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훈련시설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동해의 솟은 해를 가슴에 안고”, 제주 구 해병훈련시설
    ‘제주 구 해병훈련시설’은 1950년 8월 5일 한국전쟁 시기에 제주도에서 모병된 해병대 3기가 훈련을 받은 곳이다. 돌과 시멘트로 지은 막사와 세면장이 남아 있다. 세면장은 출입구 동선과 목욕 시설 등이 매우 효율적으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됐다. 훈련시설에서 ‘지옥훈련’을 받은 해병대 3기 1,500명은 1950년 8월 30일 입대한 4기 1,500명과 함께 인천상륙작전에 투입되었다. 한국군 해병대는 인천과 서울 수복에 이어 1951년 강원도 양구군 ‘도솔산지구 전투’ 등에서 큰 전과를 올려 ‘귀신 잡는 해병’이라는 영예를 얻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6.25 때 건립된 육군 제1훈련소의 강병대교회
    제주의 서귀포시 대정읍에 위치한 남제주 강병대교회는 6.25때 건립된 육군 제1훈련소 내 교회건물로 제주특별자치도의 국가등록문화재이자 참전용사들의 애환을 함께했던 가슴 아픈 역사가 있는 장소이다. 국방부소속교회로 현재도 예배가 드려지고 있으며 인근 주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장소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우리나라 관방유적의 개념
    관방유적은 국경을 지키고 보호하기 위한 시설을 말하며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한 대표적인 유적이다. 관방유적은 군사들의 주둔내지 훈련시설과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요새시설, 국가 비상사태에 대한 연락을 담당했던 통신시설 등이 있다. 각 지역에 편제된 군제에 의하여 배치된 군사시설로는 보, 진, 포, 병영, 군창이 있다. 그리고 적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한 요새시설로는 성곽과 돈대, 보루, 목책, 수책, 환호 등이 있고, 적의 상황을 알려주는 통신시설로는 봉수와 연대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