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탈놀이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서울 >마포구

    해서 지역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강령탈춤
    본래 황해도 강령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던 강령탈춤은 한국 전쟁 이후 피난을 내려온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남한 지역에서 연희되는 놀이다. 이 놀이는 앞놀이를 시작으로 탈놀이, 그리고 뒷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앞놀이와 뒷놀이는 서막과 폐막의 성격이 강한 반면 탈놀이는 강령탈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장은 다시 일곱 과장으로 나뉜다. 사자춤으로 시작되는 1과장은 원숭이춤과 마부춤을 포함하고 있다. 2과장은 말뚝이 춤이며, 먹중춤이 3과장이다. 그리고 상좌춤(4과장)-양반·말뚝이춤(5과장)-노승·취발이춤(6과장)-미얄영감·미얄할미춤(7과장)으로 진행된다. 마지막에 해당하는 뒷놀이에서는 얼굴에 썼던 탈[가면]을 태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강남구

    봉산탈춤을 이어온 사람들
    봉산탈춤은 황해도 전역에서 추어지던 탈춤이다. 한국전쟁 이후, 황해도에서 활동하던 연희자들중 한국전쟁 후 일부가 월남하면서 서울에서 다시 전수되고 연희되었다.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고, 많은 전수자들이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탈, 안동 하회탈(국보 제121호)
    하회탈은 안동 하회마을에서 별신굿 탈놀이를 할 때 광대들이 얼굴에 쓰던 탈이다. 현재 안동시립민속박물관에는 고려시대 하회마을에서 만들어진 목조 하회탈이 11점 전해지고 있는데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었다. 이 탈은 오리나무로 만들었으며, 현재까지 전해지는 우리나라의 탈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