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여성 의복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하체가 풍성해 보일 수 있도록 입은 너른바지
    너른바지는 조선시대 상류층 부녀자들의 속옷 중 하나이며 격식을 차려야 할 때 입던 밑받침 옷이다. 주로 단속곳 위에 입어 하체를 풍성하게 보이게 한다. 너른바지의 형태는 가랑이가 넓은 겹으로 되어 있어 마치 단속곳과 바지를 겹쳐놓은 것처럼 생겼다. 또한 너른바지의 앞은 막히고 뒤는 터져 있기 때문에 뒤로 여민다. 너른바지는 밑을 따로 달지 않았는데, 대신에 약 2cm 길이의 정사각형을 반으로 접은 마름모꼴의 밑을 달아 튼튼하게 만들었다. 허리단에는 두 가닥 끈을 달고 주름을 넣은 삼베바지이다. 너른바지는 상류계층에서 입었던 특수한 속옷으로 속옷의 기능과 함께 조선시대 여성 복식의 특징인 하후상박(下厚上薄)의 하체를 풍성하게 보이는 실루엣을 표현할 수 있는 역할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다리속곳 위에 입는 속옷, 속속곳
    속속곳은 조선시대 여성들 속옷 중의 하나로 내친의(內襯衣)라고도 한다. 평상복의 치마 밑에 입는 것으로 다리속곳 위에 속속곳을 입고, 그 다음으로 단속곳과 바지를 입었다. 속속곳은 안에 입는 속곳이라는 뜻으로 속곳을 속속곳이라고 한다. 속곳은 시대에 따라 고(袴), 니의(裏衣·裡衣, 속옷)로 칭하는 가랑이가 넓은 속바지이다. 속속곳은 바지부리가 넓고 밑은 막혀있다. 속속곳의 허리 쪽에는 옆트임이 있고, 왼쪽에는 허리말기가 있어 끈으로 묶을 수 있다. 속속곳은 피부에 밀착되는 속옷으로 옷감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며 그 구성과 함께 속옷의 기능을 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전통복식에서 저고리 속에 입는 홑옷, 속적삼
    속적삼은 저고리 속에 입는 홑적삼으로 저고리에 땀이 배지 않도록 입는다. 저고리보다 안에 입어 속적삼이 직접적으로 살에 닿아 땀이 배어들기 때문에 ‘땀받이적삼’이라고 부르며 이를 삼(汗衫)이라고 하며, 단삼(單衫)이라고도 하였다. 속적삼의 형태는 저고리와 같은 모양으로 저고리 밑에 입었으므로 저고리보다는 치수가 약간 작으며 일반적으로 맺은 단추를 달고 동정과 고름을 달지 않는다. 조선시대에는 궁궐이나 양반집의 부녀자들은 아무리 날씨가 무더워도 꼭 속적삼을 입었다. 속적삼은 치마와 짝을 이뤄 의례 및 평상시에도 착용하였다. 그리고 속적삼과 함께 겨울에 속적삼 위에 입는 저고리인 속저고리와 겉저고리까지 입으면 이를 삼작(三作)을 모두 입었다고 하여 삼작저고리(저고리삼작)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