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자장은 부채를 만드는 장인이다. 부채는 우리 조상들이 한 여름을 보내는데 필요한 필수품이었다. 여름이 들어서는 길목에 있는 단오를 맞아 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우리나라 부채는 형태상으로 크게 둥근 모양의 부채와 접고 펼 수 있는 접부채로 나눈다. 접부채 가운데 합죽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표적인 공예품이다.
시전지는 시나 편지를 적는 종이를 의미한다.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용됐지만 조선 후기에 이르러 개인에게까지 보편화되었다. 목판에 다양한 그림이 새겨지고 여러 가지 색의 염료를 묻혀 인쇄하는 방식으로 시전지가 제작되었다. 시전지 목판은 전국 여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꾸준히 전시되어 오고 있다. 시전지 목판 인쇄는 선조들의 감성적이고 예술적인 삶을 알게 해주는 기록문화의 한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