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훈민정음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서울 >도봉구

    민족문화유산의 수호자,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간송 전형필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시기 등 우리 민족이 위기와 고난에 처해 귀중한 문화유산을 지키기 어려웠을 때 전 재산을 털어 문화재를 지켰다. 간송이 지켜낸 문화유산에는 훈민정음 해례본, 고려청자, 추사 김정희의 글씨, 겸재 정선·단원 김홍도의 그림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전형필은 한국 최초의 근대적 사립박물관인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을 만들어 어렵게 모은 문화재를 간직했다. 등록문화재 제 521호인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은 그의 민족혼이 배어있는 집이다. 간송이 생전에 머물렀던 가옥으로는 현재 이곳이 유일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홍성군

    단종 복위에 힘쓰다. 사육신 성삼문
    성삼문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조선시대 문인이다. 세종 때 집현전 학사로 뽑혀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을 하였다. 성삼문은 조선시대 충절을 지킨 사육신(死六臣) 중의 한 사람이다. 1454년(단종 2) 아버지 성승, 박팽년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밀고에 의해 발각되어 군기감 앞에서 온몸이 찢기는 최대의 형벌인 능지처사를 당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사육신 이개, 죽음 앞에서도 태연하게 시를 읊다
    이개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출신의 조선전기 문신이다. 1441년(세종 23) 집현전 저작랑으로서 당나라 명황(明皇)의 사적을 적은 《명황계감(明皇誡鑑)》의 편찬과 훈민정음 창제에도 참여하였다. 이개는 단종 복위 사건을 도모하다 숨을 거둔 성삼문·박팽년·하위지·유성원·유응부와 함께 사육신으로 불린다. 이개는 끔찍한 거열형을 앞두고도 태연하게 시를 읊으며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