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한국의 농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한국의 농서 집필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동아시아 농업의 종합을 추구한 최한기
    최한기의 본관은 삭녕. 자는 운로, 호는 혜강·패동·명남루·기화당·가산제경루이다. 최한기는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더욱 전진적으로 전개시켜 근대적 개화사상에 연결시키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한 개화파의 선구자이다. 그의 학문은 성리학의 이기론에 대한 반론에서 시작하여 계몽군주에 의한 정치운영, 외국과의 교류를 통한 발전책, 상공업 중시론, 서구 과학의 지동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한국의 농서 저술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의정부시

    소농경영을 주장한 박세당
    박세당은 조선후기 경학에서부터 경세론에 이르기까지 반주자학적인 유학사상을 전개하여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한 학자이다. 대대로 높은 벼슬을 한 양반가문 출신이나 4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매우 곤궁한 환경에서 자랐다. 그의 편저로는 농서 『색경』이 있으며 , 저서로는 『서계선생집』과 경전의 해설서인 『사변록』, 『신주도덕경』, 『남화경주해산보』가 전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문경시

    24절기에 따른 농서, 농가월령
    농가월령은 고상안이 지은 농서로, 조선 후기 문경 지역의 24절기에 맞게 각 절기마다 필요한 한 농사기술을 저술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지역농서라는 점과 더불어 농부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이두와 한글을 병행한 언해본을 간행하였다. 무논농사법, 밭농사법, 시비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어 필수적인 농업기술을 소개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의정부시

    중부지역에 적합한 농서, 박세당의 색경
    박세당이 중국의 여러 농서들을 참고하고, 자신의 농사경험을 종합하여 저술한 농서로 중부지방의 소규모 농업생산에 적합한 밭농사 중심의 농업지식을 체계화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사대부 산림생활 지침서 산림경제를 쓴 홍만선
    홍만선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산림경제」를 저술하였다.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실용후생(實用厚生)의 학풍을 일으켜 실학발전의 선구적 인물로 평가되며, 후에 유중림・서유구 등 학자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