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가야금 명인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충북 >충주시

    신라 가야금의 명인 우륵과 충주5현을 추모하는 ‘우륵문화제’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가야인 악성(樂聖)우륵을 비롯해 충주 출신 5현을 기념하는 축제이다. 우륵이 충주 탄금대에서 가야금을 연주하고, 제자들을 양성한 일은 유명하다. 우륵 외에도 임경업, 신립, 강수, 김생 등의 충주 출신 명현 다섯명을 충주오현이라 하여 명현 추모제를 드리고, 탄금대 가야금 경진대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 매년 9월말에 개최되는 우륵문화제는 한국의 전통음악문화를 전승하고 널리 알리며 충주의 항토문화예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개최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영암군

    가야금 산조의 창시자, 악성 김창조(金昌祖)
    우리나라의 가야금 연주의 명인이다. 시나위가락에 판소리가락을 도입하여 근대 가야금 산조의 틀을 만든 창시자다. 해금을 비롯하여 여러 악기에 능하였고 가야금 병창도 일가를 이루었다. 김창조의 가야금 연주와 작곡은 우륵 이후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받는다. 김창조의 가야금 산조는 후대의 연주자들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고령군

    고령 우륵박물관, 가야금의 선율을 따라가다 보면 만나는 곳
    우륵박물관은 2006년 고령군 쾌빈리에 세워진 공립박물관이다. 삼국사기,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쾌빈리는 음악의 성인으로 불리는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하는 소리가 정정하게 울린다고 해서 ‘정정골’로 불리던 곳이다. 우륵박물관은 가야금을 단일 주제로 전시, 교육하는 국내 유일의 박물관이다. 우륵과 관련된 이야기와 다양한 자료를 관람하고, 가야금의 구조, 종류, 소리의 특색을 이해할 수 있으며, 가야금 명인도 만나게 된다. 또, 우륵박물관에는 가야금을 제작하는 공방이 갖춰져 있어 가야금이 실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도 엿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