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가곡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중인 가객 김수장이 짓고 널리 향유된 해동가요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에는 『해동가요(海東歌謠)』가 소장되어 있다. 『해동가요』는 『청구영언』, 『가곡원류(歌曲源流)』와 함께 조선의 가곡 문화를 대표하는 노래집이라고 할 수 있다. 『해동가요』를 편찬한 인물은 노가재(老歌齋) 김수장(金壽長, 1690~?)이다. 병조에 소속된 서리 출신으로 알려진 그는 당시 가객으로서 명성이 대단하였다. 젊은 시절엔 여항 문화에 심취하며 다양한 가악 활동을 벌였고, 노년에 이르러선 노가재를 짓고 서울의 예인들과 함께 노가재 가단(歌壇)을 형성하였다. 그의 손에 편찬된 『해동가요』는 18세기 조선의 가곡 문화와 그 현장을 생생히 전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노래집, 청구영언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에는 김천택 편 『청구영언』이 소장되어 있다. 『청구영언』은 1728년 서울 지역에 명성 높은 가객(歌客)이었던 김천택(金天澤)이 580여 수의 시조(時調)를 엮어 편찬한 노래집이다.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노래집 중에서 가장 오래된 책이다. 『청구영언(靑丘永言)』의 청구(靑丘)는 조선을 가리키는 또 다른 말이며, 영언(永言)은 긴 말, 즉 노래를 뜻한다. 한시와 비교해서 노래로 부를 때 소리가 길기 때문이다. 『청구영언』은 다양한 이본들이 존재한다. 그중 원본은 국립한글박물관에서 개인 소장자에게 구매하여 보관 중이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2017년에 주해서를 발간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조선 후기의 가곡문화를 살필 수 있는 협률대성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선교장(船橋莊)에는 『협률대성(協律大成)』이 소장되어 있다. 『협률대성』은 조선 후기 가창 체제를 완비한 가집이다. 우조(羽調)와 계면조(界面調), 남·여창의 편집체제 및 연음표 악보 표기가 되어 있다. 이 가집은 강릉 선교장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가곡 문화가 생성, 향유되어 가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사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