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남쪽의 작은 고을 곡성이 품고 있는 정해박해의 현장을 찾아 순교의 역사를 생생히 담은 다큐멘터리. 정해박해가 갖는 역사적 위상을 재조명하고, 순교의 정신을 기리는 콘텐츠
천주교 신자들이 성지순례를 오는 미리내 성지는 안성시 양성면에 위치하고 있다.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이곳 미리내와 인근 지역 산속에 숨어들어 교우촌을 이룬 것이 미리내 성지의 시초이다. 알면 알수록 마음이 아파지는 미리내 성지. 그곳에서 우리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
원주 흥업 성당 대안리 공소는 박해를 피해 강원도 원주 지역으로 숨어들었던 천주교인들이 1900년대에 세운 한옥 공소다. 인고의 시간을 견뎌낸 교우들은 공소이지만 ‘참 성당’이라 칭찬받는 정갈하고 아늑한 예배 처소를 건립했다. 당시 원주 일대에 존재했던 공소들 가운데 유일하게 남은 곳이다. 한국전쟁 때는 인민군 막사에서 미군 구호품 배급소로 변전하는 역사의 무게를 이겨냈다.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에는 솔뫼성지라는 천주교 성지가 있다. 솔뫼마을에서 1821년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신부가 태어났다. 김대건은 1836년 마카오에 가서 신학을 공부하고 1845년 중국 상해에서 사제품을 받아 귀국하였다. 사제 생활 1년여 만에 체포되어 1846년 사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김대건 순교 100주년을 맞으며 솔뫼성지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고 이후 성역화되었다. 솔뫼성지에는 김대건 신부 생가가 복원되어 있고 기념성당 및 기념관이 조성되어 있다.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장산리에는 모현관이라는 건물이 있다. 모현관은 미암 유희춘의 유물을 보존하기 위해 1957년 후손들에 의해 지어졌다. 연못에 흙을 쌓아 언덕을 만든 후 그 위에 집을 지은 것이 특징적이다. 도난과 화재를 피하기 위해 후손들이 계획하여 세운 건물이다. 모현관에 보관되었던 유물들은 근처에 세워진 미암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 담양군 대덕면 장산리에는 미암 종갓집과 사당, 연계정 등 유희춘과 관련된 장소가 많아 함께 둘러볼 만하다.
부거리 옹기마을이라고도 불리는 김제 부거리 옹기가마는 조선시대 천주교 박해를 피해 이주해 온 신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마을이다. 천주교 신자는 이곳을 은신처로 삼아 옹기를 만들어 팔면서 생계를 이어나갔다. 천주교가 박해당하던 시기, 신자들에게 옹기는 신앙과 삶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생업수단이었다. 김제 부거리 옹기가마는 가마의 형태, 옹기 제작 방식, 작업 도구 등 100년 전 방식을 따르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뛰어나다.
김범우(金範禹, ?~1786년)은 조선 최초로 희생된 천주교 신자로 세례명은 토마스다. 그는 중인 출신으로 역관(譯官)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역관의 특성상 비교적 잦은 해외 경험과 외국 서적이 김범우의 자유로운 사유 체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중 중국을 통해 조선에 유입된 서학서(西學書)는 김범우를 천주교로 이끄는 매개체였다. 김범우는 이벽을 비롯한 남인계열의 문인과 가깝게 지냈고, 이렇게 모인 사람들은 김범우의 집에서 비밀 집회를 정기적으로 가졌으나 ‘을사추조적발사건’으로 인해 체포되었다. 양반출신의 신도들은 모두 풀려났으나 김범우는 체포되어 형을 받았는데, 그 와중에도 배교하지 않았고 결국 유배지인 단양에서 생을 마감했다. 당시 천주교 신자들이 모였던 김범우의 집터는 한국 천주교가 시작된 곳으로 현재 명동성당이 자리하고 있다.
최양업은 한국 천주교회의 첫 번째 신학생이자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에 이은 조선의 두 번째 신부이다. 최양업은 어린 시절부터 부모의 독실한 신앙생활의 영향을 받아 성장하였다. 그는 김대건이 먼저 순교한 후, 1849년 상해에서 사제서품을 받아 조선인으로서 두 번째 신부가 되었다. 조선으로 귀국한 최양업은 험한 산속을 돌아다니면서 박해받는 신자들을 찾아 고해성사를 주었다. 그리고 그들을 위해 지은 천주가사(天主歌辭)로 널리 신앙을 전파한 ‘땀의 순교자’로 불린다.
김대건은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신부로 세례명은 안드레아이며 신부가 된 지 1년만에 병오박해로 순교하였다. 김대건 가문은 충청남도 당진에 정착해 살아왔으며 4대에 걸쳐 천주교를 믿어왔다. 1984년 한국 천주교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내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성인으로 선포되었다. 김대건은 유네스코 제40차 총회에서 2021년 세계기념인물로 선정되었는데, 2021년은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이 되던 해이다.
이존창은 초기 천주교회 창설자 중 권일신(權日身)으로부터 교리를 배워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충청도 지방에서 전교에 힘쓴 결과 '내포(內浦)의 사도'로 불리기까지 하였다. 1791년(정조 15) 신해박해 때 체포되어 혹심한 고문에 못 이겨 한때 배교하여 홍산으로 이사를 갔다. 이후 다시 전날의 배교를 뉘우치고는 더욱 열심히 전교하다가, 신유박해 당시에 순교하였다. 충청남도에서는 이존창이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존창 생가터’를 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광암 이벽(李檗, 1754~1785년)은 조선 후기에 활동했던 문인이다. 성호 이익의 제자였던 그는 성호학파의 자유로운 학풍 속에서 학업에 열중했다. 새로운 사회를 이끌어 갈 새로운 사상을 간절히 필요로 했던 조선 후기, 일부 지식인들은 새로운 학문에 대한 공부에 몰두했다. 이벽 역시 타학문에 비교적 관대했던 성호학파의 학풍에 따라 당시 새로운 학문이라 여겨졌던 서학(西學)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는 천주교 수용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벽은 이승훈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에게 천주교를 전파하기 시작했고, 조선은 단 한 명의 선교사 파견도 없이 천주교가 뿌리내린 나라가 되었다.
인천광역시 중구 답동에는 답동성당이 있다. 우리나라 3대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물로 웅장하고 화려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답동성당은 마라발 신부가 1897년 완공하였고 이후 드뇌 신부에 의해 1937년 개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문화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18년 사적 제287호에 지정되었다. 최근 답동성당 일대에 역사문화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답동성당 앞쪽의 시민광장과 휴게 공간 조성, 답동성당 지하와 동인천역 지하상가와의 연결 등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과 군포시 속달동,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수리산이 소재해 있다. 수리산은 광주산맥을 이루고 있는 산 가운데 한 곳이며, 견불산이라고도 부른다. 한강 남쪽에서 서울을 감싸고 있는 산이 바로 수리산이다. 수리산 북쪽 골짜기에 ‘병목골’ 또는 ‘담뱃골’이라 부르는 곳이 있다. 조선시대 후기 천주교를 박해하던 무렵에 천주교 신자들이 숨어 들어와 담배를 재배해 생계를 이었다고 한다. 병목골에는 우리나라 두 번째 신부인 최양업의 가족들도 거주하였다. 현재 병목골에는 최양업 신부의 부친인 최경환의 무덤과 집터 등이 남아 있어서 천주교 신도들이 찾는 순례지가 되었다.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