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왕의 의복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왕의 의복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고려시대 왕이 제사 때 입는 제복(祭服)
    제복(祭服)은 면복(冕服)이라고도 불리며 왕이 제사 지낼 때 입는 옷이다. 동짓날이나 사직(社稷), 태묘(太廟), 선농(先農)등에 제사 지낼 때 착용하였다. 왕의 면복은 면류관(冕旒冠)과 곤복(袞服)으로 구성되고 면류관에 관한 인식은 삼국시대부터 이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면복의 규모는 인종 때의 상정예문(詳定禮文)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구류면(九旒冕), 구장복(九章服)이다. 면복에 대한 송나라의 공식적인 승인은 제 17대 인종 때에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형식의 고려시대 왕의 제복은 시대에 따라 약간의 변형은 있었으나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고려시대 왕의 공복(公服)과 상복(常服)
    공복(公服)은 왕이 사신을 맞이할 때 착용하던 옷이다. 또한 상복(常服)은 왕이 평상시 집무(執務)할 때 착용하던 옷이다. 이에 대한 기록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만 있어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려도경에 의하면 공복은 복두(幞頭)·포(袍)·대(帶)·화(靴)·홀(笏)로 구성되었다. 상복은 검은 비단으로 된 높은 모자인 오사고모(烏紗高帽)를 착용하고, 소매가 좁은 상포(緗袍, 담황색(淡黃色)의 포)를 입었으며 자색라(紫色羅)로 만든 늑건(勒巾)을 띠었는데 이 허리띠에는 사이사이에 금실과 푸른 실로 수를 놓았다. 이는 송제의 상복과 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고려시대 왕이 백관과 사민을 접견할 때 입는 조복(朝服)
    왕의 조복(朝服)은 왕실의 친족 및 관원의 명절, 국가 대사 등 의례 시 왕이 백관(百官)과 일반 백성들을 접견할 때 착용하였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왕의 조복은 고려 초·중기에 관모로 복두를 쓰고 속대(束帶)를 띠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고려 후기인 원의 간섭기에는 원에서 조복, 공복으로 착용되었던 질손(質孫)을 왕의 조복으로도 입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고려 말기에는 공민왕의 청사관복에 의해 중국제의 원유관(遠遊冠)을 머리에 쓰고, 강사포(絳紗袍)를 착용하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