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한국의 샘과 우물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한국의 샘과 우물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한국 샘의 기능과 물의 종교성
    우리나라 사람들은 샘과 물을 생명의 원천으로 인식하였다. 곧 샘의 원형에다가 물이 갖는 인식까지 더해져서 신앙의 단면까지 드러나고 있다. 그 때문에 샘 옆에서는 언제나 정화수를 떠놓고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장면과 샘터 옆에 신당을 짓고 굿을 하는 장면을 많이 본다. 또 샘과 소(沼)는 생명의 기원이기 때문에 시조신화가 많이 탄생한다. 경주의 알영정, 평강 채씨, 범일국사, 남평 문씨 등처럼 물과 관련해서 위대한 인물이 탄생하는 전설이 많다. 게다가 용알뜨기, 어부식 등처럼 물과 관련한 우리의 세시풍속이 많이 남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한국의 약수, 전국에서 솟아나는 신비의 영약
    약수는 예로부터 질병을 고쳐주는 영약으로 인식해 왔다. 그래서 사람들은 약수가 발견되면 발견자의 이름을 알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면서 그 약수만이 갖고 있는 효험을 전설로 남겼다. 약수마다 발견자가 있고, 약수터마다 전설이 깃든 이유이다. 약수의 효험은 세종대왕와 세조대왕도 초정리 약수에 와서 안질과 소갈증을 고쳤다고 했으며, 특히 세조대왕은 오대산의 약수로 피부병을 고쳤다는 전설이 전해져 온다. 약수는 전국에 걸쳐 분포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