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창녕 가볼만한곳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곽재우의 의병 근거지로 활용된 창녕 화왕산성
    창녕(昌寧) 화왕산성(火旺山城)은 임진왜란 때 곽재우의 의병근거지로 활용된 성이다. 이 성은 삼국시대 때 축조한 것으로 무너져 내린 것을 임진왜란 때 곽재우가 의병의 근거지로 활용하면서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집수지(集水地)에는 제사와 관련한 용왕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목제인형, 철제무기 등이 발견되었다. 사적 제64호로 지정되어 보호 관리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계성천가 문암정 위에 서 있는 신초유허비
    ‘신초유허비’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사리 314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비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신초가 말년을 지낸 곳에 그의 평생의 행적을 기록하여 1838년에 세웠다. 신초는 1591년 천성만호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김해성에서 일본군을 맞아 싸우고 곽재우장군과 합류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임진왜란의 공적으로 원종공신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땅과 물, 사람이 마주치는 만남의 장(場), 웃개나루
    웃개나루는 경남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와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를 연결하던 나루터이다. 예전에는 이름을 음차하여 우질포, 우포, 상포 등으로 불렸다. 조선시대 웃개나루는 낙동강과 통영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였다. 이에 따라 수운과 육로를 통해 사람과 물산이 모여들어 장이 성행했다. 주막촌에는 수십 채의 주막이 들어섰고, 나루에는 200여 채의 돛단배가 드나들 정도로 웃개장터는 성행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남지철교가 건설되며 나루터의 역할이 점차 약화되었고, 이후 함안과 창녕을 연결하는 교량들이 건설되면서 나루터는 기억 속으로 사라졌다. 현재에는 남지리 나루터 자리에 남지체육공원이 들어서 많은 사람이 찾는 관광명소가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