 불행히도 병을 얻어 사망하였는데 성인보가 죽자 문하시중이던 그의 아들 송국은 효성이 지극하여 평소에 가까이 모시지 못한 불효를 한탄하였다. 그리하여 손수 나무로 지게를 만들어 아버지의 시신을 등에 지고서 개경에서 창녕까지 천리 길을 떠났다. 사람들은 송국의 지극한 효성에 하늘도 감동하여 호랑이로 하여금 명당자리를 잡아주게 하였다고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대가야 정복의 징표, 창녕 목마산성
    창녕 동쪽에 있는 756.6m의 화왕산의 북쪽 봉우리로부터 서쪽으로 뻗은 해발 463.6m 지맥의 봉우리의 골짜기를 에워싼 산성이다. 창녕읍을 내려다 보는 위치에 둘레 2km의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쌓은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신라 진흥왕이 대가야를 완전히 정복하고 이곳에 하주(下州)를 두었는데 그 때 이미 이 성이 존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부근에는 가야 고분들이 많이 있어 연대추정의 자료가 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점필재 선생의 신통력
    점필재 선생은 3살 때 할머니 등에 업혀서 나갔는데 제비가 저쪽 대밭에 쇠고기가 있다고 알려줬다고 했다. 할머니는 어처구니가 없었지만, 하인을 시켜 대밭을 살펴보게 했다. 그런데 정말로 죽은 소 한 마리가 있었다. 이후 이 소문이 멀리까지 퍼져 어느 날 한 사람이 점필재 집으로 찾아와서 말했다. 자신이 그때 먹은 소의 주인이라고 말하며 변상하라고 말했다. 그러나 점필재는 주워 먹었기 때문에 변상할 의무가 없다고 말했고, 소 주인은 관가에 신고를 했다. 관가에 간 점필재는 제비에게 들었다고 사실대로 말했고, 관과에서는 제비를 데리고와 정말로 점필재가 제비의 말을 들을 수 있는지 시험했다. 그 결과 사실이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후 사람들은 점필재의 신통력에 다시 한번 놀랐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성군

    “주전자 떠꿍으로 껍질 벗겨서 끓여 먹던 수구레국밥”
    경남 창녕은 우시장으로 유명하고, 수구레국밥으로도 유명하다. 수구레는 소의 겉가죽과 고기 사이의 피부 근육으로 지방이 적고 콜라겐 성분이 많아 관절에 좋다고 한다. 수구레국밥은 수구레와 콩나물, 우거지, 파를 넣고 벌겋게 끓인다. 젊은이들은 쫄깃한 맛에 먹고 노인들은 옛추억 때문에 찾는다. 이가 시원치 않은 노인들을 위해 푹삶은 수구레를 따로 준비하는 집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창녕 이방식당, 제대로 된 수구레국밥의 명품식당
    경상남도 거창군 이방면 거남리의 이방식당은 1977년 문정자 씨가 이방시장에서 난전(亂廛)으로 시작하여 1980년 현 위치에 점포를 매입하여 이방식당의 간판을 열고 개업한 지 41년이 되는 노포식당이다. 이방식당은 시장에서 좌판 장사할 때부터 팔았던 수구레국밥과 수구레국수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다. 소의 가죽과 살코기 사이에 있는 특수부위인 수구레를 가공하여 선지와 함께 사골육수에 얼큰하게 끓여낸 수구렛국이 이방식당에서 차리는 모든 음식의 기본이 된다. 2018년부터 1대 문정자 씨의 며느리 최은영 씨가 대물림하여 운영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배처럼 시원 아삭한 초록빛 감, 태추단감
    감나무에 주렁주렁 열린 주홍색 열매는 가을을 알리는 색깔이다. 감은 주홍색으로 붉게 물들었을 때 따서 먹는 것으로만 알았는데, 최근 단감 중에서도 초록빛이 도는 것이 인기라고 한다. 이 단감의 이름은 ‘태추단감’. 초록빛이 날 때가 가장 맛있다는 품종이다. 껍질이 얇고 씨가 없는 편이며, 한입 물었을 때는 감과 배 사이의 부드러운 식감을 느낄 수 있으며, 달콤시원한 맛이 특징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곽재우의 의병 근거지로 활용된 창녕 화왕산성
    창녕(昌寧) 화왕산성(火旺山城)은 임진왜란 때 곽재우의 의병근거지로 활용된 성이다. 이 성은 삼국시대 때 축조한 것으로 무너져 내린 것을 임진왜란 때 곽재우가 의병의 근거지로 활용하면서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집수지(集水地)에는 제사와 관련한 용왕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목제인형, 철제무기 등이 발견되었다. 사적 제64호로 지정되어 보호 관리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계성천가 문암정 위에 서 있는 신초유허비
    ‘신초유허비’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사리 314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비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신초가 말년을 지낸 곳에 그의 평생의 행적을 기록하여 1838년에 세웠다. 신초는 1591년 천성만호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김해성에서 일본군을 맞아 싸우고 곽재우장군과 합류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임진왜란의 공적으로 원종공신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땅과 물, 사람이 마주치는 만남의 장(場), 웃개나루
    웃개나루는 경남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와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를 연결하던 나루터이다. 예전에는 이름을 음차하여 우질포, 우포, 상포 등으로 불렸다. 조선시대 웃개나루는 낙동강과 통영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였다. 이에 따라 수운과 육로를 통해 사람과 물산이 모여들어 장이 성행했다. 주막촌에는 수십 채의 주막이 들어섰고, 나루에는 200여 채의 돛단배가 드나들 정도로 웃개장터는 성행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남지철교가 건설되며 나루터의 역할이 점차 약화되었고, 이후 함안과 창녕을 연결하는 교량들이 건설되면서 나루터는 기억 속으로 사라졌다. 현재에는 남지리 나루터 자리에 남지체육공원이 들어서 많은 사람이 찾는 관광명소가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경남 창녕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나무로 만든 쇠머리를 서로 부딪쳐 겨루는 영산 쇠머리대기
    영산 쇠머리대기는 나무로 만든 쇠머리를 서로 부딪쳐서 승부를 가르는 남성들의 놀이다. 쇠머리가 밀리거나 부서지면, 또는 땅에 닿으면 진다. 땅의 살기를 풀기 위해, 화재를 막고자, 군사훈련의 하나로 당겼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원래는 정월 대보름날 벌였지만 지금은 3.1민속문화제 때 시연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