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진주의 문화와 역사를 세운 59명의 목사 이야기를 담은 책자. 사료를 토대로 진주목사 인물을 발굴하고 조사해 진주목사의 생애와 업적, 미담을 담았다. 진주 촉석루를 창건한 김지대(金之岱) 목사 등의 생애를 통해 당시 지역사와 국사를 폭넓은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
진주지구 전승비는 미 제25사단 ‘킨’ 기동부대가 1950년 7월 29일 진주지구에 쳐들어온 북한군 제6사단과 제9사단 병력을 격퇴시킨 것을 기념하기 위해 육군 제1206 건설공병단에서 1958년 7월 10일 건립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의 오래된 골목길이 남아있는 망경동은 2020년 진주시 도시재생사업의 대상지로 선정되어 문화거리로 변모하고 있다. 진주시는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타격을 받은 문화예술가들의 활동 영역을 넓히고, 지친 시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소규모 문화예술행사를 망경동에서 진행하기도 하였다. 망경동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는 1982년 지어져 목욕탕으로 사용되다가 2014년 갤러리, 카페, 게스트하우스 등이 있는 건물로 리모델링한‘진주문화공간 루시다’가 있다.
경상남도 진주의 문산 성당은 1920년대에 지어진 한옥 성당과 1930년대에 건축된 고딕 성당을 나란히 가지고 있는 성당이다. 문산 성당의 터는 조선 시대 문산 찰방의 관서가 있었던 자리다. 한옥 성당은 경상남도 고성의 옛 사찰을 옮겨다 지었다는 설이 있다. 굵은 기둥 13개와 들보로 서양 성당의 내부 공간을 한국식으로 재현했다. 신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어진 고딕 성당은 정통적인 고딕 성당과는 다른 구성이지만, 서양의 고딕 부활 양식을 한국적으로 재해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진주 중앙시장 체험 길은 경상남도 진주시의 근현대사를 살펴보기 좋은 코스다. 진주 중앙시장 체험 길은 진주시 창렬로 비봉루에서 시작해서 수정봉 밑 옥봉성당~진주 상무사~진주 중앙시장~배영초등학교 구 본관~진주초등학교 강당~진주성을 돌아보도록 하는 길이다. 진주 중앙시장 체험 길은 진주 부자 정상진이 자신의 선조와 인연이 있는 비봉산에 세운 비봉루와 한국 차 문화의 부흥에서 시작해서 경상남도 천주교회사, 조선 시대까지 ‘북 평양, 남 진주’라 불리었던 진주가 식민지 근대를 맞아 어떤 경로를 걸어왔는지 깊이 살펴볼 수 있게 해 준다.
진주냉면은 조선 시대부터 한강 이남을 대표하는 냉면으로서 해물을 끓여낸 장국과 쇠고기 국물을 배합한 육수에 메밀국수를 말아서 만든 경상남도 진주시의 향토음식이다. 진주는 산과 강, 바다 등지에서 나는 풍부한 물산과 조세가 집합되는 지정학적 배경으로 인해 냉면이 발달할 수 있었다.
진주 헛제삿밥은 제사를 마친 후 제사상에 올렸던 나물 등 찬류를 밥에 넣고 간장으로 비벼 나누어 먹던 음복문화에서 유래된 경상남도 진주시의 향토 음식이다. 진주에서는 친정어머니로부터 내림 솜씨를 물려받아 대한명인협회로부터 진주 헛제삿밥 명인 칭호를 받은 이명덕 씨와 그가 운영하는 ‘진주 헛제삿밥 식당’이 대표적이다.
진주비빔밥은 사골국물로 지은 밥에 숙주나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나물류와 육회 등을 엿꼬장으로 비벼서 선짓국과 함께 먹는 경상남도 진주시의 향토음식이다. 비빔밥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고유한 전통음식으로 현재는 음식한류를 주도하고 있는 식품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배영초등학교 구 본관은 2013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진주시 내 가장 오래된 학교 건물이다. 1908년 일본인 자녀 교육을 위해 설립된 진주 공립 심상소학교가 그 기원이며, 1930년 붉은 벽돌 2층 건물로 지어졌다. 주 출입구 좌우대칭 구조와 수직창, 벽돌 굴뚝이 특징이다. 해방 후 배영초등학교 본관으로 사용되다가 1998년 신안동으로 이전했으며, 구 본관을 제외한 부지에는 진주교육지원청이 세워졌다. 측량 중 인근에서 대사지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짬뽕은 야채와 해물 등을 볶은 후 육수를 넣고 끓인 국물을 면에 넣어 먹는 음식이다. 짬뽕의 원조인 중국의 초마면은 하얀 국물이다. 짬뽕에 고춧가루를 넣은 것은 우리나라에서 시작되었다. 짬뽕은 일제시기 자료에는 기록이 없어 해방 이후 생긴 음식이 아닌가 생각된다. 1960년대에는 신문에는 ‘짬뽕’이라는 일본어 대신 ‘초마면’으로 표기되었다. 짬뽕은 1960년대부터 가파른 가격상승을 보여 1967년 70원이다가 매년 올라 1979년에는 400원, 1981년 650원까지 올랐고, 1981년 대중음식값 자율화 이후에는 1000~1500원의 가격을 형성했다.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 옥봉성당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서부 가톨릭의 중심이었다. 1911년 문산성당 공소로 시작해 1926년 진주본당이 되었으며, 경상남도 사천, 산청, 합천, 하동, 남해 일대 성당과 의료시설의 모태가 되었다. 1932년 붉은 벽돌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건립되었으나, 한국전쟁 때 일부 파괴되어 1952년 수리·증축되었다. 이후 1990년까지 보수를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시기별 건축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2005년 등록문화재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두석장은 장석을 만드는 장인이다. 장석은 목조가구나 건조물에 붙여서 결합 부분을 더 견고하게 하거나 열고 닫을 수 있는 자물쇠 등의 금속제을 일컫는 말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통일신라시대에 장석을 만드는 전문적인 장인이 있었다. 장석은 다양한 문양의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자손의 번창과 무병장수, 부귀영화 등을 의미한다.
진주중앙유등시장은 진주시를 대표하는 전통시장으로 1844년에 개설되었다. 이 시장은 상설시장이며, 매월 2일과 7일 오일장도 열린다. 주요 거래품목은 농·수·축산물 및 가공용품, 음식점, 의류, 잡화 등 다양한 물품이며, 특히 의류와 음식점이 특화되어 있다.
자연과 지리 / 향토지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지방의 역사
문화유산 / 기타
성씨와 인물 / 인물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